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국내 확진환자 총 24703명 및 격리해제 22729명·사망 433명, 10월 12일 0시 기준 97명 추가 확인

홈 > 미디어 > 사회·문화·미디어
사회·문화·미디어

보건·의료 | 코로나19 국내 확진환자 총 24703명 및 격리해제 22729명·사망 433명, 10월 12일 0시 기준 97명 추가 확인

권경욱 기자 0   0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 COVID-19)는 최근 해외 유입이 줄고 교회와 광복절 광화문 집회, 커피 전문점 등을 중심으로 지역사회 감염이 확산 중이며 10월 8을 이어 5일 연속 두 자릿수를 유지했다. 


지난 9월 13일(일)까지 진행한 수도권의 사회적 거리 두기는 2.5단계에서 2단계로 완화하여 9월 27일까지 연장한 이후 서울시와 지방 주요 도시에서는 9월 28일 0시부터 10월 11일 24시까지 2주간을 추석 특별방역기간으로 지정하고 사회적 거리두기 2단계를 유지했다. 그런 가운데 추석 연휴 이후 확진자 감소 추세에 따라 10월 12일(월) 부터는 사회적 거리 두기 단계가 2단계에서 1단계로 조정됐다.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는 2020년 10월 11일 0시 부터 10월 12일 0시까지 확진자 97명이 추가로 확인되었다고 밝혔다.


집단 감염이 확인된 이후 최근에는 한 자릿수와 두 자릿수 사이로 확진자 수가 변동되며 감소하고 있으며 해외 입국으로 검역에서 확진자가 발생하는가운데 3월 발부터 4월 초까지 80-100명 이상에서 4월 중순 이후 20-30명 전후, 4월 말부터는 10명 전후, 5월에도 두 자릿수인 10명 전후를 이어갔다. 그러나 5월 10일 용인 66번 확진자를 시작으로 서울 이태원 클럽 집단 감염이 지역사회 감염으로 확대, 6월 초 쿠팡 및 종교 시설 등 지역감염이 확산되었으며 최근에는 지역사회 감염 및 해외 유입이 증가하는 추세다. 8월 14일 롯데리아 및 교회 등지에서 다시 크게 증가해 세 자릿수 103명에서 8월 15일 광화문 광복절 집회와 교회, 커피 전문점 등 지역 사회 감염이 확산됐다. 이후 300-400명 대로 증가하다 8월 말 200명 대, 9월 초 200명 대에서 9월 말에는 다시 100명 대로 감소, 10월 1일부터 6일까지 두 자릿수를 유지하고 있다. 7일에는 6일 연속 이어지던 두 자릿수에서 다시 세 자릿수로 증가, 8일에는 69명으로 다시 두 자릿수로 감소, 9일도 이틀 연속 54명으로 감소, 10일은 72명, 11일에는 58명, 12일에는 97명으로 두 자릿수를 이어갔다.


이에 따라 국내 코로나 19 확진자는 10월 12일(월) 0시 기준 24,703명으로 10월 11일(일) 0시 기준 24,606명에서 97명이 증가했으며 치료가 완료되어 검사 결과 음성으로 격리 해제된 자는 36명이 추가되며 총 22,729명, 사망은 10월 11일 대비 1명이 늘어나 433명, 나머지 1,541명은 격리 치료 중이다.


10월 12일(월) 0시 기준 국내 의심환자는 2,415,610명으로 10월 11일(일) 0시 기준 2,410,483명에서 5,127명이 증가했다. 19,192명이 검사 중이며 결과 음성은 2,367,715명이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10월 12일(월) 0시 기준 신규 97명으로 서울 31명, 경기 29명, 인천 3명, 부산 4명, 광주 1명, 대전 13명, 강원 1명, 충남 2명, 전북 2명, 경북 1명, 경남 1명, 검역 9명이다. 이 중 해외유입은 29명(서울 2, 경기 13, 부산 1, 충남 2, 전북 1, 경북 1, 검역 9), 지역발생은 68명(서울 29, 경기 16, 인천 3, 부산 3, 광주 1, 대전 13, 강원 1, 전북 1, 경남 1)이 확인되며 해외유입 검역은 감소하고 지역사회 감염이 증가 추세다.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19가 빠르게 확산되는 가운데 해외유입에 따른 검역에서 확진자는 줄어들었으며 최근에는 교회와 광복절 광화문 집회, 커피 전문점 등 지역감염이 크게 늘어나고 있다.


또한 세계 보건 기구(WHO)에서 감염병 세계적 유행을 뜻하는 팬데믹(Pandemic)을 선언한 가운데 중국 재확산, 브라질, 인도, 아프리카 등 전 세계는 다시 확진자가 증가하는 추세이며 확진자가 3천 7백만 명, 사망자 100만 명을 넘어섰다. 10월 12(월) 09시 기준 전세계 코로나19 확진환자는 36,729,873명에서 37,085,272명으로 355,399명이 증가했으며 사망은 1,064,408명에서 1,069,923명으로 5,515명이 늘어났다.


나라별로 살펴보면 미국은 7,583,748명의 확진자와 212,229명의 사망자가 나와 중국의 확진자 및 사망자 수를 크게 넘어선지 오래이며 확진자 750만 명, 사망자 수가 21만 명을 넘어서며 여전히 무서운 속도로 진행 중이다. 중국은 85,578명의 확진자와 사망 4,634명으로 최근 베이징 펑타이 신파디 농수산물 도매시장에서 재확산되고 있다.


아사이 지역에서 홍콩은 5,182명의 확진자와 사망 105명, 대만은 527명 확진자와 사망 7명, 일본 크루즈 712명의 확진자와 13명 사망, 일본 본토 88,912명 확진자와 1,627명의 사망자, 싱가포르 57,866명 확진자와 사망 27명, 인도 7,053,806명 확진자와 사망 108,334명, 필리핀 336,926명 확진자와 사망 6,238명, 네팔 105,864명 확진자와 사망 614명, 아프가니스탄 39,799명 확진자와 사망 1,477명, 파키스탄 318,932명 확진자와 사망 6,570명, 인도네시아 328,952명 확진자와 사망 11,765명, 몰디브 10,859명 확진자와 사망 34명, 방글라데시 377,073명 확진자와 사망 5,500명, 카자흐스탄 143,632명 확진자와 사망 2,106명, 우즈베키스탄 60,894명 확진자와 사망 503명, 키르기스탄 49,230명 확진자와 사망 1,085명 등 일본, 싱가포르, 인도와 파키스탄, 인도네시아, 방글라데시 등에서 확산이 진행 중이다.


중동 지역에서는 이란 496,253명 확진자와 사망 28,293명, 바레인 75,287명 확진자와 사망 273명, 이집트 104,387명 확진자와 사망 6,040명, 이라크 400,124명 확진자와 사망 9,790명, 쿠웨이트 110,568명 확진자와 사망 655명, 모로코 149,841명 확진자와 사망 2,572명, 오만 104,129명 확진자와 사망 1,009명, 카타르 127,778명 확진자와 사망 219명, 사우디아라비아 338,944명 확진자와 사망 5,018명, 이스라엘 286,109명 확진자와 사망 1,877명, 아랍에미리트 105,133명 확진자와 사망 443명, 알제리 52,940명 확진자와 사망 1,795명 등 이란과 이라크, 사우디아라비아 등지에서 크게 확산 중이다.


미주 지역에서는 미국을 이어 캐나다 178,117명 확진자와 사망 9,585명, 멕시코 809,751명 확진자와 사망 83,507명, 파나마 118,841명 확진자와 사망 2,474명, 온두라스 82,552명 확진자와 사망 2,492명, 과테말라 97,544명 확진자와 사망 3,365명, 코스타리카 86,053명 확진자와 사망 1,055명, 엘살바도르 29,951명 확진자와 사망 887명, 도미니카공화국 118,014명 확진자와 사망 2,167명, 브라질 5,055,888명 확진자와 사망 149,639명, 페루 843,355명 확진자와 사망 33,158명, 에콰도르 146,828명 확진자와 사망 12,188명, 칠레 479,595명 확진자와 사망 13,272명, 콜롬비아 894,300명 확진자와 사망 27,495명, 아르헨티나 871,468명 확진자와 사망 23,225명, 볼리비아 138,226명 확진자와 사망 8,262명, 파라과이 48,275명 확진자와 사망 1,045명, 베네수엘라 81,696명 확진자와 사망 684명 등 캐나다와 멕시코, 브라질, 페루, 아르헨티나 등지에서 확산 중이다.


유럽 지역은 이탈리아 349,494명 확진자와 사망 36,140명, 독일 322,864명 확진자와 사망 9,615명, 프랑스 691,368명 확진자와 사망 32,449명, 영국 590,848명 확진자와 사망 42,760명, 스페인 861,112명 확진자와 사망 32,929명, 오스트리아 54,685명 확진자와 사망 858명, 스웨덴 98,451명 확진자와 사망 5,894명, 스위스 60,230명 확진자와 사망 1,793명, 벨기에 156,838명 확진자와 사망 10,175명, 덴마크 32,082명 확진자와 사망 667명, 루마니아 152,403명 확진자와 사망 5,358명, 네덜란드 168,082명 확진자와 사망 6,558명, 벨라루스 82,023명 확진자와 사망 891명, 아제르바이잔 41,752명 확진자와 사망 608명, 아르메니아 56,451명 확진자와 사망 1,020명, 아일랜드 41,714명 확진자와 사망 1,821명, 체코 109,374명 확진자와 사망 905명, 포르투갈 85,574명 확진자와 사망 2,067명, 폴란드 121,638명 확진자와 사망 2,972명, 우크라이나 261,035명 확진자와 사망 4,972명, 헝가리 36,596명 확진자와 사망 933명,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30,343명 확진자와 사망 920명, 세르비아 34,685명 확진자와 사망 762명, 불가리아 23,871명 확진자와 사망 887명, 몰도바 61,762명 확진자와 사망 1,458명, 터키 334,031명 확진자와 사망 8,778명, 러시아 1,298,718명 확진자와 사망 22,597명이 확인됐다. 이탈리아와 스페인, 독일, 프랑스, 영국, 터키, 러시아 등에서는 발병자가 증가하는 추세로 다시 확산세를 보이고 있다. 


오세아니아 지역에서는 호주 27,244명 확진자와 사망 897명, 뉴질랜드 1,515명 확진자와 사망 25명으로 호주는 증가 추세이나 뉴질랜드는 크게 증가하지 않았다.


아프리카 지역에서는 나이지리아 60,103명 확진자와 사망 1,115명, 세네갈 15,213명 확진자와 사망 313명, 카메룬 21,160명 확진자와 사망 420명, 남아프리카공화국 690,896명 확진자와 사망 17,673명, DR콩고 10,840명 확진자와 사망 276명, 코트디부아르 20,036명 확진자와 사망 120명, 수단 13,670명 확진자와 사망 836명, 에티오피아 83,429명 확진자와 사망 1,277명, 가나 46,987명 확진자와 사망 306명, 기니 10,996명 확진자와 사망 69명, 케냐 41,158명 확진자와 사망 760명, 나미비아 11,891명 확진자와 사망 128명, 지부티 5,423명 확진자와 사망 61명, 잠비아 15,415명 확진자와 사망 336명, 소말리아 3,847명 확진자와 사망 99명, 마다가스카르 16,702명 확진자와 사망 237명, 우간다 9,538명 확진자와 사망 86명, 모잠비크 9,844명 확진자와 사망 70명 등 남아프리카공화국과 가나, 나이지리아, 마다가스카르 등지에서 확산 중이다.


기타 지역은 기타지역 영토에서 152,735명 확진자와 사망 1,652명이 확인됐다.


한편 중앙방역대책본부는 3월 2일(월)부터 오전 10시(오전 9시 기준)과 오후 5시(오후 4시 기준)으로 하루 두차례 진행한 확진자 현황정보(일별 통계)를 매일 0시(자정) 기준으로 오전 10시에 발표한다.

 

ⓒ 블루프레임(https://www.blueframe.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0 Comments
많이 본 뉴스
인기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