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국내 확진환자 총 14770명 및 격리해제 13817명·사망 305명, 8월 13일 0시 기준 56명 추가 확인

홈 > 미디어 > 사회·문화·미디어
사회·문화·미디어

보건·의료 | 코로나19 국내 확진환자 총 14770명 및 격리해제 13817명·사망 305명, 8월 13일 0시 기준 56명 추가 확인

권경욱 기자 0   0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 COVID-19) 국내 확진자 중 80% 이상이 집단발생과 연관성이 확인되고 있고 최근에는 해외유입 확진자 수도 증가하고 있다. 이태원발 및 쿠팡, 종교 시설, 탁구장 등 지역사회 감염 확산 이후 오늘은 어제 대비 증가하며 두 자릿수를 기록했다.     


생활 속 거리 두기가 시작된 가운데 질병관리본부 중앙방역대책본부는 2020년 8월 12일 0시 부터 8월 13일 0시까지 확진자 56명이 추가로 확인되었다고 밝혔다.


집단 감염이 확인된 이후 최근에는 한 자릿수와 두 자릿수 사이로 확진자 수가 변동되며 감소하고 있으며 해외 입국으로 검역에서 확진자가 발생하는 가운데 3월 발부터 4월 초까지 80-100명 이상에서 4월 중순 이후 20-30명 전후, 4월 말부터는 10명 전후, 5월에도 두 자릿수인 10명 전후를 이어갔다. 그러나 5월 10일 용인 66번 확진자를 시작으로 서울 이태원 클럽 집단 감염이 지역사회 감염으로 확대, 6월 초 쿠팡 및 종교 시설 등 지역감염이 확산되었으며 최근에는 지역사회 감염 및 해외 유입이 증가하는 추세다. 8월 12일에는 11일 대비 20명 증가한 54명, 13일에는 12일 대비 2명 증가한 56명이 확인됐다.


이에 따라 국내 코로나 19 확진자는 8월 13일(목) 0시 기준 14,770명으로 8월 12일(수) 0시 기준 14,714명에서 56명이 증가했으며 치료가 완료되어 검사 결과 음성으로 격리 해제된 자는 31명이 추가되며 총 13,817명, 사망은 8월 12일 대비 0명이 늘어나 305명, 나머지 648명은 격리 치료 중이다.


8월 13일(목) 0시 기준 국내 의심환자는 1,654,898명으로 8월 12일(수) 0시 기준 1,646,652명에서 8,246명이 증가했다. 17,798명이 검사 중이며 결과 음성은 1,622,330명이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8월 13일(목) 0시 기준 신규 56명으로 서울 26명, 경기 17명, 부산 2명, 광주 2명, 울산 1명, 충남 1명, 전북 2명, 경남 1명, 검역 3명이다. 이 중 해외유입은 9명(서울 1, 경기 1, 대구 1, 광주 1, 전북 2, 검역 3), 지역발생은 47명(서울 25, 경기 16, 부산 2, 광주 1, 울산 1, 충남 1, 경남 1)이 확인되며 지역사회 감염이 감소하는 모습이며 해외유입 검역은 여전히 증가 추세다.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19가 빠르게 확산되는 가운데 국내는 지역사회 감염은 줄고 해외유입에 따른 검역에서 확진자가 주를 이루었으나 최근 다시 지역감염이 늘어나고 있다.


또한 세계 보건 기구(WHO)에서 감염병 세계적 유행을 뜻하는 팬데믹(Pandemic)을 선언한 가운데 중국 재확산, 브라질, 인도, 아프리카 등 전 세계는 다시 확진자가 증가하는 추세이며 확진자가 2천만 명을 넘어섰다. 8월 13일(목) 09시 기준 전세계 코로나19 확진환자는 20,201,886명에서 20,468,602명으로 266,716명이 증가했으며 사망은  739,611명에서 746,019명으로 6,408명이 늘어났다.


나라별로 살펴보면 미국은 5,191,689명의 확진자와 165,909명의 사망자가 나와 중국의 확진자 및 사망자 수를 크게 넘어선지 오래이며 확진자 500만 명, 사망자 수가 16만 명을 넘어서며 여전히 무서운 속도로 진행 중이다. 중국은 84,756명의 확진자와 사망 4,634명으로 최근 베이징 펑타이 신파디 농수산물 도매시장에서 재확산되고 있다.


아사이 지역에서 홍콩은 4,243명의 확진자와 사망 63명, 대만은 481명 확진자와 사망 7명, 일본 크루즈 712명의 확진자와 13명 사망, 일본 본토 51,147명 확진자와 1,063명의 사망자, 싱가포르 55,395명 확진자와 사망 27명, 인도 2,329,638명 확진자와 사망 46,091명, 필리핀 139,538명 확진자와 사망 2,312명, 네팔 23,948명 확진자와 사망 83명, 아프가니스탄 37,345명 확진자와 사망 1,354명, 파키스탄 285,921명 확진자와 사망 6,129명, 인도네시아 128,776명 확진자와 사망 5,824명, 방글라데시 263,503명 확진자와 사망 3,471명, 카자흐스탄 115,615명 확진자와 사망 1,433명, 우즈베키스탄 32,215명 확진자와 사망 208명, 키르기스탄 40,759명 확진자와 사망 1,484명 등 일본, 싱가포르, 인도와 파키스탄, 인도네시아, 방글라데시 등에서 확산이 진행 중이다.


중동 지역에서는 이란 333,699명 확진자와 사망 18,988명, 바레인 44,804명 확진자와 사망 166명, 이집트 95,834명 확진자와 사망 5,059명, 이라크 160,436명 확진자와 사망 5,588명, 쿠웨이트 73,785명 확진자와 사망 489명, 모로코 35,195명 확진자와 사망 533명, 오만 82,299명 확진자와 사망 539명, 카타르 113,938명 확진자와 사망 190명, 사우디아라비아 293,037명 확진자와 사망 3,269명, 이스라엘 88,151명 확진자와 사망 639명, 아랍에미리트 63,212명 확진자와 사망 358명, 알제리 36,204명 확진자와 사망 1,322명 등 이란과 이라크, 사우디아라비아 등지에서 크게 확산 중이다.


미주 지역에서는 미국을 이어 캐나다 120,844명 확진자와 사망 9,006명, 멕시코 498,380명 확진자와 사망 54,666명, 파나마 75,394명 확진자와 사망 1,664명, 온두라스 47,872명 확진자와 사망 1,506명, 과테말라 57,966명 확진자와 사망 2,233명, 코스타리카 23,872명 확진자와 사망 244명, 엘살바도르 21,269명 확진자와 사망 570명, 도미니카공화국 81,094명 확진자와 사망 1,346명, 브라질 3,164,785명 확진자와 사망 104,201명, 페루 489,680명 확진자와 사망 21,501명, 에콰도르 94,701명 확진자와 사망 5,932명, 칠레 378,168명 확진자와 사망 10,205명, 콜롬비아 397,623명 확진자와 사망 13,154명, 아르헨티나 253,868명 확진자와 사망 4,785명, 볼리비아 91,635명 확진자와 사망 3,712명, 베네수엘라 26,800명 확진자와 사망 229명 등 캐나다와 멕시코, 브라질, 페루, 아르헨티나 등지에서 확산 중이다.


유럽 지역은 이탈리아 251,713명 확진자와 사망 35,225명, 독일 220,859명 확진자와 사망 9,213, 프랑스 206,696명 확진자와 사망 30,371명, 영국 313,798명 확진자와 사망 46,706명, 스페인 329,784명 확진자와 사망 28,579명, 오스트리아 22,539명 확진자와 사망 724명, 스웨덴 83,455명 확진자와 사망 5,774명, 스위스 37,169명 확진자와 사망 1,714명, 벨기에 74,915명 확진자와 사망 9,885명, 덴마크 14,959명 확진자와 사망 621명, 루마니아 65,177명 확진자와 사망 2,807명, 네덜란드 59,918명 확진자와 사망 6,150명, 벨라루스 69,005명 확진자와 사망 592명, 아제르바이잔 33,731명 확진자와 사망 495명, 아르메니아 40,794명 확진자와 사망 806명, 아일랜드 26,838명 확진자와 사망 1,774명, 체코 18,783명 확진자와 사망 391명, 포르투갈 53,223명 확진자와 사망 1,764명, 폴란드 53,676명 확진자와 사망 1,830명, 우크라이나 84,548명 확진자와 사망 1,970명,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14,401명 확진자와 사망 420명, 세르비아 28,497명 확진자와 사망 652명, 불가리아 13,722명 확진자와 사망 471명, 몰도바 28,223명 확진자와 사망 857명, 터키 244,392명 확진자와 사망 5,891명, 러시아 902,701명 확진자와 사망 15,260명이 확인됐다. 이탈리아와 스페인을 시작으로 독일, 프랑스 등에서는 발병자가 약간의 감소로 안정세로 돌아서는 모습이나 영국과 스웨덴, 러시아, 스위스, 벨기에, 네덜란드, 아일랜드, 포르투갈, 폴란드, 우크라이나, 터키 등지에서는 여전한 확산세를 보이고 있다. 


오세아니아 지역에서는 호주 21,713명 확진자와 사망 331명, 뉴질랜드 1,224명 확진자와 사망 22명으로 호주는 증가 추세이나 뉴질랜드는 크게 증가되지 않았다.


아프리카 지역에서는 나이지리아 47,290명 확진자와 사망 956명, 세네갈 11,380명 확진자와 사망 238명, 카메룬 18,263명 확진자와 사망 401명, 남아프리카공화국 566,109명 확진자와 사망 10,751명, 코트디부아르 16,847명 확진자와 사망 105명, 수단 12,033명 확진자와 사망 786명, 에티오피아 24,175명 확진자와 사망 440명, 가나 41,404명 확진자와 사망 215명, 기니 8,018명 확진자와 사망 50명, 케냐 27,425명 확진자와 사망 438명, 지부티 5,358명 확진자와 사망 59명, 소말리아 3,227명 확진자와 사망 93명, 마다가스카르 13,317명 확진자와 사망 152명 등 남아프리카공화국과 가나, 나이지리아 등지에서 확산 중이다.


기타 지역은 기타지역 영토에서 61,246명 확진자와 사망 661명이 확인됐다.


한편 중앙방역대책본부는 3월 2일(월)부터 오전 10시(오전 9시 기준)과 오후 5시(오후 4시 기준)으로 하루 두차례 진행한 확진자 현황정보(일별 통계)를 매일 0시(자정) 기준으로 오전 10시에 발표한다.

 

ⓒ 블루프레임(https://www.blueframe.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0 Comments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