코로나19 국내 확진환자 총 33375명 및 격리해제 27349명·사망 522명, 11월 28일 0시 기준 504명 추가 확인

홈 > 미디어 > 사회·문화·미디어
사회·문화·미디어

보건·의료 | 코로나19 국내 확진환자 총 33375명 및 격리해제 27349명·사망 522명, 11월 28일 0시 기준 504명 추가 확인

권경욱 기자 0   0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 COVID-19)는 최근 수도권을 비롯하여 전국적인 감염 확산세로 1차와 2차 유행을 넘어 3차 대유행이 우려되며 12월 초 600명을 넘어설 것이라는 전망이 이어진 가운데 11일 연속 세 자릿수를 이어가며 500명을 넘어섰다. 


최근 연이은 300명 이상의 확진자가 발생함에 따라 1.5단계에서 2단계 격상이 검토된 가운데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급속한 감염 확산 양상을 고려해 11월 24일(화) 0시부터 12월 7일(월) 자정까지 사회적 거리 두기를 수도권은 2단계, 호남권(전북은 11월 23일(월) 0시부터 시행하며, 광주광역시는 지난 11월 19일(목)부터 시행 중)은 1.5단계로 격상한다고 밝혔다. 서울시는 내일부터 연말까지 천만 시민 긴급 멈춤 기간을 선포했으며 이에 따라 서울 전역의 10인 이상 집회도 11월 24일 0시부터 별도 공표 시까지 전면 금지한다. 2단계는 1.5단계 기준 2배 이상 증가, 2개 이상 권역 유행 지속, 전국 300명 초과 가운데 하나를 충족하면 적용할 수 있다.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는 2020년 11월 27일 0시 부터 11월 28일 0시까지 확진자 504명이 추가로 확인되었다고 밝혔다.


집단 감염이 확인된 이후 최근에는 한 자릿수와 두 자릿수 사이로 확진자 수가 변동되며 감소하고 있으며 해외 입국으로 검역에서 확진자가 발생하는가운데 3월 발부터 4월 초까지 80-100명 이상에서 4월 중순 이후 20-30명 전후, 4월 말부터는 10명 전후, 5월에도 두 자릿수인 10명 전후를 이어갔다. 그러나 5월 10일 용인 66번 확진자를 시작으로 서울 이태원 클럽 집단 감염이 지역사회 감염으로 확대, 6월 초 쿠팡 및 종교 시설 등 지역감염이 확산되었으며 최근에는 지역사회 감염 및 해외 유입이 증가하는 추세다. 8월 14일 롯데리아 및 교회 등지에서 다시 크게 증가해 세 자릿수 103명에서 8월 15일 광화문 광복절 집회와 교회, 커피 전문점 등 지역 사회 감염이 확산됐다. 이후 300-400명 대로 증가하다 8월 말 200명 대, 9월 초 200명 대에서 9월 말에는 다시 100명 대로 감소, 10월 초부터 이어지던 두 자릿수는 11월 세 자릿수로 증가하는 추세에서 13일 70일 만에 최대치로 세 자릿수, 18일에는 300명을 넘어서며 세 자릿수가 21일까지 4일 연속 300명을 넘어섰다. 21일 386명으로 세 자릿수, 22일에는 330명으로 세 자릿수, 23일에는 6일 연속 세 자릿수를 이어갔으나 300명 이하인 271명, 24일은 7일 연속 세 자릿수로 300명이 넘는 349명, 25일은 어제보다 증가하며 8일 연속 300명이 넘는 382명, 26일은 9일 연속 300명이 넘었으며 8개월 만에 500명을 넘어서며 583명, 27일은 569명으로 세 자릿수, 28일은 504명으로 세 자릿수를 이어갔다.


이에 따라 국내 코로나 19 확진자는 11월 28일(토) 0시 기준 33,375명으로 11월 27일(금) 0시 기준 32,871명에서 504명이 증가했으며 치료가 완료되어 검사 결과 음성으로 격리 해제된 자는 246이 추가되며 총 27,349명, 사망은 11월 27일 대비 6명이 늘어나 522명, 나머지 5,504명은 격리 치료 중이다.


11월 28일(토) 0시 기준 국내 의심환자는 3,032,004명으로 11월 27일(금) 0시 기준 3,009,562명에서 22,442명이 증가했다. 58,794명이 검사 중이며 결과 음성은 2,939,835명이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11월 28일(토) 0시 기준 신규 504명으로 서울 178명, 경기 126명, 인천 25명, 부산 28명, 대구 1명, 광주 16명, 울산 3명, 강원 33명, 충북 24명, 충남 17명, 전북 9명, 전남 7명, 경북 5명, 경남 14명, 제주 2, 검역 3명이다. 이 중 해외유입은 18명(서울 2, 경기 4, 광주 2, 충북 1, 충남 3, 경북 1, 경남 1, 검역 3), 지역발생은 486명(서울 176, 경기 122, 인천 25, 부산 27, 대구 1, 광주 14, 대전 13, 울산 3, 강원 33, 충북 23, 충남 14, 전북 9, 전남 7, 경북 4, 경남 13, 제주 2)이 확인되며 해외유입 검역은 감소하고 지역사회 감염이 증가 추세다.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19가 빠르게 확산되는 가운데 해외유입에 따른 검역에서 확진자는 줄어들었으며 최근에는 교회와 광복절 광화문 집회, 커피 전문점, 병원 등 지역감염이 크게 늘어나고 있다.


또한 세계 보건 기구(WHO)에서 감염병 세계적 유행을 뜻하는 팬데믹(Pandemic)을 선언한 가운데 중국 재확산, 브라질, 인도, 아프리카 등 전 세계는 다시 확진자가 증가하는 추세이며 확진자가 6천만 명, 사망자 140만 명을 넘어섰다. 11월 28(토) 09시 기준 전세계 코로나19 확진환자는 60,041,944명에서 60,501,751명으로 459,807명이 증가했으며 사망은 1,415,777명에서 1,425,585명으로 9,808명이 늘어났다.


나라별로 살펴보면 미국은 12,441,925명의 확진자와 257,825명의 사망자가 나와 중국의 확진자 및 사망자 수를 크게 넘어선지 오래이며 확진자 1244만 명, 사망자 수가 25만 명을 넘어서며 여전히 무서운 속도로 진행 중이다. 중국은 86,501명의 확진자와 사망 4,634명으로 최근 베이징 펑타이 신파디 농수산물 도매시장에서 재확산되고 있다.


아사이 지역에서 홍콩은 6,039명의 확진자와 사망 108명, 대만은 639명 확진자와 사망 7명, 일본 크루즈 712명의 확진자와 13명 사망, 일본 본토 139,491명 확진자와 2,051명의 사망자, 싱가포르 58,195명 확진자와 사망 28명, 인도 9,309,787명 확진자와 사망 135,715명, 필리핀 424,297명 확진자와 사망 8,242명, 네팔 227,640명 확진자와 사망 1,412명, 아프가니스탄 45,716명 확진자와 사망 1,737명, 파키스탄 386,198명 확진자와 사망 7,843명, 인도네시아 516,753명 확진자와 사망 16,352명, 몰디브 12,889명 확진자와 사망 46명, 방글라데시 456,438명 확진자와 사망 6,524명, 카자흐스탄 170,969명 확진자와 사망 2,417명, 우즈베키스탄 72,409명 확진자와 사망 607명, 키르기스탄 71,548명 확진자와 사망 1,256명, 미얀마 82,205명 확진자와 사망 1,846명 등 일본, 싱가포르, 인도와 파키스탄, 인도네시아, 방글라데시 등에서 확산이 진행 중이다.


중동 지역에서는 이란 908,346명 확진자와 사망 46,689명, 바레인 86,347명 확진자와 사망 341명, 이집트 114,475명 확진자와 사망 6,596명, 이라크 544,670명 확진자와 사망 12,125명, 요르단 203,021명 확진자와 사망 2,509명, 쿠웨이트 141,547명 확진자와 사망 872명, 모로코 340,684명 확진자와 사망 5,619명, 오만 122,579명 확진자와 사망 1,391명, 카타르 138,389명 확진자와 사망 237명, 사우디아라비아 356,389명 확진자와 사망 5,840명, 이스라엘 332,192명 확진자와 사망 2,831명, 아랍에미리트 163,967명 확진자와 사망 564명, 알제리 79,110명 확진자와 사망 2,352명 등 이란과 이라크, 사우디아라비아 등지에서 크게 확산 중이다.


미주 지역에서는 미국을 이어 캐나다 347,466명 확진자와 사망 11,710명, 멕시코 1,070,487명 확진자와 사망 103,597명, 파나마 158,532명 확진자와 사망 3,002명, 온두라스 106,116명 확진자와 사망 2,888명, 과테말라 120,685명 확진자와 사망 4,133명, 코스타리카 134,520명 확진자와 사망 1,674명, 엘살바도르 37,884명 확진자와 사망 1,098명, 도미니카공화국 140,922명 확진자와 사망 2,317명, 브라질 6,166,606명 확진자와 사망 170,769명, 페루 954,459명 확진자와 사망 35,727명, 에콰도르 188,138명 확진자와 사망 13,316명, 칠레 545,662명 확진자와 사망 15,235명, 콜롬비아 1,270,991명 확진자와 사망 35,860명, 아르헨티나 1,390,388명 확진자와 사망 37,714명, 볼리비아 144,276명 확진자와 사망 8,933명, 파라과이 78,878명 확진자와 사망 1,691명, 베네수엘라 100,817명 확진자와 사망 880명 등 캐나다와 멕시코, 브라질, 페루, 아르헨티나 등지에서 확산 중이다.


유럽 지역은 이탈리아 1,509,875명 확진자와 사망 52,850명, 독일 1,006,394명 확진자와 사망 15,586명, 프랑스 2,144,917명 확진자와 사망 50,598명, 영국 1,574,566명 확진자와 사망 57,031명, 스페인 1,617,355명 확진자와 사망 44,374명, 오스트리아 264,692명 확진자와 사망 2,616명, 스웨덴 236,355명 확진자와 사망 6,622명, 스위스 312,722명 확진자와 사망 4,095명, 벨기에 567,436명 확진자와 사망 16,219명, 덴마크 75,395명 확진자와 사망 811명, 루마니아 449,349명 확진자와 사망 10,712명, 네덜란드 502,510명 확진자와 사망 9,171명, 벨라루스 130,012명 확진자와 사망 1,128명, 아제르바이잔 106,101명 확진자와 사망 1,256명, 아르메니아 132,346명 확진자와 사망 2,090명, 아일랜드 71,494명 확진자와 사망 2,036명, 체코 511,520명 확진자와 사망 7,779명, 포르투갈 280,394명 확진자와 사망 4,209명, 폴란드 941,112명 확진자와 사망 15,568명, 우크라이나 693,407명 확진자와 사망 11,909명, 헝가리 198,440명 확진자와 사망 4,364명,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84,252명 확진자와 사망 2,480명, 세르비아 148,214명 확진자와 사망 1,366명, 불가리아 136,628명 확진자와 사망 3,529명, 몰도바 102,894명 확진자와 사망 2,229명, 터키 474,606명 확진자와 사망 13,014명, 러시아 2,215,533명 확진자와 사망 38,558명이 확인됐다. 이탈리아와 스페인, 독일, 프랑스, 영국, 터키, 러시아 등에서는 발병자가 증가하는 추세로 다시 확산세를 보이고 있다. 


오세아니아 지역에서는 호주 27,867명 확진자와 사망 907명, 뉴질랜드 1,691명 확진자와 사망 25명으로 호주는 증가 추세이나 뉴질랜드는 크게 증가하지 않았다.


아프리카 지역에서는 나이지리아 66,974명 확진자와 사망 1,169명, 세네갈 15,960명 확진자와 사망 331명, 카메룬 24,117명 확진자와 사망 437명, 남아프리카공화국 778,571명 확진자와 사망 21,289명, DR콩고 12,469명 확진자와 사망 333명, 코트디부아르 21,199명 확진자와 사망 131명, 수단 16,684명 확진자와 사망 1,215명, 에티오피아 107,669명 확진자와 사망 1,672명, 가나 51,225명 확진자와 사망 323명, 기니 12,949명 확진자와 사망 76명, 케냐 80,102명 확진자와 사망 1,427명, 나미비아 14,155명 확진자와 사망 147명, 지부티 5,676명 확진자와 사망 61명, 잠비아 17,553명 확진자와 사망 357명, 소말리아 4,451명 확진자와 사망 113명, 마다가스카르 17,341명 확진자와 사망 251명, 우간다 19,115 확진자와 사망 191명, 모잠비크 15,467명 확진자와 사망 128명 등 남아프리카공화국과 가나, 나이지리아, 마다가스카르 등지에서 확산 중이다.


기타 지역은 기타지역 영토에서 214,664명 확진자와 사망 2,586명이 확인됐다.


한편 중앙방역대책본부는 3월 2일(월)부터 오전 10시(오전 9시 기준)과 오후 5시(오후 4시 기준)으로 하루 두차례 진행한 확진자 현황정보(일별 통계)를 매일 0시(자정) 기준으로 오전 10시에 발표한다.

 

ⓒ 블루프레임(https://www.blueframe.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0 Comments
많이 본 뉴스
인기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