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국내 확진환자 총 14150명 및 격리해제 12890명·사망 298명, 7월 26일 0시 기준 58명 추가 확인

홈 > 미디어 > 사회·문화·미디어
사회·문화·미디어

보건·의료 | 코로나19 국내 확진환자 총 14150명 및 격리해제 12890명·사망 298명, 7월 26일 0시 기준 58명 추가 확인

권경욱 기자 0   0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 COVID-19) 국내 확진자 중 80% 이상이 집단발생과 연관성이 확인되고 있고 최근에는 해외유입 확진자 수도 증가하고 있다. 이태원발 및 쿠팡, 종교 시설, 탁구장 등 지역사회 감염 확산 이후 오늘은 어제 대비 감소하 두 자릿수를 기록했다.     


생활 속 거리 두기가 시작된 가운데 질병관리본부 중앙방역대책본부는 2020년 7월 25일 0시 부터 7월 26일 0시까지 확진자 58명이 추가로 확인되었다고 밝혔다.


집단 감염이 확인된 이후 최근에는 한 자릿수와 두 자릿수 사이로 확진자 수가 변동되며 감소하고 있으며 해외 입국으로 검역에서 확진자가 발생하는 가운데 3월 발부터 4월 초까지 80-100명 이상에서 4월 중순 이후 20-30명 전후, 4월 말부터는 10명 전후, 5월에도 두 자릿수인 10명 전후를 이어갔다. 그러나 5월 10일 용인 66번 확진자를 시작으로 서울 이태원 클럽 집단 감염이 지역사회 감염으로 확대, 6월 초 쿠팡 및 종교 시설 등 지역감염이 확산되었으며 최근에는 지역사회 감염 및 해외 유입이 증가하는 추세다. 7월 23일에는 22일의 63명보다 4명 줄어든 59명, 24일에는 15명이 줄어든 41명, 25일에는 크게 증가한 113명, 26일에는 다시 감소한 58명이 확인됐다.


이에 따라 국내 코로나 19 확진자는 7월 26일(일) 0시 기준 14,150명으로 7월 25일(토) 0시 기준 14,092명에서 58명이 증가했으며 치료가 완료되어 검사 결과 음성으로 격리 해제된 자는 24명이 추가되며 총 12,890명, 사망은 7월 25일 대비 0명이 늘어나 298명, 나머지 962명은 격리 치료 중이다.


7월 26일(일) 0시 기준 국내 의심환자는 1,522,926명으로 7월 25일(토) 0시 기준 1,518,634명에서 4,292명이 증가했다. 19,214명이 검사 중이며 결과 음성은 1,489,562명이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7월 26일(일) 0시 기준 신규 58명으로 서울 7명, 경기 7명, 부산 1명, 광주 1명, 검역 42명이다. 이 중 해외유입은 46명(서울 2, 경기 2, 검역 42), 지역발생은 12명(서울 5, 부산 1, 광주 1, 경기 5)이 확인되며 해외유입 검역보다 지역사회 감염이 증가하는 모습이다.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19가 빠르게 확산되는 가운데 국내는 지역사회 감염은 줄고 해외유입에 따른 검역에서 확진자가 주를 이루었으나 최근 이태원발 및 쿠팡, 종교 시설 등 다시 지역감염이 확인되고 있다.


또한 세계 보건 기구(WHO)에서 감염병 세계적 유행을 뜻하는 팬데믹(Pandemic)을 선언한 가운데 중국 재확산, 브라질, 인도, 아프리카 등 전 세계는 다시 확진자가 증가하는 추세이며 확진자가 1천 5백만 명을 넘어섰다. 7월 26일(일) 09시 기준 전세계 코로나19 확진환자는 15,631,144명에서 15,895,920명으로 264,776명이 증가했으며 사망은 636,470명에서 642,342명으로 5,872명이 늘어났다.


나라별로 살펴보면 미국은 4,174,437명의 확진자와 146,391명의 사망자가 나와 중국의 확진자 및 사망자 수를 크게 넘어선지 오래이며 확진자 400만 명, 사망자 수가 14만 명을 넘어서며 여전히 무서운 속도로 진행 중이다. 중국은 83,830명의 확진자와 사망 4,634명으로 최근 베이징 펑타이 신파디 농수산물 도매시장에서 재확산되고 있다.


아사이 지역에서 홍콩은 2,505명의 확진자와 사망 18명, 대만은 458명 확진자와 사망 7명, 일본 크루즈 712명의 확진자와 13명 사망, 일본 본토 29,382명 확진자와 996명의 사망자, 싱가포르 49,888명 확진자와 사망 27명, 인도 1,336,861명 확진자와 사망 31,358명, 필리핀 76,444명 확진자와 사망 1,879명, 네팔 18,374명 확진자와 사망 44명, 아프가니스탄 36,036명 확진자와 사망 1,246명, 파키스탄 271,887명 확진자와 사망 5,787명, 인도네시아 95,418명 확진자와 사망 4,665명, 방글라데시 218,658명 확진자와 사망 2,836명, 카자흐스탄 80,226명 확진자와 사망 585명, 우즈베키스탄 19,653명 확진자와 사망 104명, 키르기스탄 31,247명 확진자와 사망 1,249명 등 일본, 싱가포르, 인도와 파키스탄, 인도네시아, 방글라데시 등에서 확산이 진행 중이다.


중동 지역에서는 이란 288,839명 확진자와 사망 15,484명, 바레인 38,458명 확진자와 사망 137명, 이집트 91,072명 확진자와 사망 4,518명, 이라크 107,573명 확진자와 사망 4,284명, 쿠웨이트 63,309명 확진자와 사망 429명, 모로코 18,834명 확진자와 사망 299명, 오만 74,858명 확진자와 사망 371명, 카타르 109,036명 확진자와 사망 164명, 사우디아라비아 264,973명 확진자와 사망 2,703명, 이스라엘 60,678명 확진자와 사망 457명, 아랍에미리트 58,562명 확진자와 사망 343명, 알제리 26,159명 확진자와 사망 1,136명 등 이란과 사우디아라비아 등지에서 크게 확산 중이다.


미주 지역에서는 미국을 이어 캐나다 113,556명 확진자와 사망 8,885명, 멕시코 385,036명 확진자와 사망 43,374명, 파나마 56,817명 확진자와 사망 1,209명, 온두라스 36,902명 확진자와 사망 1,011명, 과테말라 43,283명 확진자와 사망 1,669명, 코스타리카 13,129명 확진자와 사망 80명, 엘살바도르 13,792명 확진자와 사망 379명, 도미니카공화국 59,077명 확진자와 사망 1,036명, 브라질 2,394,513명 확진자와 사망 86,449명, 페루 375,961명 확진자와 사망 17,843명, 에콰도르 79,049명 확진자와 사망 5,468명, 칠레 343,592명 확진자와 사망 9,020명, 콜롬비아 226,373명 확진자와 사망 7,688명, 아르헨티나 148,027명 확진자와 사망 2,722명, 볼리비아 65,252명 확진자와 사망 2,407명, 베네수엘라 13,613명 확진자와 사망 129명 등 캐나다와 멕시코, 브라질 등지에서 확산 중이다.


유럽 지역은 이탈리아 245,864명 확진자와 사망 35,102명, 독일 206,278명 확진자와 사망 9,124명, 프랑스 180,528명 확진자와 사망 30,192명, 영국 298,681명 확진자와 사망 45,738명, 스페인 272,421명 확진자와 사망 28,432명, 오스트리아 20,413명 확진자와 사망 712명, 스웨덴 78,997명 확진자와 사망 5,697명, 스위스 34,302명 확진자와 사망 1,700명, 벨기에 65,106명 확진자와 사망 9,817명, 덴마크 13,438명 확진자와 사망 613명, 루마니아 43,678명 확진자와 사망 2,165명, 네덜란드 52,595명 확진자와 사망 6,139명, 벨라루스 66,846명 확진자와 사망 524명, 아제르바이잔 29,312명 확진자와 사망 400명, 아르메니아 36,996명 확진자와 사망 700명, 아일랜드 25,869명 확진자와 사망 1,764명, 체코 15,081명 확진자와 사망 369명, 포르투갈 49,955명 확진자와 사망 1,721명, 폴란드 42,622명 확진자와 사망 1,664명, 우크라이나 63,929명 확진자와 사망 1,590명, 세르비아 22,852명 확진자와 사망 518명, 몰도바 22,483명 확진자와 사망 726명, 터키 225,173명 확진자와 사망 5,596명, 러시아 806,720명 확진자와 사망 13,192명이 확인됐다. 이탈리아와 스페인을 시작으로 독일, 프랑스 등에서는 발병자가 약간의 감소로 안정세로 돌아서는 모습이나 영국과 스웨덴, 러시아, 스위스, 벨기에, 네덜란드, 아일랜드, 포르투갈, 폴란드, 우크라이나, 터키 등지에서는 여전한 확산세를 보이고 있다. 


오세아니아 지역에서는 호주 13,595명 확진자와 사망 139명, 뉴질랜드 1,206명 확진자와 사망 22명으로 호주는 증가 추세이나 뉴질랜드는 크게 증가되지 않았다.


아프리카 지역에서는 나이지리아 39,539명 확진자와 사망 845명, 카메룬 16,708명 확진자와 사망 385명, 남아프리카공화국 421,996명 확진자와 사망 6,343명, 코트디부아르 15,253명 확진자와 사망 94명, 수단 11,302명 확진자와 사망 715명, 에티오피아 12,693명 확진자와 사망 200명, 가나 31,051명 확진자와 사망 161명, 기니 6,867명 확진자와 사망 42명, 케냐 16,268명 확진자와 사망 274명, 지부티 5,039명 확진자와 사망 58명, 소말리아 3,171명 확진자와 사망 93명 등 남아프리카공화국과 가나, 나이지리아 등지에서 확산 중이다.


기타 지역은 기타지역 영토에서 41,654명 확진자와 사망 510명이 확인됐다.


한편 중앙방역대책본부는 3월 2일(월)부터 오전 10시(오전 9시 기준)과 오후 5시(오후 4시 기준)으로 하루 두차례 진행한 확진자 현황정보(일별 통계)를 매일 0시(자정) 기준으로 오전 10시에 발표한다.

 

ⓒ 블루프레임(https://www.blueframe.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0 Comments
많이 본 뉴스
인기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