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국내 확진환자 총 39432명 및 격리해제 30177명·사망 556명, 12월 9일 0시 기준 686명 추가 확인

홈 > 미디어 > 사회·문화·미디어
사회·문화·미디어

보건·의료 | 코로나19 국내 확진환자 총 39432명 및 격리해제 30177명·사망 556명, 12월 9일 0시 기준 686명 추가 확인

권경욱 기자 0   0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 COVID-19)는 최근 수도권을 비롯하여 전국적인 감염 확산세로 1차와 2차 유행을 넘어 3차 대유행이 우려되는 가운데 22일 연속 세 자릿수를 이어가며 600명을 넘어섰다.   


최근 연이은 500명 이상의 확진자가 발생함에 따라 12월 5일(토)부터는 PC방과 음식점 등 대부분의 시설을 오전 10시부터 오후 9시까지만 운영하도록 제한하고 시내버스도 오후 9시 이후 20% 감축 운행, 수도권은 12월 8일(화)부터 2.5단계로 격상한다. 수도권은 2단계, 위험 시설과 활동 조치 강화, 비수도권은 모든 권역 거리두기 1.5단계 상향을 12월 1일(화) 0시부터 적용한 바 있다. 서울시는 연말까지 천만 시민 긴급 멈춤 기간을 선포했으며 이에 따라 서울 전역의 10인 이상 집회도 11월 24일 0시부터 별도 공표 시까지 전면 금지한다고 밝혔다. 2단계는 1.5단계 기준 2배 이상 증가, 2개 이상 권역 유행 지속, 전국 300명 초과 가운데 하나를 충족하면 적용할 수 있다.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는 2020년 12월 8일 0시 부터 12월 9일 0시까지 확진자 686명이 추가로 확인되었다고 밝혔다.


집단 감염이 확인된 이후 최근에는 한 자릿수와 두 자릿수 사이로 확진자 수가 변동되며 감소하고 있으며 해외 입국으로 검역에서 확진자가 발생하는가운데 3월 발부터 4월 초까지 80-100명 이상에서 4월 중순 이후 20-30명 전후, 4월 말부터는 10명 전후, 5월에도 두 자릿수인 10명 전후를 이어갔다. 그러나 5월 10일 용인 66번 확진자를 시작으로 서울 이태원 클럽 집단 감염이 지역사회 감염으로 확대, 6월 초 쿠팡 및 종교 시설 등 지역감염이 확산되었으며 최근에는 지역사회 감염 및 해외 유입이 증가하는 추세다. 8월 14일 롯데리아 및 교회 등지에서 다시 크게 증가해 세 자릿수 103명에서 8월 15일 광화문 광복절 집회와 교회, 커피 전문점 등 지역 사회 감염이 확산됐다. 이후 300-400명 대로 증가하다 8월 말 200명 대, 9월 초 200명 대에서 9월 말에는 다시 100명 대로 감소, 10월 초부터 이어지던 두 자릿수는 11월 세 자릿수로 증가하는 추세에서 13일 70일 만에 최대치로 세 자릿수인 191명, 18일에는 300명을 넘어서며 세 자릿수가 21일까지 4일 연속 300명, 26일은 9일 연속 300명이 넘었으며 8개월 만에 500명을 넘어서며 583명, 12월 4일 600명을 넘어선 628명, 8일에는 세 자릿수를 이어가며 594명, 9일에는 다시 증가한 686명을 기록했다.


이에 따라 국내 코로나 19 확진자는 12월 9일(수) 0시 기준 39,432명으로 12월 8일(화) 0시 기준 38,746명에서 686명이 증가했으며 치료가 완료되어 검사 결과 음성으로 격리 해제된 자는 527명이 추가되며 총 30,177명, 사망은 12월 8일 대비 4명이 늘어나 556명, 나머지 8,699명은 격리 치료 중이다.


12월 9일(수) 0시 기준 국내 의심환자는 3,253,236명으로 12월 8일(화) 0시 기준 3,221,317명에서 31,919명이 증가했다. 75,080명이 검사 중이며 결과 음성은 3,138,724명이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12월 9일(수) 0시 기준 신규 686명으로 서울 270명, 경기 218명, 인천 48명, 부산 20명, 대구 3명, 광주 9명, 대전 10명, 울산 14명, 세종 1명, 강원 5명, 충북 24명, 충남 4명, 전북 12명, 전남 2명, 경북 4명, 경남 31명, 제주 2명, 검역 24명이다. 이 중 해외유입은 24명(서울 6, 경기 4, 인천 2, 강원 1, 충북 1, 경북 1, 검역 9), 지역발생은 662명(서울 264명, 경기 214명, 인천 46명, 부산 20명, 대구 3명, 광주 9명, 대전 10명, 울산 14명, 세종 1명, 강원 4명, 충북 23명 충남 4명, 전북 12명, 전남 2명, 경북 3명, 경남 31명, 제주 2명)이 확인되며 해외유입 검역은 감소하고 지역사회 감염이 증가 추세다.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19가 빠르게 확산되는 가운데 해외유입에 따른 검역에서 확진자는 줄어들었으며 최근에는 교회와 광복절 광화문 집회, 커피 전문점, 병원 등 지역감염이 크게 늘어나고 있다.


또한 세계 보건 기구(WHO)에서 감염병 세계적 유행을 뜻하는 팬데믹(Pandemic)을 선언한 가운데 중국 재확산, 브라질, 인도, 아프리카 등 전 세계는 다시 확진자가 증가하는 추세이며 확진자가 6천 6백만 명, 사망자 153만 명을 넘어섰다. 12월 9(수) 09시 기준 전세계 코로나19 확진환자는 66,383,984명에서 66,885,546명으로 501,562명이 증가했으며 사망은 1,531,869명에서 1,540,436명으로 8,567명이 증가했다.


나라별로 살펴보면 미국은 14,570,523명의 확진자와 279,913명의 사망자가 나와 중국의 확진자 및 사망자 수를 크게 넘어선지 오래이며 확진자 1439만 명, 사망자 수가 27만 명을 넘어서며 여전히 무서운 속도로 진행 중이다. 중국은 86,661명의 확진자와 사망 4,634명으로 최근 베이징 펑타이 신파디 농수산물 도매시장에서 재확산되고 있다.


아사이 지역에서 홍콩은 7,075명의 확진자와 사망 112명, 대만은 718명 확진자와 사망 7명, 일본 크루즈 712명의 확진자와 13명 사망, 일본 본토 163,929명 확진자와 2,382명의 사망자, 싱가포르 58,273명 확진자와 사망 29명, 인도 9,703,770명 확진자와 사망 140,958명, 필리핀 441,399명 확진자와 사망 8,572명, 네팔 241,995명 확진자와 사망 1,614명, 파키스탄 420,294명 확진자와 사망 8,398명, 인도네시아 581,550명 확진자와 사망 17,867명, 몰디브 13,198명 확진자와 사망 47명, 방글라데시 479,743명 확진자와 사망 6,874명 등 일본, 싱가포르, 인도와 파키스탄, 인도네시아, 방글라데시 등에서 확산이 진행 중이다.


중동 지역에서는 이란 1,051,374명 확진자와 사망 50,594명, 이집트 118,847명 확진자와 사망 6,790명, 이라크 566,015명 확진자와 사망 12,460명, 요르단 244,069명 확진자와 사망 3,116명, 쿠웨이트 144,599명 확진자와 사망 897명, 모로코 381,188명 확진자와 사망 6,320명, 사우디아라비아 358,922명 확진자와 사망 5,977명, 이스라엘 342,929명 확진자와 사망 2,906명, 등 이란과 이라크, 사우디아라비아 등지에서 크게 확산 중이다.


미주 지역에서는 미국을 이어 캐나다 415,182명 확진자와 사망 12,665명, 멕시코 1,175,850명 확진자와 사망 109,717명, 브라질 6,603,540명 확진자와 사망 176,941명, 페루 973,912명 확진자와 사망 36,274명, 칠레 562,142명 확진자와 사망 15,663명, 콜롬비아 1,371,103명 확진자와 사망 37,808명, 아르헨티나 1,463,110명 확진자와 사망 39,770명 등 캐나다와 멕시코, 브라질, 페루, 아르헨티나 등지에서 확산 중이다.


유럽 지역은 이탈리아 1,742,557명 확진자와 사망 60,606명, 독일 1,197,709명 확진자와 사망 19,342명, 프랑스 2,255,955명 확진자와 사망 55,158명, 영국 1,737,964명 확진자와 사망 61,434명, 스페인 1,702,328명 확진자와 사망 46,646명, 오스트리아 303,157명 확진자와 사망 3,827명, 스웨덴 278,912명 확진자와 사망 7,067명, 스위스 352,875명 확진자와 사망 5,007명, 벨기에 592,615명 확진자와 사망 17,368명, 루마니아 517,236명 확진자와 사망 12,447명, 네덜란드 563,608명 확진자와 사망 9,691명, 체코 551,070명 확진자와 사망 9,036명, 포르투갈 325,071명 확진자와 사망 5,041명, 폴란드 1,067,870명 확진자와 사망 20,181명, 우크라이나 832,758명 확진자와 사망 13,928명, 헝가리 256,367명 확진자와 사망 6,120명, 터키 552,304명 확진자와 사망 15,314명, 러시아 2,515,009명 확진자와 사망 44,159명이 확인됐다. 이탈리아와 스페인, 독일, 프랑스, 영국, 터키, 러시아 등에서는 발병자가 증가하는 추세로 다시 확산세를 보이고 있다.


오세아니아 지역에서는 호주 27,972명 확진자와 사망 908명, 뉴질랜드 1,729명 확진자와 사망 25명으로 호주는 증가 추세이나 뉴질랜드는 크게 증가하지 않았다. 


아프리카 지역에서는 남아프리카공화국 817,878명 확진자와 사망 22,249명, 에티오피아 113,735명 확진자와 사망 1,755명, 등 남아프리카공화국과 에티오피아 등지에서 

확산 중이다.


기타 지역은 기타지역 영토에서 250,237명 확진자와 사망 2,912명이 확인됐다.


한편 중앙방역대책본부는 3월 2일(월)부터 오전 10시(오전 9시 기준)과 오후 5시(오후 4시 기준)으로 하루 두차례 진행한 확진자 현황정보(일별 통계)를 매일 0시(자정) 기준으로 오전 10시에 발표한다.

 

ⓒ 블루프레임(https://www.blueframe.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0 Comments
많이 본 뉴스
인기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