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의료 | 코로나19 국내 확진환자 총 24353명 및 격리해제 22334명·사망 425명, 10월 7일 0시 기준 114명 추가 확인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 COVID-19)는 최근 해외 유입이 줄고 교회와 광복절 광화문 집회, 커피 전문점 등을 중심으로 지역사회 감염이 확산 중이며 10월 6일까지 6일 연속 이어지던 두 자릿수는 오늘 다시 세 자릿수로 증가했다.
지난 9월 13일(일)까지 진행한 수도권의 사회적 거리 두기는 2.5단계에서 2단계로 완화하여 9월 27일까지 연장한 가운데 서울시와 지방 주요 도시에서는 9월 28일 0시부터 10월 11일 24시까지 2주간을 추석 특별방역기간으로 지정하고 사회적 거리두기 2단계 조치를 이어간다.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는 2020년 10월 6일 0시 부터 10월 7일 0시까지 확진자 114명이 추가로 확인되었다고 밝혔다.
집단 감염이 확인된 이후 최근에는 한 자릿수와 두 자릿수 사이로 확진자 수가 변동되며 감소하고 있으며 해외 입국으로 검역에서 확진자가 발생하는가운데 3월 발부터 4월 초까지 80-100명 이상에서 4월 중순 이후 20-30명 전후, 4월 말부터는 10명 전후, 5월에도 두 자릿수인 10명 전후를 이어갔다. 그러나 5월 10일 용인 66번 확진자를 시작으로 서울 이태원 클럽 집단 감염이 지역사회 감염으로 확대, 6월 초 쿠팡 및 종교 시설 등 지역감염이 확산되었으며 최근에는 지역사회 감염 및 해외 유입이 증가하는 추세다. 8월 14일 롯데리아 및 교회 등지에서 다시 크게 증가해 세 자릿수 103명에서 8월 15일 광화문 광복절 집회와 교회, 커피 전문점 등 지역 사회 감염이 확산됐다. 이후 300-400명 대로 증가하다 8월 말 200명 대, 9월 초 200명 대에서 9월 말에는 다시 100명 대로 감소, 10월 1일부터 6일까지 두 자릿수를 유지하고 있다. 7일에는 6일 연속 이어지던 두 자릿수에서 다시 세 자릿수로 증가했다.
이에 따라 국내 코로나 19 확진자는 10월 7일(수) 0시 기준 24,353명으로 10월 6일(화) 0시 기준 24,239명에서 114명이 증가했으며 치료가 완료되어 검사 결과 음성으로 격리 해제된 자는 251명이 추가되며 총 22,334명, 사망은 10월 6일 대비 3명이 늘어나 425명, 나머지 1,594명은 격리 치료 중이다.
10월 7일(수) 0시 기준 국내 의심환자는 2,378,073명으로 10월 6일(화) 0시 기준 2,365,433명에서 12,640명이 증가했다. 22,138명이 검사 중이며 결과 음성은 2,331,582명이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10월 7일(수) 0시 기준 신규 114명으로 서울 33명, 경기 53명, 인천 6명, 부산 2명, 대구 1명, 대전 2명, 울산 1명, 세종 1명, 전북 8명, 검역 7명이다. 이 중 해외유입은 20명(서울 4, 경기 4, 인천 1, 울산 1, 세종 1, 전북 2, 검역 7), 지역발생은 94명(서울 29, 경기 49, 인천 5, 부산 2, 대구 1, 대전 2, 전북 6)이 확인되며 해외유입 검역은 감소하고 지역사회 감염이 증가 추세다.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19가 빠르게 확산되는 가운데 해외유입에 따른 검역에서 확진자는 줄어들었으며 최근에는 교회와 광복절 광화문 집회, 커피 전문점 등 지역감염이 크게 늘어나고 있다.
또한 세계 보건 기구(WHO)에서 감염병 세계적 유행을 뜻하는 팬데믹(Pandemic)을 선언한 가운데 중국 재확산, 브라질, 인도, 아프리카 등 전 세계는 다시 확진자가 증가하는 추세이며 확진자가 3천 5백만 명, 사망자 100만 명을 넘어섰다. 10월 7(수) 09시 기준 전세계 코로나19 확진환자는 35,085,176명에서 35,323,182명으로 238,006명이 증가했으며 사망은 1,034,919명에서 1,038,984명으로 4,065명이 늘어났다.
나라별로 살펴보면 미국은 7,341,406명의 확진자와 208,433명의 사망자가 나와 중국의 확진자 및 사망자 수를 크게 넘어선지 오래이며 확진자 730만 명, 사망자 수가 20만 명을 넘어서며 여전히 무서운 속도로 진행 중이다. 중국은 85,489명의 확진자와 사망 4,634명으로 최근 베이징 펑타이 신파디 농수산물 도매시장에서 재확산되고 있다.
아사이 지역에서 홍콩은 5,132명의 확진자와 사망 105명, 대만은 521명 확진자와 사망 7명, 일본 크루즈 712명의 확진자와 13명 사망, 일본 본토 86,047명 확진자와 1,602명의 사망자, 싱가포르 57,819명 확진자와 사망 27명, 인도 6,685,082명 확진자와 사망 103,569명, 필리핀 324,762명 확진자와 사망 5,840명, 네팔 89,263명 확진자와 사망 554명, 아프가니스탄 39,422명 확진자와 사망 1,466명, 파키스탄 315,260명 확진자와 사망 6,517명, 인도네시아 307,120명 확진자와 사망 11,253명, 몰디브 10,567명 확진자와 사망 34명, 방글라데시 370,132명 확진자와 사망 5,375명, 카자흐스탄 141,844명 확진자와 사망 2,106명, 우즈베키스탄 59,197명 확진자와 사망 487명, 키르기스탄 47,799명 확진자와 사망 1,066명 등 일본, 싱가포르, 인도와 파키스탄, 인도네시아, 방글라데시 등에서 확산이 진행 중이다.
중동 지역에서는 이란 475,674명 확진자와 사망 27,192명, 바레인 73,116명 확진자와 사망 261명, 이집트 103,781명 확진자와 사망 5,990명, 이라크 382,949명 확진자와 사망 9,464명, 쿠웨이트 107,592명 확진자와 사망 628명, 모로코 134,695명 확진자와 사망 2,369명, 오만 101,814명 확진자와 사망 985명, 카타르 126,692명 확진자와 사망 216명, 사우디아라비아 336,766명 확진자와 사망 4,898명, 이스라엘 264,805명 확진자와 사망 1,685명, 아랍에미리트 99,733명 확진자와 사망 429명, 알제리 52,270명 확진자와 사망 1,768명 등 이란과 이라크, 사우디아라비아 등지에서 크게 확산 중이다.
미주 지역에서는 미국을 이어 캐나다 166,156명 확진자와 사망 9,481명, 멕시코 761,665명 확진자와 사망 79,088명, 파나마 115,286명 확진자와 사망 2,423명, 온두라스 79,629명 확진자와 사망 2,422명, 과테말라 94,182명 확진자와 사망 3,302명, 코스타리카 79,182명 확진자와 사망 950명, 엘살바도르 29,539명 확진자와 사망 865명, 도미니카공화국 115,054명 확진자와 사망 2,144명, 브라질 4,915,289명 확진자와 사망 146,352명, 페루 828,169명 확진자와 사망 32,742명, 에콰도르 141,339명 확진자와 사망 11,681명, 칠레 471,746명 확진자와 사망 13,037명, 콜롬비아 855,052명 확진자와 사망 26,712명, 아르헨티나 798,486명 확진자와 사망 21,018명, 볼리비아 136,868명 확진자와 사망 8,101명, 파라과이 44,182명 확진자와 사망 929명, 베네수엘라 78,434명 확진자와 사망 653명 등 캐나다와 멕시코, 브라질, 페루, 아르헨티나 등지에서 확산 중이다.
유럽 지역은 이탈리아 327,586명 확진자와 사망 36,002명, 독일 303,258명 확진자와 사망 9,546명, 프랑스 598,058명 확진자와 사망 32,069명, 영국 515,575명 확진자와 사망 42,369명, 스페인 789,932명 확진자와 사망 32,086명, 오스트리아 49,866명 확진자와 사망 818명, 스웨덴 94,283명 확진자와 사망 5,895명, 스위스 55,803명 확진자와 사망 1,786명, 벨기에 132,109명 확진자와 사망 10,078명, 덴마크 30,057명 확진자와 사망 659명, 루마니아 137,491명 확진자와 사망 5,048명, 네덜란드 140,321명 확진자와 사망 6,452명, 벨라루스 80,696명 확진자와 사망 862명, 아제르바이잔 40,788명 확진자와 사망 598명, 아르메니아 53,083명 확진자와 사망 990명, 아일랜드 38,551명 확진자와 사망 1,810명, 체코 85,566명 확진자와 사망 758명, 포르투갈 79,885명 확진자와 사망 2,018명, 폴란드 102,080명 확진자와 사망 2,659명, 우크라이나 234,584명 확진자와 사망 4,520명, 헝가리 32,298명 확진자와 사망 853명,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28,446명 확진자와 사망 881명, 세르비아 33,952명 확진자와 사망 756명, 불가리아 21,870명 확진자와 사망 854명, 몰도바 56,901명 확진자와 사망 1,375명, 터키 326,046명 확진자와 사망 8,498명, 러시아 1,237,504명 확진자와 사망 21,663명이 확인됐다. 이탈리아와 스페인, 독일, 프랑스, 영국, 터키, 러시아 등에서는 발병자가 증가하는 추세로 다시 확산세를 보이고 있다.
오세아니아 지역에서는 호주 27,149명 확진자와 사망 894명, 뉴질랜드 1,502명 확진자와 사망 25명으로 호주는 증가 추세이나 뉴질랜드는 크게 증가하지 않았다.
아프리카 지역에서는 나이지리아 59,465명 확진자와 사망 1,113명, 세네갈 15,122명 확진자와 사망 312명, 카메룬 20,924명 확진자와 사망 420명, 남아프리카공화국 682,215명 확진자와 사망 17,016명, DR콩고 10,777명 확진자와 사망 274명, 코트디부아르 19,885명 확진자와 사망 120명, 수단 13,653명 확진자와 사망 836명, 에티오피아 79,437명 확진자와 사망 1,230명, 가나 46,829명 확진자와 사망 303명, 기니 10,800명 확진자와 사망 67명, 케냐 39,449명 확진자와 사망 735명, 나미비아 11,654명 확진자와 사망 125명, 지부티 5,421명 확진자와 사망 61명, 잠비아 15,089명 확진자와 사망 334명, 소말리아 3,745명 확진자와 사망 99명, 마다가스카르 16,570명 확진자와 사망 233명, 우간다 8,965명 확진자와 사망 82명, 모잠비크 9,196명 확진자와 사망 66명 등 남아프리카공화국과 가나, 나이지리아, 마다가스카르 등지에서 확산 중이다.
기타 지역은 기타지역 영토에서 146,171명 확진자와 사망 1,568명이 확인됐다.
한편 중앙방역대책본부는 3월 2일(월)부터 오전 10시(오전 9시 기준)과 오후 5시(오후 4시 기준)으로 하루 두차례 진행한 확진자 현황정보(일별 통계)를 매일 0시(자정) 기준으로 오전 10시에 발표한다.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코로나 19, 코로나19, 신종 코로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우한 폐렴, COVID-19,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중앙방역대책본부, 한국, 확진자, 확진환자, 10월 7일, 수, 수요일, 0시, 자정, 114명 추가, 대구·경북지역, 대구, 영남권, 서울, 경기, 경남, 광주, 총 24353명, 지역사회 감염, 위기경보 단계, 심각, 격상, 사망 425명, 격리 해제 22334명, WHO, 팬데믹, Pandeminc, 팬데믹 선언, 감염병 세계적 유행, 집단 감염, 사회적 거리 두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