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국내 확진환자 총 35163명 및 격리해제 28065명·사망 526명, 12월 2일 0시 기준 511명 추가 확인

홈 > 미디어 > 사회·문화·미디어
사회·문화·미디어

보건·의료 | 코로나19 국내 확진환자 총 35163명 및 격리해제 28065명·사망 526명, 12월 2일 0시 기준 511명 추가 확인

권경욱 기자 0   0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 COVID-19)는 최근 수도권을 비롯하여 전국적인 감염 확산세로 1차와 2차 유행을 넘어 3차 대유행이 우려되는 가운데 15일 연속 세 자릿수를 이어가며 500명을 넘어섰다.  


최근 연이은 300명 이상의 확진자가 발생함에 따라 수도권은 2단계 유지, 위험 시설과 활동 조치 강화, 비수도권은 모든 권역 거리두기 1.5단계 상향을 12월 1일(화) 0시부터 

적용한다. 서울시는 연말까지 천만 시민 긴급 멈춤 기간을 선포했으며 이에 따라 서울 전역의 10인 이상 집회도 11월 24일 0시부터 별도 공표 시까지 전면 금지한다. 2단계는 1.5단계 기준 2배 이상 증가, 2개 이상 권역 유행 지속, 전국 300명 초과 가운데 하나를 충족하면 적용할 수 있다.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는 2020년 12월 1일 0시 부터 12월 2일 0시까지 확진자 511명이 추가로 확인되었다고 밝혔다.


집단 감염이 확인된 이후 최근에는 한 자릿수와 두 자릿수 사이로 확진자 수가 변동되며 감소하고 있으며 해외 입국으로 검역에서 확진자가 발생하는가운데 3월 발부터 4월 초까지 80-100명 이상에서 4월 중순 이후 20-30명 전후, 4월 말부터는 10명 전후, 5월에도 두 자릿수인 10명 전후를 이어갔다. 그러나 5월 10일 용인 66번 확진자를 시작으로 서울 이태원 클럽 집단 감염이 지역사회 감염으로 확대, 6월 초 쿠팡 및 종교 시설 등 지역감염이 확산되었으며 최근에는 지역사회 감염 및 해외 유입이 증가하는 추세다. 8월 14일 롯데리아 및 교회 등지에서 다시 크게 증가해 세 자릿수 103명에서 8월 15일 광화문 광복절 집회와 교회, 커피 전문점 등 지역 사회 감염이 확산됐다. 이후 300-400명 대로 증가하다 8월 말 200명 대, 9월 초 200명 대에서 9월 말에는 다시 100명 대로 감소, 10월 초부터 이어지던 두 자릿수는 11월 세 자릿수로 증가하는 추세에서 13일 70일 만에 최대치로 세 자릿수, 18일에는 300명을 넘어서며 세 자릿수가 21일까지 4일 연속 300명을 넘어섰다. 21일 386명으로 세 자릿수, 22일에는 330명으로 세 자릿수, 23일에는 6일 연속 세 자릿수를 이어갔으나 300명 이하인 271명, 24일은 7일 연속 세 자릿수로 300명이 넘는 349명, 25일은 어제보다 증가하며 8일 연속 300명이 넘는 382명, 26일은 9일 연속 300명이 넘었으며 8개월 만에 500명을 넘어서며 583명, 27일은 569명으로 세 자릿수, 28일은 504명으로 세 자릿수, 29일은 400명 대로 낮아지며 450명으로 세 자릿수, 30일에는 400명 대를 이어가며 세 자릿수인 438명, 12월 1일에는 400명 대를 이어가며 세 자릿수인 451명, 2일에는 세 자릿수를 이어가며 500명을 넘어선 511명을 기록했다.


이에 따라 국내 코로나 19 확진자는 12월 2일(수) 0시 기준 35,163명으로 12월 1일(화) 0시 기준 34,652명에서 511명이 증가했으며 치료가 완료되어 검사 결과 음성으로 격리 해제된 자는 180명이 추가되며 총 28,065명, 사망은 12월 1일 대비 0명이 늘어나 526명, 나머지 6,572명은 격리 치료 중이다.


12월 2일(수) 0시 기준 국내 의심환자는 3,106,970명으로 12월 1일(화) 0시 기준 3,083,997명에서 22,973명이 증가했다. 65,154명이 검사 중이며 결과 음성은 3,006,653명이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12월 2일(수) 0시 기준 신규 511명으로 서울 193명, 경기 144명, 인천 23명, 부산 32명, 대구 4명, 광주 10명, 대전 5명, 울산 10명, 세종 7명, 강원 12명, 충북 16명, 충남 8명, 전북 26명, 전남 1명, 경북 5명, 경남 7명, 제주 2명, 검역 6명이다. 이 중 해외유입은 18명(서울 1, 경기 1, 인천 2, 부산 1, 울산 4, 충남 2, 경북 1, 검역 6), 지역발생은 493명(서울 192명, 경기 143명, 인천 21명, 부산 31명, 대구 4명, 광주 10명, 대전 5명, 울산 6명, 세종 7명, 강원 12명, 충북 16명, 충남 6명, 전북 26명, 전남 1명, 경북 4명, 경남 7명, 제주 2)이 확인되며 해외유입 검역은 감소하고 지역사회 감염이 증가 추세다.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19가 빠르게 확산되는 가운데 해외유입에 따른 검역에서 확진자는 줄어들었으며 최근에는 교회와 광복절 광화문 집회, 커피 전문점, 병원 등 지역감염이 크게 늘어나고 있다.


또한 세계 보건 기구(WHO)에서 감염병 세계적 유행을 뜻하는 팬데믹(Pandemic)을 선언한 가운데 중국 재확산, 브라질, 인도, 아프리카 등 전 세계는 다시 확진자가 증가하는 추세이며 확진자가 6천 2백만 명, 사망자 146만 명을 넘어섰다. 12월 2(수) 09시 기준 전세계 코로나19 확진환자는 62,810,276명으로 증가했으며 사망은 1,464,618명을 기록했다.


나라별로 살펴보면 미국은 13,234,551명의 확진자와 264,808명의 사망자가 나와 중국의 확진자 및 사망자 수를 크게 넘어선지 오래이며 확진자 1323만 명, 사망자 수가 26만 명을 넘어서며 여전히 무서운 속도로 진행 중이다. 중국은 86,551명의 확진자와 사망 4,634명으로 최근 베이징 펑타이 신파디 농수산물 도매시장에서 재확산되고 있다.


아사이 지역에서 홍콩은 6,396명의 확진자와 사망 109명, 대만은 675명 확진자와 사망 7명, 일본 크루즈 712명의 확진자와 13명 사망, 일본 본토 148,694명 확진자와 2,139명의 사망자, 싱가포르 58,218명 확진자와 사망 29명, 인도 9,462,809명 확진자와 사망 137,621명, 필리핀 431,630명 확진자와 사망 8,392명, 네팔 233,452명 확진자와 사망 1,508명, 아프가니스탄 46,498명 확진자와 사망 1,774명, 파키스탄 398,024명 확진자와 사망 8,025명, 인도네시아 538,883명 확진자와 사망 16,945명, 몰디브 13,011명 확진자와 사망 46명, 방글라데시 464,932명 확진자와 사망 6,644명, 카자흐스탄 173,806명 확진자와 사망 2,477명, 우즈베키스탄 73,094명 확진자와 사망 610명, 키르기스탄 73,178명 확진자와 사망 1,275명, 미얀마 89,486명 확진자와 사망 1,918명 등 일본, 싱가포르, 인도와 파키스탄, 인도네시아, 방글라데시 등에서 확산이 진행 중이다.


중동 지역에서는 이란 962,070명 확진자와 사망 48,246명, 바레인 86,956명 확진자와 사망 341명, 이집트 115,911명 확진자와 사망 6,650명, 이라크 552,549명 확진자와 사망 12,258명, 요르단 219,430명 확진자와 사망 2,751명, 쿠웨이트 142,635명 확진자와 사망 880명, 모로코 356,335명 확진자와 사망 5,846명, 오만 123,699명 확진자와 사망 1,423명, 카타르 138,833명 확진자와 사망 237명, 사우디아라비아 357,360명 확진자와 사망 5,896명, 이스라엘 335,919명 확진자와 사망 2,864명, 아랍에미리트 168,860명 확진자와 사망 572명, 알제리 83,199명 확진자와 사망 2,431명 등 이란과 이라크, 사우디아라비아 등지에서 크게 확산 중이다.


미주 지역에서는 미국을 이어 캐나다 370,278명 확진자와 사망 12,032명, 멕시코 1,107,071명 확진자와 사망 105,655명, 파나마 164,729명 확진자와 사망 3,060명, 온두라스 107,888명 확진자와 사망 2,909명, 과테말라 122,062명 확진자와 사망 4,171명, 코스타리카 137,093명 확진자와 사망 1,690명, 엘살바도르 38,405명 확진자와 사망 1,114명, 도미니카공화국 143,988명 확진자와 사망 2,331명, 브라질 6,314,740명 확진자와 사망 172,833명, 페루 962,530명 확진자와 사망 35,923명, 에콰도르 192,685명 확진자와 사망 13,461명, 칠레 551,743명 확진자와 사망 15,410명, 콜롬비아 1,308,376명 확진자와 사망 36,584명, 아르헨티나 1,418,807명 확진자와 사망 38,473명, 볼리비아 144,622명 확진자와 사망 8,952명, 파라과이 81,906명 확진자와 사망 1,743명, 베네수엘라 102,040명 확진자와 사망 894명 등 캐나다와 멕시코, 브라질, 페루, 아르헨티나 등지에서 확산 중이다.


유럽 지역은 이탈리아 1,601,554명 확진자와 사망 55,576명, 독일 1,067,473명 확진자와 사망 16,636명, 프랑스 2,183,275명 확진자와 사망 52,371명, 영국 1,629,661명 확진자와 사망 58,448명, 스페인 1,648,187명 확진자와 사망 45,069명, 오스트리아 280,530명 확진자와 사망 2,983명, 스웨덴 243,129명 확진자와 사망 6,681명, 스위스 325,770명 확진자와 사망 4,430명, 벨기에 577,249명 확진자와 사망 16,645명, 덴마크 80,481명 확진자와 사망 837명, 루마니아 475,362명 확진자와 사망 11,331명, 네덜란드 522,835명 확진자와 사망 9,363명, 벨라루스 136,647명 확진자와 사망 1,158명, 아제르바이잔 121,176명 확진자와 사망 1,392명, 아르메니아 135,967명 확진자와 사망 2,193명, 아일랜드 72,544명 확진자와 사망 2,053명, 체코 523,298명 확진자와 사망 8,295명, 포르투갈 298,061명 확진자와 사망 4,505명, 폴란드 990,811명 확진자와 사망 17,150명, 우크라이나 745,123명 확진자와 사망 12,548명, 헝가리 221,073명 확진자와 사망 4,977명,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87,901명 확진자와 사망 2,681명, 세르비아 175,438명 확진자와 사망 1,604명, 불가리아 145,300명 확진자와 사망 4,035명, 몰도바 107,364명 확진자와 사망 2,304명, 터키 500,865명 확진자와 사망 13,746명, 러시아 2,322,056명 확진자와 사망 40,464명이 확인됐다. 이탈리아와 스페인, 독일, 프랑스, 영국, 터키, 러시아 등에서는 발병자가 증가하는 추세로 다시 확산세를 보이고 있다.


오세아니아 지역에서는 호주 27,904명 확진자와 사망 908명, 뉴질랜드 1,703명 확진자와 사망 25명으로 호주는 증가 추세이나 뉴질랜드는 크게 증가하지 않았다.


아프리카 지역에서는 나이지리아 67,557명 확진자와 사망 1,173명, 세네갈 16,089명 확진자와 사망 333명, 카메룬 24,487명 확진자와 사망 441명, 남아프리카공화국 790,004명 확진자와 사망 21,535명, DR콩고 12,771 확진자와 사망 333명, 코트디부아르 21,331명 확진자와 사망 132명, 수단 17,810명 확진자와 사망 1,249명, 에티오피아 110,074명 확진자와 사망 1,706명, 가나 51,667명 확진자와 사망 323명, 기니 13,097명 확진자와 사망 76명, 케냐 83,618명 확진자와 사망 1,469명, 나미비아 14,380명 확진자와 사망 152명, 지부티 5,679명 확진자와 사망 61명, 잠비아 17,647명 확진자와 사망 357명, 소말리아 4,451명 확진자와 사망 113명, 마다가스카르 17,341명 확진자와 사망 251명, 우간다 20,459명 확진자와 사망 205명, 모잠비크 15,701명 확진자와 사망 131명 등 남아프리카공화국과 가나, 나이지리아, 마다가스카르 등지에서 확산 중이다.


기타 지역은 기타지역 영토에서 227,089명 확진자와 사망 2,684명이 확인됐다.


한편 중앙방역대책본부는 3월 2일(월)부터 오전 10시(오전 9시 기준)과 오후 5시(오후 4시 기준)으로 하루 두차례 진행한 확진자 현황정보(일별 통계)를 매일 0시(자정) 기준으로 오전 10시에 발표한다.

 

ⓒ 블루프레임(https://www.blueframe.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0 Comments
많이 본 뉴스
인기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