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국내 확진환자 총 11110명 및 격리해제 10066명·사망 263명, 5월 20일 0시 기준 32명 추가 확인

홈 > 미디어 > 사회·문화·미디어
사회·문화·미디어

보건·의료 | 코로나19 국내 확진환자 총 11110명 및 격리해제 10066명·사망 263명, 5월 20일 0시 기준 32명 추가 확인

권경욱 기자 0   0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 COVID-19) 국내 확진자 중 80% 이상이 집단발생과 연관성이 확인되고 있고 최근에는 해외유입 확진자 수도 증가하고 있다. 이태원발 지역사회 감염이 안정세를 보였으나 오늘은 다시 증가하며 두 자릿수를 기록했다. 


생활 속 거리 두기가 시작된 가운데 질병관리본부 중앙방역대책본부는 2020년 5월 19일 0시 부터 5월 20일 0시까지 확진자 32명이 추가로 확인되었다고 밝혔다.


집단 감염이 확인된 이후 최근에는 한 자릿수와 두 자릿수 사이로 확진자 수가 변동되며 감소하고 있으며 해외 입국으로 검역에서 확진자가 발생하는 가운데 3월 말부터 4월 초까지는 80-100명 이상에서 4월 중순으로 넘어가며 20-30명 전후, 4월 말부터는 10 전후 5월에도 한 자릿수에서 두 자릿수인 10명 전후로 확진자가 나오고 있으며 5월 1일에는 9명, 2일에는 6명, 3일에는 13명, 4일에는 8명, 5일에는 3명, 6일에는 2명, 7일에는 4명, 8일에는 12명, 9일에는 18명으로 지역사회 감염이 확인되며 다시 두 자릿수로 증가했다. 5월 10일은 34명으로 지역사화 감염 사례로 확인된 용인 66번 확진자를 시작으로 서울 이태원 클럽 집단 감염이 확인되어  4월 9일 이후 한달여만에 최고치다. 11일에는 어제 34명에 이어 35명, 12일에는 27명, 13일에는 26명, 14일에는 29명, 15일에는 27명, 16일에는 19명, 17일에는 13명, 18일에는 15명, 19일에는 13명으로 어제를 이어 10명 대로 하락세를 보이며 진정되는 모습이다. 5월 20일은 16일 이후 서울 이태원 클럽 집단 가염이 20명 이하로 진정세를 보이는 가운데 다시 30명대로 증가하며 32명을 기록했다. 


이에 따라 국내 코로나 19 확진자는 5월 20일(수) 0시 기준 11,110명으로 5월 19일(화) 0시 기준 11,078명에서 32명이 증가했으며 치료가 완료되어 검사 결과 음성으로 격리 해제된 자는 128명이 추가되며 총 10,066명, 사망은 19일 대비 0명이 늘어나 263명, 나머지 781명은 격리 치료 중이다.


5월 20일(수) 0시 기준 국내 의심환자는 776,433명으로 5월 19일(화) 0시 기준 765,574명에서 10,859명이 증가했다. 16,351명이 검사 중이며 결과 음성은 748,972명이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서울 10명, 경기 10명, 대구 1명, 전북 1명, 검역 2명으로 해외유입은 8명(서울 4, 경기 2), 지역발생은 24명(서울 6, 대구 1, 경기 8, 전북 1)이 확인되며 지역감염이 증가하는 모습이다.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19가 빠르게 확산되는 가운데 국내는 지역사회 감염은 줄고 해외유입에 따른 검역에서 확진자가 주를 이루었으나 최근 다시 지역감염이 확인되고 있다.


또한 세계 보건 기구(WHO)에서 감염병 세계적 유행을 뜻하는 팬데믹(Pandemic)을 선언한 가운데 유럽 지역을 중심으로 중동과 미국 등지에서도 확진자가 늘어나는 추세다. 5월 20일(수) 09시 기준 전세계 코로나19 확진환자는 4,831,437명으로 4,735,607명에서 95,830명이 증가했으며 사망은 317,323명에서 321,947명으로 4,624명이 늘어났다. 중국은 줄어드는 추세인 반면 미국, 이란과 이탈리아, 프랑스와 독일, 영국 등 유럽은 약간 감소하며 확산세가 진정되는 추세이며 미주, 러시아, 중동과 아프리카, 인도, 일본 등은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나라별로 살펴보면 미국은 1,527,355명의 확진자와 91,845명의 사망자가 나와 중국의 확진자 및 사망자 수를 크게 넘어선지 오래이며 최근에도 사망자 수가 10만 명에 근접하며 여전히 무서운 속도로 진행 중이다. 


아사이 지역에서 중국은 82,965명의 확진자와 사망 4,634명, 홍콩은 1,055명의 확진자와 사망 4명, 대만은 440명 확진자와 사망 7명, 일본 크루즈 712명의 확진자와 13명 사망, 일본 본토 16,365명 확진자와 763명의 사망자, 싱가포르 28,794명 확진자와 사망 22명, 인도 96,169명 확진자와 사망 3,029명, 필리핀 12,718명 확진자와 사망 831명, 러시아 299,941명 확진자와 사망 2,837명, 방글라데시 23,870명 확진자와 사망 349명 등 일본, 싱가포르, 러시아, 인도와 방글라데시 등에서 확산이 진행 중이다.


중동 지역에서는 이란 124,603명 확진자와 사망 7,119명, 이집트 12,764명 확진자와 사망 645명, 쿠웨이트 16,764명 확진자와 사망 121명, 카타르 35,606명 확진자와 사망 15명, 사우디아라비아 59,854명 확진자와 사망 329명, 이스라엘 16,650명 확진자와 사망 277명, 아랍에미리트 25,065명 확진자와 사망 227명 등 이란과 사우디아라비아에서 크게 확산 중이다.


미주 지역에서는 미국을 이어 캐나다 78,101명 확진자와 사망 5,912명, 멕시코 51,633명 확진자와 사망 5,332명, 파나마 9,606명 확진자와 사망 275명, 도미니카공화국 12,725명 확진자와 사망 434명, 브라질 271,628명 확진자와 사망 17,971명, 페루 99,483명 확진자와 사망 2,839명, 에콰도르 34,151명 확진자와 사망 2,839명, 콜림비아 15,574명 확진자와 사망 574, 아르헨티나 8,068명 확진자와 사망 373명, 등 캐나다와 멕시코, 브라질 등지에서 확산 중이다.


유럽 지역은 이탈리아 226,699명 확진자와 사망 32,169명, 독일 177,778명 확진자와 사망 8,081명, 프랑스 143,427명 확진자와 사망 28,022명, 영국 248,818명 확진자와 사망 35,341명, 스페인 232,037명 확진자와 사망 27,778명, 오스트리아 16,261명 확진자와 사망 632명, 스웨덴 30,799명 확진자와 사망 3,743명, 스위스 30,618명 확진자와 사망 1,614명, 벨기에 55,791명 확진자와 사망 9,108명, 덴마크 10,968명 확진자와 사망 548명, 루마니아 17,191명 확진자와 사망 1,126명, 네덜란드 44,249명 확진자와 사망 5,715명, 벨라루스 30,572명 확진자와 사망 171명, 아일랜드 24,251명 확진자와 사망 1,561명, 포르투갈 29,432명 확진자와 사망 1,247명, 폴란드 19,268명 확진자와 사망 948명, 우크라이나 18,876명 확진자와 사망 548명, 세르비아 10,699명 확진자와 사망 231명, 터키 151,615명 확진자와 사망 4,199명, 이탈리아와 스페인을 시작으로 독일, 프랑스 등에서는 발병자가 약간의 감소로 안정세로 돌아서는 모습이나 영국과 스웨덴, 스위스, 벨기에, 네덜란드, 아일랜드, 포르투갈, 폴란드, 우크라이나, 터키 등지에서는 여전한 확산세를 보이고 있다. 


오세아니아 지역에서는 호주 7.060명 확진자와 사망 99명, 뉴질랜드 1,153명 확진자와 사망 21명으로 호주는 증가 추세이나 뉴질랜드는 안정화 되었다.


아프리카 지역에서는 나이지리아 6,175명 확진자와 사망 191명, 남아프리카공화국 16,433명 확진자와 사망 286명, 가나 5,735명 확진자와 사망 29명, 기니 2,796명 확진자와 사망 16명, 소말리아 1,502명 확진자와 사망 59명 등 남아프리카공화국과 가나, 나이지리아 등지에서 확산 중이다.


기타 지역은 기타지역 영토에서 8,423명 확진자와 사망 298명이 확인됐다.


한편 중앙방역대책본부는 3월 2일(월)부터 오전 10시(오전 9시 기준)과 오후 5시(오후 4시 기준)으로 하루 두차례 진행한 확진자 현황정보(일별 통계)를 매일 0시(자정) 기준으로 오전 10시에 발표한다.

 

ⓒ 블루프레임(https://www.blueframe.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0 Comments
많이 본 뉴스
인기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