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국내 확진환자 총 149731명 및 격리해제 141029명·사망 1994명, 6월 17일 0시 기준 540명 추가 확인

홈 > 미디어 > 사회·문화·미디어
사회·문화·미디어

보건·의료 | 코로나19 국내 확진환자 총 149731명 및 격리해제 141029명·사망 1994명, 6월 17일 0시 기준 540명 추가 확인

권경욱 기자 0   0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 COVID-19)는 최근 수도권을 비롯하여 전국적인 감염 확산세로 1차와 2차 유행을 넘어 3차 대유행을 이어 발생 1년을 넘어섰으며 국내 누적 확진자 12만 명을 넘어섰다. 4차 대유행에 들어선 가운데 163일 연속 세 자릿수, 이틀 연속 500명 대인 540명을 기록했다. 


중앙방역대책본부(이하 중대본)는 6월 말까지 1,300만 명 접종을 위한 안정적인 유행 관리가 필요해 현행 거리 두기 단계(수도권 2단계, 비수도권 1.5단계)를 6월 14일(월) 0시부터 7월 4일(일) 24시까지 3주 연장한다고 밝혔다. 5인 이상 사적 모임 금지, 직계가족 한해 8인까지 허용한다. 6월 14일부터 실외 스포츠 경기장은 2단계 30%까지, 1.5단계 50%까지 관중 입장 가능, 대중음악 공연장은 좌석 띄우기 등 공연장 수칙을 적용하여 최대 4,000명까지 공연 가능하다.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 추진단(정은경 청장)은 6월 14일(월) 0시 기준 전 국민의 23%(약 1,183만 명)이 예방접종을 1회 이상 실시했다고 밝힌 가운데 6월 15일(화) 오후 1차 접종자가 1300만명을 넘어섰다고 밝혔다. 상반기 목표치를 보름 일찍 달성한 것이며 현재대로면 그 이상의 목표치에도 도달할 것으로 전망되며 75살 이상 고령층의 확진자 수는 대폭 감소해 에방효과가 본격적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했다.


또한 예방접종을 받으면 격리 없이 해외여행이 가능해진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문화체육관광부(이하 문체부), 국토교통부(이하 국토부)와 여행안전권역(트래블 버블) 추진방안을 보고받고 이를 논의했다. 문화체육관광부와 국토교통부는 국내 예방접종율 제고와 연계하여 집단면역이 형성되기 전 과도기에 제한적인 교류 회복 방안으로 방역신뢰국가와 단체여행에 대하여 여행안전권역(트래블 버블)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상호합의된 여행안전권역(트래블 버블) 국가에 대해 격리 없이 해외여행 재개 가능해지며 예방접종 완료자 대상으로 단체 여행 허용, 방역전담관리사 지정을 통해 관리를 강화한다.


사회필수인력(경찰, 소방, 해경 등) 등(보건의료인 등(의원급 및 약국종사자), ,취약시설 업소 및 종사자, 9세 이하 어린이교사(유치원, 어린이집, 초등학교 1·2학년 교사 및 돌봄 인력) 등 2분기 30세 미만(92.1.1 이후 출생) 화이자 백신 예방접종대상자 사전예약이 마감됐다. 6월 7일(월) 0시부터 시작해 6월 9일(수) 오전 9시 기준 총 20만 명이 사전예약을 완료했다. 조기마감에 따라 예약하지 못한 대상자는 6월 말부터 추가 예약을 실시 예정이다.


6월 17일(목) 0시 기준 신규 1차 접종은 540,248명으로 총 13,790,841명이 1차 접종을 받았으며 이 중 280,928명이 접종을 완료하여 총 3,755,040명이 접종을 완료했다. 아스트라제네카 9,377,084명, 화이자는 3,372,245명이 접종을 받았다. 얀센 백신은 1,041,512명이 접종을 완료했다.


코로나19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으로 의심되어 신고된 사례는 6월 16일(수) 0시 기준 총 53,773건(신규 6,770건), 예방접종 후 흔하게 나타날 수 있는 근육통, 두통, 발열, 오한, 메스꺼움 등 사례가 51,071건(95.0%), 아나필락시스 의심 사례 343건(신규 24건), 주요 이상반응 사례는 신경계 이상반응 등 2,098건(신규 255건), 사망 사례 261건(신규 20건)이 신고됐다.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는 2021년 6월 16일 0시 부터 6월 17일 0시까지 확진자 540명이 추가로 확인되었다고 밝혔다.


집단 감염이 확인된 이후 최근에는 한 자릿수와 두 자릿수 사이로 확진자 수가 변동되며 감소하고 있으며 해외 입국으로 검역에서 확진자가 발생하는가운데 3월 발부터 4월 초까지 80-100명 이상에서 4월 중순 이후 20-30명 전후, 4월 말부터는 10명 전후, 5월에도 두 자릿수인 10명 전후를 이어갔다. 그러나 5월 10일 용인 66번 확진자를 시작으로 서울 이태원 클럽 집단 감염이 지역사회 감염으로 확대, 6월 초 쿠팡 및 종교 시설 등 지역감염이 확산되었으며 최근에는 지역사회 감염 및 해외 유입이 증가하는 추세다. 8월 14일 롯데리아 및 교회 등지에서 다시 크게 증가해 세 자릿수 103명에서 8월 15일 광화문 광복절 집회와 교회, 커피 전문점 등 지역 사회 감염이 확산됐다. 이후 300-400명 대로 증가하다 8월 말 200명 대, 9월 초 200명 대에서 9월 말에는 다시 100명 대로 감소, 10월 초부터 이어지던 두 자릿수는 11월 세 자릿수로 증가하는 추세에서 13일 70일 만에 최대치로 세 자릿수인 191명, 이후 12월에는 500명을 넘어서기 시작했으며 12월 25일은 네 자릿수로 최다인 1241명을 기록했다. 


이러한 추세는 새해까지 이어져 3차 대 유행으로 네 자릿수와 세 자릿수를 오갔으며 2021년 1월 1일은 네 자릿수인 1029명, 1월 18일부터는 300명 대로 낮아졌고 1월 31일까지 400명 대에서 300명 대 사이를 기록했다. 2월에는 1월 말을 이어 300명에서 400명 대 사이를 오갔으며 3월 동안은 300명대를 시작으로 400명 대와 500명 대를 오갔다. 3월은 500명 대, 4월에는 500명 대로 시작해 700명 대로 500명에서 600명 사이로 증가와 감소를 반복했으며 5월은 5월 1일 600명 대를 시작으로 500명 대에서 700명 대 사이를 오갔으며 5월 29일에는 500명 대인 533명, 5월 30일에는 400명 대인 480명, 5월 31일에는 400명 대인 430명, 6월 1일에는 400명 대인 459명, 6월 2일에는 600명 대인 677명, 6월 3일에는 600명 대인 681명, 6월 4일에는 600명 대인 695명, 6월 5일에는 700명 대인 744명, 6월 6일에는 500명 대인 556명, 6월 7일에는 400명 대인 485명, 6월 8일에는 400명 대인 454명, 6월 9일에는 600명 대인 602명, 6월 10일에는 600명 대인 611명, 6월 11일에는 500명 대인 556명, 6월 12일에는 500명 대인 565명, 6월 13일에는 400명 대인 452명, 6월 14일에는 300명 대인 399명, 6월 15일에는 300명 대인 374명, 6월 16일에는 500명 대인 545명, 6월 17일에는 500명 대인 540명이 확인됐다.


이에 따라 국내 코로나 19 확진자는 2021년 6월 17일(목) 0시 기준 149,731명으로 6월 16일(수) 0시 기준 149,191명에서 540명이 증가했으며 치료가 완료되어 검사 결과 음성으로 격리 해제된 자는 591명이 추가되며 총 141,029명, 사망은 6월 16일 대비 1명이 늘어나 1,994명, 나머지 6,708명은 격리 치료 중이다.


2021년 6월 17일(목) 0시 기준 국내 의심환자는 10,257,836명으로 6월 16일(수) 0시 기준 10,229,384명에서 28,452명이 증가했다. 121,319명이 검사 중이며 결과 음성은 9,986,786명이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2021년 6월 17일(목) 0시 기준 신규 540명으로 서울 201, 경기 183, 인천 17, 부산 17, 대구 7, 광주 6, 대전 18, 세종 1, 강원 7, 충북 18, 충남 5, 전북 7, 전남 6, 경북 3, 경남 5, 제주 8, 검역 17명이다. 이 중 해외유입은 17명(서울 2, 경기 2, 부산 2, 세종 1, 강원 1, 전북 1, 검역 8), 지역발생은 523명(서울 199, 경기 181, 인천 17, 부산 15, 대구 7, 광주 6, 대전 18, 울산 22, 세종 1, 강원 6, 충북 18, 충남 5, 전북 6, 전남 6, 경북 3, 경남 5, 제주 8)이 확인되며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19가 빠르게 확산되는 가운데 해외유입에 따른 검역에서 확진자는 줄었으며 최근에는 코로나19 예방접종이 진행되는 가운데 지역 사회 감염이 증가 추세다.


또한 세계 보건 기구(WHO)에서 감염병 세계적 유행을 뜻하는 팬데믹(Pandemic)을 선언한 가운데 중국 재확산, 브라질, 인도, 아프리카 등 전 세계는 다시 확진자가 증가하는 추세이며 확진자가 1억 7천 6백만 명, 사망자 381만 명을 넘어섰다. 2021년 6월 17일(목) 09시 기준 전세계 코로나19 확진환자는 175,837,221명에서 176,153,127명으로 315,906명이 증가했으며 사망은 3,809,563명에서 3,818,037명으로 8,474명이 증가했다.


나라별로 살펴보면 미국은 33,151,678명의 확진자와 594,888명의 사망자가 나와 중국의 확진자 및 사망자 수를 크게 넘어선지 오래이며 확진자 3315만 명, 사망자 수가 59만 명을 넘어섰으며 코로나19 백신 접종으로 확진자와 사망자가 조금씩 줄어드는 추세다. 중국은 지난 베이징 펑타이 신파디 농수산물 도매시장에서 재확산 이후 91,511명의 확진자와 사망 4,636명을 기록했다.


아사이 지역에서 홍콩은 11,881명의 확진자와 사망 210명, 대만은 13,409명 확진자와 사망 478명, 일본 크루즈 712명의 확진자와 13명 사망, 일본 본토 777,643명 확진자와 14,187명의 사망자, 싱가포르 62,315명 확진자와 사망 34명, 인도 29,633,105명 확진자와 사망 379,573명, 필리핀 1,327,431명 확진자와 사망 22,963명, 네팔 614,216명 확진자와 사망 8,558명, 파키스탄 943,027명 확진자와 사망 21,782명, 인도네시아 1,937,652명 확진자와 사망 53,476명, 몰디브 70,897명 확진자와 사망 198명, 방글라데시 837,247명 확진자와 사망 13,282명, 미얀마 146,406명 확진자와 사망 3,250명 등 일본, 싱가포르, 인도와 파키스탄, 인도네시아, 방글라데시 등에서 확산이 진행 중이다.


중동 지역에서는 이란 3,049,648명 확진자와 사망 82,351명, 이집트 274,404명 확진자와 사망 15,691명, 이라크 1,264,301명 확진자와 사망 16,762명, 요르단 744,377명 확진자와 사망 9,614명, 쿠웨이트 331,013명 확진자와 사망 1,831명, 모로코 524,475명 확진자와 사망 9,217명, 사우디아라비아 468,175명 확진자와 사망 7,606명, 이스라엘 839,730명 확진자와 사망 6,427명 등 이란과 이라크, 사우디아라비아 등지에서 크게 확산 중이다.


미주 지역에서는 미국을 이어 캐나다 1,403,285명 확진자와 사망 25,944명, 멕시코 2,455,351명 확진자와 사망 230,187명, 브라질 17,452,612명 확진자와 사망 488,228명, 페루 2,004,252명 확진자와 사망 188,921명, 칠레 1,487,239명 확진자와 사망 30,865명, 콜롬비아 3,777,600명 확진자와 사망 96,366명, 아르헨티나 4,145,482명 확진자와 사망 86,029명 등 캐나다와 멕시코, 브라질, 페루, 아르헨티나 등지에서 확산 중이다.


유럽 지역은 이탈리아 4,247,032명 확진자와 사망 127,101명, 독일 3,717,625명 확진자와 사망 90,074명, 프랑스 5,638,116명 확진자와 사망 109,640명, 영국 4,581,010명 확진자와 사망 127,917명, 스페인 3,745,199명 확진자와 사망 80,579명, 오스트리아 644,778명 확진자와 사망 10,407명, 스웨덴 1,084,636명 확진자와 사망 14,574명, 스위스 697,860명 확진자와 사망 10,251명, 벨기에 1,077,087명 확진자와 사망 25,099명, 루마니아 1,079,879명 확진자와 사망 31,957명, 네덜란드 1,674,628명 확진자와 사망 17,715명, 체코 1,665,526명 확진자와 사망 30,254명, 포르투갈 859,045명 확진자와 사망 17,049명, 폴란드 2,878,061명 확진자와 사망 74,688명, 우크라이나 2,226,037명 확진자와 사망 51,847명, 헝가리 807,209명 확진자와 사망 29,860명, 터키 5,342,028명 확진자와 사망 48,879명, 러시아 5,249,990명 확진자와 사망 127,576명이 확인됐다. 이탈리아와 스페인, 독일, 프랑스, 영국, 터키, 러시아 등에서는 발병자가 증가하는 추세로 다시 확산세를 보이고 있다.


오세아니아 지역에서는 호주 30,274명 확진자와 사망 910명, 뉴질랜드 2,355명 확진자와 사망 26명으로 호주는 증가 추세이나 뉴질랜드는 크게 증가하지 않았다. 


아프리카 지역에서는 나이지리아 167,095명 확진자와 사망 2,117명, 남아프리카공화국 1,761,066명 확진자와 사망 58,041명, 에티오피아 274,480명 확진자와 사망 4,257명, 케냐 176,137명 확진자와 사망 3,428명 등 남아프리카공화국과 에티오피아 등지에서 확산 중이다.


기타 지역은 기타지역 영토에서 661,822명 확진자와 사망 8,127명이 확인됐다.


한편 중앙방역대책본부는 2020년 3월 2일(월)부터 오전 10시(오전 9시 기준)과 오후 5시(오후 4시 기준)으로 하루 두차례 진행한 확진자 현황정보(일별 통계)를 매일 0시(자정) 기준으로 오전 10시에 발표한다.

 

ⓒ 블루프레임(https://www.blueframe.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0 Comments
많이 본 뉴스
인기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