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국내 확진환자 총 62593명 및 격리해제 43578명·사망 942명, 1월 2일 0시 기준 824명 추가 확인

홈 > 미디어 > 사회·문화·미디어
사회·문화·미디어

보건·의료 | 코로나19 국내 확진환자 총 62593명 및 격리해제 43578명·사망 942명, 1월 2일 0시 기준 824명 추가 확인

권경욱 기자 0   0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 COVID-19)는 최근 수도권을 비롯하여 전국적인 감염 확산세로 1차와 2차 유행을 넘어 3차 대유행이 확산되는 가운데 새해를 맞이한 어제는 네 자릿수로 증가했으나 오늘은 다시 세 자릿수로 낮아지며 824명을 기록했다. 


중앙방역대책본부(이하 중대본)는 1월 3일(일)까지 연장한 수도권 2.5단계를 연말연시 특별대책의 핵심 조치와 수도권·비수도권의 거리 두기 단계별 조치를 1월 17일(일)까지 연장한다고 밝혔다. 수도권에서 운영 중인 임시선별검사소는 거리 두기 연장 기간에 맞춰 1월 17일까지 연장하여 운영한다. 5명부터의 사적 모임을 금지하는 조치를 전국적으로 확대하여 2주간 실시한다. 하루 1천명 내외로 유지되는 환자 발생을 감소세로 반전시켜 유행 규모를 최대한 축소하고 백신 접종이 시작되는 2월 전까지 상황을 안정화시키는 것이 목표다. 변이바이러스 확산에 대응하기 위해 모든 해외입국자에 대해 격리 해제 전 PCR 검사를 추가적으로 실시하고, 모든 외국인은 음성확인서 제출을 의무화한다. 


최근 연이은 500명 이상의 확진자가 발생함에 따라 12월 5일(토)부터는 PC방과 음식점 등 대부분의 시설을 오전 10시부터 오후 9시까지만 운영하도록 제한하고 시내버스도 오후 9시 이후 20% 감축 운행, 수도권은 12월 8일(화)부터 2.5단계로 격상하며 1월 3일(일)까지 적용했다. 수도권은 2단계, 위험 시설과 활동 조치 강화, 비수도권은 모든 권역 거리두기 1.5단계 상향을 12월 1일(화) 0시부터 적용한 바 있다. 서울시는 연말까지 천만 시민 긴급 멈춤 기간을 선포했으며 이에 따라 서울 전역의 10인 이상 집회도 11월 24일 0시부터 별도 공표 시까지 전면 금지한다고 밝혔다. 2단계는 1.5단계 기준 2배 이상 증가, 2개 이상 권역 유행 지속, 전국 300명 초과 가운데 하나를 충족하면 적용할 수 있다.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는 2021년 1월 1일 0시 부터 1월 2일 0시까지 확진자 824명이 추가로 확인되었다고 밝혔다.


집단 감염이 확인된 이후 최근에는 한 자릿수와 두 자릿수 사이로 확진자 수가 변동되며 감소하고 있으며 해외 입국으로 검역에서 확진자가 발생하는가운데 3월 발부터 4월 초까지 80-100명 이상에서 4월 중순 이후 20-30명 전후, 4월 말부터는 10명 전후, 5월에도 두 자릿수인 10명 전후를 이어갔다. 그러나 5월 10일 용인 66번 확진자를 시작으로 서울 이태원 클럽 집단 감염이 지역사회 감염으로 확대, 6월 초 쿠팡 및 종교 시설 등 지역감염이 확산되었으며 최근에는 지역사회 감염 및 해외 유입이 증가하는 추세다. 8월 14일 롯데리아 및 교회 등지에서 다시 크게 증가해 세 자릿수 103명에서 8월 15일 광화문 광복절 집회와 교회, 커피 전문점 등 지역 사회 감염이 확산됐다. 이후 300-400명 대로 증가하다 8월 말 200명 대, 9월 초 200명 대에서 9월 말에는 다시 100명 대로 감소, 10월 초부터 이어지던 두 자릿수는 11월 세 자릿수로 증가하는 추세에서 13일 70일 만에 최대치로 세 자릿수인 191명, 이후 12월에는 500명을 넘어서기 시작했으며 12월 25일은 네 자릿수로 최다인 1241명을 기록했다. 이러한 추세는 새해까지 이어저 네 자릿수와 세 자릿수를 오갔으며 2021년 1월 1일은 네 자릿수인 1029명, 1월 2일은 세 자릿수로 낮아지며 824명을 기록했다.


이에 따라 국내 코로나 19 확진자는 2021년 1월 2일(토) 0시 기준 62,593명으로 1월 1(금) 0시 기준 61,769명에서 824명이 증가했으며 치료가 완료되어 검사 결과 음성으로 격리 해제된 자는 625명이 추가되며 총 43,578명, 사망은 1월 1일 대비 25명이 늘어나 942명, 나머지 18,073명은 격리 치료 중이다.


2021년 1월 2일(토) 0시 기준 국내 의심환자는 4,302,799명으로 1월 1일(금) 0시 기준 4,269,318명에서 33,481명이 증가했다. 179,387명이 검사 중이며 결과 음성은 4,060,819명이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2021년 1월 2일(토) 0시 기준 신규 824명으로 서울 251명, 경기 228명, 인천 71명, 부산 26명, 대구 29명, 광주 13명, 대전 4명, 울산 17명, 세종 3명, 강원 31명, 충북 36명, 충남 7명, 전북 11명, 전남 13명, 경북 20명, 경남 37명, 제주 13명, 검역 36명이다. 이 중 해외유입은 36명(서울 5, 경기 6, 인천 1, 충북 2, 충남 1, 전남 2, 경북 2, 경남 2, 제주 1, 검역 4), 지역발생은 788명(서울 246, 경기 222, 인천 70, 부산 26, 대구 29, 광주 13, 대전 4, 울산 17, 세종 3, 강원 31, 충북 34, 충남 6, 전북 11, 전남 11, 경북 18, 경남 35, 제주 12명)이 확인되며 해외유입 검역은 감소하고 지역사회 감염이 증가 추세다.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19가 빠르게 확산되는 가운데 해외유입에 따른 검역에서 확진자는 줄어들었으며 최근에는 지역 사회, 요양 병원과 교정 시설 등 지역감염이 크게 늘어나고 있다.


또한 세계 보건 기구(WHO)에서 감염병 세계적 유행을 뜻하는 팬데믹(Pandemic)을 선언한 가운데 중국 재확산, 브라질, 인도, 아프리카 등 전 세계는 다시 확진자가 증가하는 추세이며 확진자가 8천 1백만 명, 사망자 180만 명을 넘어섰다. 2021년 1월 2(토) 09시 기준 전세계 코로나19 확진환자는 81,414,389명에서 81,885,764명으로 471,375명이 증가했으며 사망은 1,797,151명에서 1,807,125명으로 9,974명이 증가했다.


나라별로 살펴보면 미국은 19,346,790명의 확진자와 335,789명의 사망자가 나와 중국의 확진자 및 사망자 수를 크게 넘어선지 오래이며 확진자 1934만 명, 사망자 수가 33만 명을 넘어서며 여전히 무서운 속도로 진행 중이다. 중국은 87,071명의 확진자와 사망 4,634명으로 최근 베이징 펑타이 신파디 농수산물 도매시장에서 재확산되고 있다.


아사이 지역에서 홍콩은 8,889명의 확진자와 사망 149명, 대만은 802명 확진자와 사망 7명, 일본 크루즈 712명의 확진자와 13명 사망, 일본 본토 234,395명 확진자와 3,460명의 사망자, 싱가포르 58,599명 확진자와 사망 29명, 인도 10,286,709명 확진자와 사망 148,994명, 필리핀 474,064명 확진자와 사망 9,244명, 네팔 260,593명 확진자와 사망 1,856명, 파키스탄 479,715명 확진자와 사망 10,105명, 인도네시아 743,198명 확진자와 사망 22,138명, 몰디브 13,757명 확진자와 사망 48명, 방글라데시 513,510명 확진자와 사망 7,559명 등 일본, 싱가포르, 인도와 파키스탄, 인도네시아, 방글라데시 등에서 확산이 진행 중이다.


중동 지역에서는 이란 1,225,143명 확진자와 사망 55,223명, 이집트 138,062명 확진자와 사망 7,631명, 이라크 595,291명 확진자와 사망 12,813명, 요르단 294,494명 확진자와 사망 3,834명, 쿠웨이트 150,584명 확진자와 사망 934명, 모로코 439,193명 확진자와 사망 7,388명, 사우디아라비아 362,741명 확진자와 사망 6,223명, 이스라엘 408,277명 확진자와 사망 3,278명 등 이란과 이라크, 사우디아라비아 등지에서 크게 확산 중이다.


미주 지역에서는 미국을 이어 캐나다 572,982명 확진자와 사망 15,472명, 멕시코 1,413,935명 확진자와 사망 124,897명, 브라질 7,619,200명 확진자와 사망 193,875명, 페루 1,012,614명 확진자와 사망 37,621명, 칠레 608,973명 확진자와 사망 16,608명, 콜롬비아 1,626,461명 확진자와 사망 42,909명, 아르헨티나 1,613,928명 확진자와 사망 43,163명 등 캐나다와 멕시코, 브라질, 페루, 아르헨티나 등지에서 확산 중이다.


유럽 지역은 이탈리아 2,107,166명 확진자와 사망 74,159명, 독일 1,742,661명 확진자와 사망 33,624명, 프랑스 2,576,420명 확진자와 사망 64,254명, 영국 2,488,784명 확진자와 사망 73,512명, 스페인 1,893,502명 확진자와 사망 50,442명, 오스트리아 359,362명 확진자와 사망 6,131명, 스웨덴 437,379명 확진자와 사망 8,727명, 스위스 450,075명 확진자와 사망 7,049명, 벨기에 646,496명 확진자와 사망 19,528명, 루마니아 632,263명 확진자와 사망 15,767명, 네덜란드 797,516명 확진자와 사망 11,439명, 체코 732,022명 확진자와 사망 11,711명, 포르투갈 413,678명 확진자와 사망 6,906명, 폴란드 1,305,774명 확진자와 사망 28,956명, 우크라이나 1,064,479명 확진자와 사망 18,680명, 헝가리 325,278명 확진자와 사망 9,667명, 터키 1,394,314명 확진자와 사망 20,881명, 러시아 3,186,336명 확진자와 사망 57,555명이 확인됐다. 이탈리아와 스페인, 독일, 프랑스, 영국, 터키, 러시아 등에서는 발병자가 증가하는 추세로 다시 확산세를 보이고 있다.


오세아니아 지역에서는 호주 28,408명 확진자와 사망 909명, 뉴질랜드 1,806명 확진자와 사망 25명으로 호주는 증가 추세이나 뉴질랜드는 크게 증가하지 않았다. 


아프리카 지역에서는 남아프리카공화국 1,057,561명 확진자와 사망 28,469명, 에티오피아 124,264명 확진자와 사망 1,923명 등 남아프리카공화국과 에티오피아 등지에서 확산 중이다.


기타 지역은 기타지역 영토에서 321,938명 확진자와 사망 3,883명이 확인됐다.


한편 중앙방역대책본부는 3월 2일(월)부터 오전 10시(오전 9시 기준)과 오후 5시(오후 4시 기준)으로 하루 두차례 진행한 확진자 현황정보(일별 통계)를 매일 0시(자정) 기준으로 오전 10시에 발표한다.

 

ⓒ 블루프레임(https://www.blueframe.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0 Comments
많이 본 뉴스
인기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