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국내 확진환자 총 24805명 및 격리해제 22863명·사망 434명, 10월 13일 0시 기준 102명 추가 확인

홈 > 미디어 > 사회·문화·미디어
사회·문화·미디어

보건·의료 | 코로나19 국내 확진환자 총 24805명 및 격리해제 22863명·사망 434명, 10월 13일 0시 기준 102명 추가 확인

권경욱 기자 0   0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 COVID-19)는 최근 해외 유입이 줄고 교회와 광복절 광화문 집회, 커피 전문점 등을 중심으로 지역사회 감염이 확산 중이며 10월 8을 이어 6일 연속 이어진 두 자릿수는 다시 세 자릿수로 증가했다. 


지난 9월 13일(일)까지 진행한 수도권의 사회적 거리 두기는 2.5단계에서 2단계로 완화하여 9월 27일까지 연장한 이후 서울시와 지방 주요 도시에서는 9월 28일 0시부터 10월 11일 24시까지 2주간을 추석 특별방역기간으로 지정하고 사회적 거리두기 2단계를 이어갔다. 그런 가운데 추석 연휴 이후 확진자 감소 추세에 따라 10월 12일(월) 부터는 사회적 거리 두기 단계가 2단계에서 1단계로 조정됐다.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는 2020년 10월 12일 0시 부터 10월 13일 0시까지 확진자 102명이 추가로 확인되었다고 밝혔다.


집단 감염이 확인된 이후 최근에는 한 자릿수와 두 자릿수 사이로 확진자 수가 변동되며 감소하고 있으며 해외 입국으로 검역에서 확진자가 발생하는가운데 3월 발부터 4월 초까지 80-100명 이상에서 4월 중순 이후 20-30명 전후, 4월 말부터는 10명 전후, 5월에도 두 자릿수인 10명 전후를 이어갔다. 그러나 5월 10일 용인 66번 확진자를 시작으로 서울 이태원 클럽 집단 감염이 지역사회 감염으로 확대, 6월 초 쿠팡 및 종교 시설 등 지역감염이 확산되었으며 최근에는 지역사회 감염 및 해외 유입이 증가하는 추세다. 8월 14일 롯데리아 및 교회 등지에서 다시 크게 증가해 세 자릿수 103명에서 8월 15일 광화문 광복절 집회와 교회, 커피 전문점 등 지역 사회 감염이 확산됐다. 이후 300-400명 대로 증가하다 8월 말 200명 대, 9월 초 200명 대에서 9월 말에는 다시 100명 대로 감소, 10월 1일부터 6일까지 두 자릿수를 유지하고 있다. 7일에는 6일 연속 이어지던 두 자릿수에서 다시 세 자릿수로 증가, 8일에는 69명으로 다시 두 자릿수로 감소, 9일도 이틀 연속 54명으로 감소, 10일은 72명, 11일에는 58명, 12일에는 97명으로 두 자릿수, 13일에는 다시 세 자릿수인 102명으로 증가했다.


이에 따라 국내 코로나 19 확진자는 10월 13일(화) 0시 기준 24,805명으로 10월 12일(월) 0시 기준 24,703명에서 102명이 증가했으며 치료가 완료되어 검사 결과 음성으로 격리 해제된 자는 135명이 추가되며 총 22,863명, 사망은 10월 12일 대비 1명이 늘어나 434명, 나머지 1,508명은 격리 치료 중이다.


10월 13일(화) 0시 기준 국내 의심환자는 2,428,771명으로 10월 12일(월) 0시 기준 2,415,610명에서 13,161명이 증가했다. 20,124명이 검사 중이며 결과 음성은 2,383,842명이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10월 13일(화) 0시 기준 신규 102명으로 서울 20명, 경기 38명, 부산 1명, 대구 1명, 광주 2명, 대전 10명, 강원 4명, 충북 1명, 충남 2명, 전북 1명, 경북 1명, 검역 21명이다. 이 중 해외유입은 33명(서울 2, 경기 6, 대구 1, 대전 1, 경북 1, 검역 21), 지역발생은 69명(서울 18, 경기 32, 부산 1, 광주 1, 대전 9, 강원 4, 충북 1, 충남 2, 전북 1)이 확인되며 해외유입 검역은 감소하고 지역사회 감염이 증가 추세다.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19가 빠르게 확산되는 가운데 해외유입에 따른 검역에서 확진자는 줄어들었으며 최근에는 교회와 광복절 광화문 집회, 커피 전문점 등 지역감염이 크게 늘어나고 있다.


또한 세계 보건 기구(WHO)에서 감염병 세계적 유행을 뜻하는 팬데믹(Pandemic)을 선언한 가운데 중국 재확산, 브라질, 인도, 아프리카 등 전 세계는 다시 확진자가 증가하는 추세이며 확진자가 3천 7백만 명, 사망자 100만 명을 넘어섰다. 10월 13(화) 09시 기준 전세계 코로나19 확진환자는 37,085,272명에서 37,398,981명으로 313,709명이 증가했으며 사망은 1,069,923명에서 1,074,384명으로 4,461명이 늘어났다.


나라별로 살펴보면 미국은 7,636,803명의 확진자와 212,229명의 사망자가 나와 중국의 확진자 및 사망자 수를 크게 넘어선지 오래이며 확진자 760만 명, 사망자 수가 21만 명을 넘어서며 여전히 무서운 속도로 진행 중이다. 중국은 85,591명의 확진자와 사망 4,634명으로 최근 베이징 펑타이 신파디 농수산물 도매시장에서 재확산되고 있다.


아사이 지역에서 홍콩은 5,193명의 확진자와 사망 105명, 대만은 529명 확진자와 사망 7명, 일본 크루즈 712명의 확진자와 13명 사망, 일본 본토 89,347명 확진자와 1,629명의 사망자, 싱가포르 57,876명 확진자와 사망 27명, 인도 7,120,538명 확진자와 사망 109,150명, 필리핀 339,341명 확진자와 사망 6,321명, 네팔 107,755명 확진자와 사망 636명, 아프가니스탄 39,799명 확진자와 사망 1,477명, 파키스탄 319,317명 확진자와 사망 6,580명, 인도네시아 333,449명 확진자와 사망 11,844명, 몰디브 10,894명 확진자와 사망 35명, 방글라데시 378,266명 확진자와 사망 5,524명, 카자흐스탄 143,632명 확진자와 사망 2,106명, 우즈베키스탄 61,205명 확진자와 사망 507명, 키르기스탄 49,528명 확진자와 사망 1,090명 등 일본, 싱가포르, 인도와 파키스탄, 인도네시아, 방글라데시 등에서 확산이 진행 중이다.


중동 지역에서는 이란 500,075명 확진자와 사망 28,544명, 바레인 75,614명 확진자와 사망 275명, 이집트 104,516명 확진자와 사망 6,052명, 이라크 402,330명 확진자와 사망 9,852명, 쿠웨이트 111,116명 확진자와 사망 658명, 모로코 152,404명 확진자와 사망 2,605명, 오만 105,890명 확진자와 사망 1,038명, 카타르 127,985명 확진자와 사망 220명, 사우디아라비아 339,267명 확진자와 사망 5,043명, 이스라엘 286,109명 확진자와 사망 1,877명, 아랍에미리트 106,229명 확진자와 사망 445명, 알제리 53,072명 확진자와 사망 1,801명 등 이란과 이라크, 사우디아라비아 등지에서 크게 확산 중이다.


미주 지역에서는 미국을 이어 캐나다 180,179명 확진자와 사망 9,608명, 멕시코 814,328명 확진자와 사망 83,642명, 파나마 119,666명 확진자와 사망 2,482명, 온두라스 83,146명 확진자와 사망 2,504명, 과테말라 97,715명 확진자와 사망 3,384명, 코스타리카 87,439명 확진자와 사망 1,076명, 엘살바도르 30,196명 확진자와 사망 890명, 도미니카공화국 118,477명 확진자와 사망 2,173명, 브라질 5,082,637명 확진자와 사망 150,198명, 페루 846,088명 확진자와 사망 33,223명, 에콰도르 146,828명 확진자와 사망 12,188명, 칠레 481,371명 확진자와 사망 13,318명, 콜롬비아 902,747명 확진자와 사망 27,660명, 아르헨티나 883,882명 확진자와 사망 23,581명, 볼리비아 138,463명 확진자와 사망 8,292명, 파라과이 48,978명 확진자와 사망 1,065명, 베네수엘라 82,453명 확진자와 사망 691명 등 캐나다와 멕시코, 브라질, 페루, 아르헨티나 등지에서 확산 중이다.


유럽 지역은 이탈리아 354,950명 확진자와 사망 36,166명, 독일 322,864명 확진자와 사망 9,615명, 프랑스 707,469명 확진자와 사망 32,495명, 영국 603,720명 확진자와 사망 42,825명, 스페인 861,112명 확진자와 사망 32,929명, 오스트리아 55,983명 확진자와 사망 864명, 스웨덴 98,451명 확진자와 사망 5,894명, 스위스 60,230명 확진자와 사망 1,793명, 벨기에 162,165명 확진자와 사망 10,191명, 덴마크 32,422명 확진자와 사망 669명, 루마니아 155,283명 확진자와 사망 5,411명, 네덜란드 174,450명 확진자와 사망 6,575명, 벨라루스 83,534명 확진자와 사망 896명, 아제르바이잔 41,982명 확진자와 사망 609명, 아르메니아 56,451명 확진자와 사망 1,020명, 아일랜드 42,528명 확진자와 사망 1,826명, 체코 117,110명 확진자와 사망 987명, 포르투갈 86,664명 확진자와 사망 2,080명, 폴란드 125,816명 확진자와 사망 3,004명, 우크라이나 265,454명 확진자와 사망 5,015명, 헝가리 38,577명 확진자와 사망 968명,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30,645명 확진자와 사망 921명, 세르비아 34,787명 확진자와 사망 763명, 불가리아 24,402명 확진자와 사망 892명, 몰도바 62,151명 확진자와 사망 1,461명, 터키 335,533명 확진자와 사망 8,837명, 러시아 1,312,310명 확진자와 사망 22,722명이 확인됐다. 이탈리아와 스페인, 독일, 프랑스, 영국, 터키, 러시아 등에서는 발병자가 증가하는 추세로 다시 확산세를 보이고 있다. 


오세아니아 지역에서는 호주 27,264명 확진자와 사망 898명, 뉴질랜드 1,515명 확진자와 사망 25명으로 호주는 증가 추세이나 뉴질랜드는 크게 증가하지 않았다.


아프리카 지역에서는 나이지리아 60,266명 확진자와 사망 1,115명, 세네갈 15,213명 확진자와 사망 313명, 카메룬 21,160명 확진자와 사망 420명, 남아프리카공화국 692,471명 확진자와 사망 17,780명, DR콩고 10,840명 확진자와 사망 276명, 코트디부아르 20,036명 확진자와 사망 120명, 수단 13,685명 확진자와 사망 836명, 에티오피아 84,295명 확진자와 사망 1,287명, 가나 47,005명 확진자와 사망 306명, 기니 11,022명 확진자와 사망 69명, 케냐 41,546명 확진자와 사망 766명, 나미비아 11,936명 확진자와 사망 128명, 지부티 5,424명 확진자와 사망 61명, 잠비아 15,458명 확진자와 사망 336명, 소말리아 3,864명 확진자와 사망 99명, 마다가스카르 16,718명 확진자와 사망 237명, 우간다 9,801명 확진자와 사망 93명, 모잠비크 10,001명 확진자와 사망 71명 등 남아프리카공화국과 가나, 나이지리아, 마다가스카르 등지에서 확산 중이다.


기타 지역은 기타지역 영토에서 153,497명 확진자와 사망 1,658명이 확인됐다.


한편 중앙방역대책본부는 3월 2일(월)부터 오전 10시(오전 9시 기준)과 오후 5시(오후 4시 기준)으로 하루 두차례 진행한 확진자 현황정보(일별 통계)를 매일 0시(자정) 기준으로 오전 10시에 발표한다.

 

ⓒ 블루프레임(https://www.blueframe.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0 Comments
많이 본 뉴스
인기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