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국내 확진환자 총 10806명 및 격리해제 9333명·사망 255명, 5월 6일 0시 기준 2명 추가 확인

홈 > 미디어 > 사회·문화·미디어
사회·문화·미디어

보건·의료 | 코로나19 국내 확진환자 총 10806명 및 격리해제 9333명·사망 255명, 5월 6일 0시 기준 2명 추가 확인

권경욱 기자 0   0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 COVID-19) 국내 확진자는 지역사회 감염은 줄어들고 최근에는 해외유입 확진자가 주를 이루고 있는 가운데 오늘은 한 자릿수를 유지하며 감소 추세를 보였다.         


질병관리본부 중앙방역대책본부는 2020년 5월 5일 0시 부터 5월 6일 0시까지 확진자 2명이 추가로 확인되었다고 밝혔다.


5월 5일(화) 0시 기준 확진자 10,804명에서 2명이 증가해 5월 6일(수) 0시 기준 확진자는 10,806명으로 늘어났다. 집단 감염이 확인된 이후 최근에는 한 자릿수와 두 자릿수 사이로 확진자 수가 변동되며 감소하고 있으며 해외 입국으로 검역에서 확진자가 발생하는 가운데 3월 말부터 4월 초까지는 80-100명 이상에서 4월 중순으로 넘어가며 20-30명 전후, 4월 말부터는 10 전후 5월에도 한 자릿수에서 두 자릿수인 10명 전후로 확진자가 나오고 있으며 5월 1일에는 9명, 2일에는 6명, 3일에는 13명, 4일에는 8명, 5일에는 3명, 6일에는 2명으로 한 자릿수를 유지하며 감소 추세다.


이에 따라 국내 코로나 19 확진자는 5월 6일(수) 0시 기준 10,806명으로 5월 5일(화) 0시 기준 10,804명에서 2명이 증가했으며 치료가 완료되어 검사 결과 음성으로 격리 해제된 자는 50명이 추가되며 총 9,333명, 사망은 5일 대비 1명이 늘어나 255명, 나머지 1,218명은 격리 치료 중이다.


5월 6일(수) 0시 기준 국내 의심환자는 643,095명으로 5월 5일(화) 0시 기준 640,237명에서 2,858명이 증가했다. 8,009명이 검사 중이며 결과 음성은 624,280명이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해외 유입으로 검역 2명이 확인되었으며 지역발생은 0명이 확인되었다.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19가 빠르게 확산되는 가운데 국내는 지역사회 감염은 줄었으며 최근에는 해외유입에 따른 검역이 주를 이루고 있다.


또한 세계 보건 기구(WHO)에서 감염병 세계적 유행을 뜻하는 팬데믹(Pandemic)을 선언한 가운데 유럽 지역을 중심으로 중동과 미국 등지에서도 확진자가 늘어나는 추세다. 5월 6일(수) 09시 기준 전세계 코로나19 확진환자는 3,600,732명으로 5월 5일(화) 09시 기준 3,512,891명에서 87,841명이 늘어나 증가 추세이며 사망은 249,924명에서 255,771명으로 5,847명이 늘어났다. 미국과 이탈리아, 스페인은 중국의 확진자 수를 넘어섰다. 중국은 줄어드는 추세인 반면 미국, 이란과 이탈리아, 프랑스와 독일, 영국 등 유럽은 약간 감소하며 확산세가 진정되는 추세이며 미주, 러시아, 중동과 아프리카, 인도, 일본 등은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나라별로 살펴보면 미국은 1,203,502명의 확진자와 71,022명의 사망자가 나와 이탈리아, 스페인, 독일, 프랑스 등과 함께 중국의 확진자 수를 넘어섰다. 중국은 82,883명의 확진자와 사망 4,633명이며 이탈리아는 213,013명의 확진자와 29,315명의 사망자가 나왔으며 사망자 수는 미국이 이탈리아를 역전해 전 세계적으로 가장 많다. 스페인 219,329명의 확진자와 사망자 25,613명, 독일 167,007명 확진자와 사망 6,993명, 프랑스 132,967명 확진자와 사망 25,531명, 영국 194,990명의 확진자와 사망 29,427명, 터키 129,491명 확진자와 사망 3,520명, 이란은 99,970명의 확진자와 6,340명 사망으로 유럽은 확산세가 줄어들고 미국과 중동, 아시아, 아프리카는 여전히 확산이 진행 중이다. 


홍콩은 1,040명의 확진자와 사망 4명, 대만은 438명 확진자와 사망 6명, 일본 크루즈 712명의 확진자와 13명 사망, 일본 본토 15,354명 확진자와 543명의 사망자, 싱가포르 19,410명 확진자와 사망 18명, 태국 2,988명 확진자와 사망 54명, 말레이시아 6,353명의 확진자와 사망 105명, 인도 46,711명 확진자와 사망 1,583명, 필리핀 9,485명의 확진자와 사망 623명, 러시아는 155,370명의 확진자와 사망 1,451명, 아프가니스탄 3,224명 확진자와 사망 95명, 파키스탄 21,501명 확진자와 사망 486명, 인도네시아 11,587명 확진자와 사망 864명, 방글라데시 10,143명 확진자와 사망 182명, 카자흐스탄 4,160명 확진자와 사망 29명, 우즈베키스탄 2,189명 확진자와 10명의 사망자가 나왔다.


쿠웨이트 5,804명 확진자와 사망 40명, 바레인 3,679명 확진자와 사망 8명, 아랍에미리트 15,192명 확진자와 사망 146명, 이라크 2,346명 확진자와 사망 98명, 오만 2,735명 확진자와 사망 12명, 이스라엘 16,268명 확진자와 사망 237명, 이집트 7,201명 확진자와 사망 452명, 알제리 4,648명 확진자와 사망 465명, 카타르 17,142명 확진자와 사망 12명, 사우디아라비아 확진자 30,251명과 사망 200명, 모로코 5,153명 확진자와 사망 180명이 확인됐다.


캐나다는 61,159명의 확진자와 3,915명의 사망자, 브라질 114,715명의 확진자와 7,921명의 사망자, 멕시코 24,905명 확진자와 사망 2,270명, 에콰도르 31,881명 확진자와 사망 1,569명, 도미니카공화국 8,235명 확진자와 사망 346명, 아르헨티나 4,799명 확진자와 사망 250명, 칠레 20,643명 확진자와 270명, 콜롬비아 7,668명 확진자와 사망 340명, 페루 51,189명의 확진자와 사망자 1,444명, 파나마 7,197명의 확진자와 200명의 사망자가 나왔다.


오스트리아 15,621명 확진자와 사망 600명, 핀란드 5,327명 확진자와 사망 240명, 스웨덴 23,216명 확진자와 사망 2,854명, 스위스 30,009명의 확진자와 사망 1,483명, 벨기에 50,509명 확진자와 사망 8,016명, 덴마크 9,670명 확진자와 사망 493명, 노르웨이 7,847명 확진자와 사망 208명, 루마니아 13,837명의 확진자와 사망 827명, 네덜란드 41,087명의 확진자와 사망 5,168명, 벨라루스 17,489명 확진자와 사망 103명, 룩셈부르크 3,828명 확진자와 사망 96명, 아일랜드 21,722명 확진자와 사망 1,319명, 체코 7,819명 확진자와 사망 252명, 포르투갈 확진자 25,702명과 사망 1,074명, 폴란드 14,431명 확진자와 사망 716명, 우크라이나 12,697명 확진자와 사망 316명, 헝가리 3,065명 확진자와 사망 363명, 세르비아 확진자 9,557명과 사망 197명, 몰도바 4,248명 확진자와 사망 133명이 확인됐다.


오세아니아에서는 호주 6,825명 확진자와 사망 95명, 뉴질랜드 1,137명 확진자와 20명의 사망자가 나왔다.


나이지리아 2,802명 확진자와 사망 93명, 세네갈 1,271명 확진자와 사망 10명, 카메룬 2,077명 확진자와 사망 64명, 남아프리카공화국 확진자 7,220명과 사망 138명, 코트디부아르 1,432명 확진자와 사망 17명, 가나 2,719명 확진자와 사망 18명, 기니 1,710명 확진자와 사망 9명, 지부티 1,120명 확진자와 사망 2명이 확인됐다. 기타지역 영토 6,666명 확진자와 사망 203명이 확인됐다.


한편 중앙방역대책본부는 3월 2일(월)부터 오전 10시(오전 9시 기준)과 오후 5시(오후 4시 기준)으로 하루 두차례 진행한 확진자 현황정보(일별 통계)를 매일 0시(자정) 기준으로 오전 10시에 발표한다.

 

ⓒ 블루프레임(https://www.blueframe.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0 Comments
많이 본 뉴스
인기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