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의료 | 코로나19 국내 확진환자 총 12904명 및 격리해제 11684명·사망 282명, 7월 2일 0시 기준 54명 추가 확인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 COVID-19) 국내 확진자 중 80% 이상이 집단발생과 연관성이 확인되고 있고 최근에는 해외유입 확진자 수도 증가하고 있다. 이태원발 및 쿠팡, 종교 시설, 탁구장 등 지역사회 감염 확산 이후 오늘은 어제보다 약간 증가하며 두 자릿수를 기록했다.
생활 속 거리 두기가 시작된 가운데 질병관리본부 중앙방역대책본부는 2020년 7월 1일 0시 부터 7월 2일 0시까지 확진자 54명이 추가로 확인되었다고 밝혔다.
집단 감염이 확인된 이후 최근에는 한 자릿수와 두 자릿수 사이로 확진자 수가 변동되며 감소하고 있으며 해외 입국으로 검역에서 확진자가 발생하는 가운데 3월 발부터 4월 초까지 80-100명 이상에서 4월 중순 이후 20-30명 전후, 4월 말부터는 10명 전후, 5월에도 두 자릿수인 10명 전후를 이어갔다. 그러나 5월 10일 용인 66번 확진자를 시작으로 서울 이태원 클럽 집단 감염이 지역시화 감염으로 확대, 6월 초 쿠팡 및 종교 시설 등 지역감염이 확산되었으며 23일에는 46명이 확인되면 다시 40명 이상, 24일에는 51명으로 약간 증가, 25일에는 약간 감소한 28명, 26일에는 다시 증가한 39명, 27일에는 어제 보다 증가한 51명, 28일에는 다시 증가한 62명, 29일에는 감소한 42명, 30일에는 1명 증가한 43명, 7월 1일에는 다시 증가한 51명, 2일에는 3명 증가한 54명을 기록했다.
이에 따라 국내 코로나 19 확진자는 7월 2일(목) 0시 기준 12,904명으로 7월 1일(수) 0시 기준 12,850명에서 54명이 증가했으며 치료가 완료되어 검사 결과 음성으로 격리 해제된 자는 71명이 추가되며 총 11,684명, 사망은 7월 1일 대비 0명이 늘어나 282명, 나머지 938명은 격리 치료 중이다.
7월 2일(목) 0시 기준 국내 의심환자는 1,295,962명으로 7월 1일(수) 0시 기준 1,285,231명에서 10,731명이 증가했다. 19,782명이 검사 중이며 결과 음성은 1,263,276명이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서울 13, 광주 22, 경기 10, 대구 3, 충남 3, 대전 1, 검역 2명으로 해외유입은 10명(경기 5, 대구 2, 충남 1, 검역 2), 지역발생은 41명(서울 13, 광주 22, 경기 5, 충남 2, 대구 1)이 확인되며 해외유입 검역보다지역사회 감염이 증가하는 모습이다.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19가 빠르게 확산되는 가운데 국내는 지역사회 감염은 줄고 해외유입에 따른 검역에서 확진자가 주를 이루었으나 최근 이태원발 및 쿠팡, 종교 시설 등 다시 지역감염이 확인되고 있다.
또한 세계 보건 기구(WHO)에서 감염병 세계적 유행을 뜻하는 팬데믹(Pandemic)을 선언한 가운데 중국 재확산, 브라질, 인도, 아프리카 등 전 세계는 다시 확진자가 증가하는 추세이며 확진자가 1천만 명을 넘어섰다. 7월 2일(목) 09시 기준 전세계 코로나19 확진환자는 10,578,973명으로 10,369,195명에서 209,778명이 증가했으며 사망은 509,075명에서 514,107명으로 5,032명이 늘어났다.
나라별로 살펴보면 미국은 2,678,202명의 확진자와 128,028명의 사망자가 나와 중국의 확진자 및 사망자 수를 크게 넘어선지 오래이며 사망자 수가 10만 명을 넘어서며 여전히 무서운 속도로 진행 중이다. 중국은 83,537명의 확진자와 사망 4,634명으로 최근 베이징 펑타이 신파디 농수산물 도매시장에서 재확산되고 있다.
아사이 지역에서 홍콩은 1,233명의 확진자와 사망 7명, 대만은 447명 확진자와 사망 7명, 일본 크루즈 712명의 확진자와 13명 사망, 일본 본토 18,874명 확진자와 975명의 사망자, 싱가포르 44,122명 확진자와 사망 26명, 인도 585,493명 확진자와 사망 17,400명, 필리핀 37,514명 확진자와 사망 1,266명, 네팔 13,564명 확진자와 사망 29명, 아프가니스탄 31,836명 확진자와 사망 774명, 파키스탄 213,470명 확진자와 사망 4,395명, 인도네시아 56,385명 확진자와 사망 2,876명, 방글라데시 145,483명 확진자와 사망 1,847명, 카자흐스탄 41,065명 확진자와 사망 188명 등 일본, 싱가포르, 러시아, 인도와 파키스탄, 인도네시아, 방글라데시 등에서 확산이 진행 중이다.
중동 지역에서는 이란 230,211명 확진자와 사망 10,958명, 바레인 26,758명 확진자와 사망 90명, 이집트 68,311명 확진자와 사망 2,953명, 이라크 51,524명 확진자와 사망 2,050명, 쿠웨이트 46,940명 확진자와 사망 358명, 오만 41,194명 확진자와 사망 185명, 카타르 97,003명 확진자와 사망 115명, 사우디아라비아 194,225명 확진자와 사망 1,698명, 이스라엘 26,257명 확진자와 사망 322명, 아랍에미리트 48,667명 확진자와 사망 315명, 알제리 13,907명 확진자와 사망 912명 등 이란과 사우디아라비아 등지에서 크게 확산 중이다.
미주 지역에서는 미국을 이어 캐나다 104,204명 확진자와 사망 8,591명, 멕시코 231,770명 확진자와 사망 28,510명, 파나마 32,785명 확진자와 사망 620명, 온두라스 18.818명 확진자와 사망 485명, 과테말라 17,409명 확진자와 사망 746명, 도미니카공화국 32,568명 확진자와 사망 747명, 브라질 1,448,753명 확진자와 사망 60,632명, 페루 288,477명 확진자와 사망 9,860명, 에콰도르 56,432명 확진자와 사망 4,527명, 칠레 282,043명 확진자와 사망 5,753명, 콜롬비아 95,043명 확진자와 사망 3,223명, 아르헨티나 62,268명 확진자와 사망 1,283명, 볼리비아 32,125명 확진자와 사망 1,071명 등 캐나다와 멕시코, 브라질 등지에서 확산 중이다.
유럽 지역은 이탈리아 240,760명 확진자와 사망 34,788명, 독일 195,893명 확진자와 사망 8,995명, 프랑스 165,719명 확진자와 사망 29,861명, 영국 313,483명 확진자와 사망 43,906명, 스페인 249,659명 확진자와 사망 28,363명, 오스트리아 17,855명 확진자와 사망 705명, 스웨덴 69,692명 확진자와 사망 5,370명, 스위스 31,851명 확진자와 사망 1,685명, 벨기에 61,509명 확진자와 사망 9,754명, 덴마크 12,768명 확진자와 사망 605명, 루마니아 27,296명 확진자와 사망 1,667명, 네덜란드 50,273명 확진자와 사망 6,113명, 벨라루스 62,118명 확진자와 사망 392명, 아르메니아 26,065명 확진자와 사망 453명, 아일랜드 25,477명 확진자와 사망 1,738명, 체코 11,954명 확진자와 사망 349명, 포르투갈 42,454명 확진자와 사망 1,579명, 폴란드 34,775명 확진자와 사망 1,477명, 우크라이나 44,998명 확진자와 사망 1,173명, 세르비아 14,564명 확진자와 사망 277명, 몰도바 16,613명 확진자와 사망 547명, 터키 201,098명 확진자와 사망 5,150명, 러시아 654,405명 확진자와 사망 9,536명이 확인됐다. 이탈리아와 스페인을 시작으로 독일, 프랑스 등에서는 발병자가 약간의 감소로 안정세로 돌아서는 모습이나 영국과 스웨덴, 스위스, 벨기에, 네덜란드, 아일랜드, 포르투갈, 폴란드, 우크라이나, 터키 등지에서는 여전한 확산세를 보이고 있다.
오세아니아 지역에서는 호주 7,834명 확진자와 사망 104명, 뉴질랜드 1,178명 확진자와 사망 22명으로 호주는 증가 추세이나 뉴질랜드는 크게 증가되지 않았다.
아프리카 지역에서는 나이지리아 25,694명 확진자와 사망 590명, 카메룬 12,592명 확진자와 사망 313명, 남아프리카공화국 151,209명 확진자와 사망 2,657명, 수단 9,258명 확진자와 사망 572명, 가나 17,741명 확진자와 사망 112명, 기니 5,391명 확진자와 사망 33명, 지부티 4,704명 확진자와 사망 55명, 소말리아 2,924명 확진자와 사망 90명 등 남아프리카공화국과 가나, 나이지리아 등지에서 확산 중이다.
기타 지역은 기타지역 영토에서 21,232명 확진자와 사망 372명이 확인됐다.
한편 중앙방역대책본부는 3월 2일(월)부터 오전 10시(오전 9시 기준)과 오후 5시(오후 4시 기준)으로 하루 두차례 진행한 확진자 현황정보(일별 통계)를 매일 0시(자정) 기준으로 오전 10시에 발표한다.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코로나 19, 코로나19, 신종 코로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우한 폐렴, COVID-19,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중앙방역대책본부, 한국, 확진자, 확진환자, 7월 2일, 목, 묙요일, 0시, 자정, 54명 추가, 대구·경북지역, 대구, 영남권, 서울, 경기, 경남, 광주, 총 12904명, 지역사회 감염, 위기경보 단계, 심각, 격상, 사망 282명, 격리 해제 11684명, WHO, 팬데믹, Pandeminc, 팬데믹 선언, 감염병 세계적 유행, 집단 감염, 사회적 거리 두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