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국내 확진환자 총 145091명 및 격리해제 135412명·사망 1975명, 6월 8일 0시 기준 454명 추가 확인

홈 > 미디어 > 사회·문화·미디어
사회·문화·미디어

보건·의료 | 코로나19 국내 확진환자 총 145091명 및 격리해제 135412명·사망 1975명, 6월 8일 0시 기준 454명 추가 확인

권경욱 기자 0   0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 COVID-19)는 최근 수도권을 비롯하여 전국적인 감염 확산세로 1차와 2차 유행을 넘어 3차 대유행을 이어 발생 1년을 넘어섰으며 국내 누적 확진자 12만 명을 넘어섰다. 4차 대유행에 들어선 가운데 154일 연속 세 자릿수, 이틀 연속 400명 대인 454명을 기록했다. 


중앙방역대책본부(이하 중대본)는 위중증률 감소, 의료역량을 고려해 거리두기 단계 유지(수도권 2단계, 비수도권 1.5단계)하며 5인 이상 사적 모임 금지 3주 연장, 직계가족 한해 8인까지 허용하기로 했다. 유흥시설은 집합을 금지한다. 마스크 착용 등 핵심방역수칙 준수해야 하며 마스크 미착용 등 핵심방역수칙 위반에 무관용 원칙을 적용한다. 수도권 음식점·카페 등 시설 운영시간 22시, 목욕장업 22시 이후 운영 제한된다. 비수도권 운영시간 제한 해제는 유지하며 감염취약시설 등 관리를 강화한다.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 추진단(정은경 청장)은 지난 2월 코로나19 예방접종을 시작한 이후 누적 접종건수(1·2차 접종 합계)가 1천만 건을 넘었다고 밝혔다. 오늘 0시 기준 하루 접종건수는 1차 85.6만 건, 2차는 2만 건, 총 87.5만 건으로 지난 5월 27일 일일 접종건수 1차 66.2만 건, 2차 5.5만 건, 총 71.6만 건 보다도 높은 수치를 기록하여 일일 최다 접종건수를 기록했으며 1차접종도 845.6만 명으로 800만 명을 초과해 인구 대비 접종률 16.5%를 달성했다고 밝혔다. 


6월 8일까지 1차 접종자 중 60대 이상이 총 633.8만 명으로 대상 인구인 1315.4만 명 대비 48.2%가 1차 접종을 완료했다. 연령대별로 보면 80세 이상 접종률이 70.6%(225.6만 명 중 159.4만 명 접종), 70대가 66.0%(375.7만 명 중 247.9만 명 접종), 60대가 31.7%(714.1만 명 중 226.5만 명 접종)이다. 사전예약 및 접종에 동의한 60세 이상의 접종률은 80%를 넘을 것으로 예상했다. 6월 7일(월) 발표된 얀센, 화이자, 모더나 백신 등의 타 백신 접종 예정자까지 고려하면 6월 말 이전 상반기 접종목표 1,300만 명, 전 국민 25% 이상 접종은 조기에 달성될 것으로 예상되며 중증·사망 최소화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6월 8일(화) 0시 기준 어제 하루 875,498명이 예방접종을 하였으며 신규 1차 접종자는 855,642명으로 전체 8,455,799명이 1차 접종을 받았으며 2차 신규 접종자는 19,856명으로 총 2,299,853명, 누적 접종자 수는 10,755,652명이 완료했다고 밝혔다. 아스트라제네카 5,701,559명, 화이자는 2,754,240명이 접종을 받았다.


코로나19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으로 의심되어 신고된 사례는 6월 5일(토) 0시 기준 총 34,447건(신규 1,015건), 예방접종 후 흔하게 나타날 수 있는 근육통, 두통, 발열, 오한, 메스꺼움 등 사례가 32,658건(94.8%), 아나필락시스 의심 사례 257건(신규 1건), 주요 이상반응 사례는 신경계 이상반응 등 1,324건(신규 32건), 사망 사례 208건(신규 2건)이 신고됐다.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는 2021년 6월 7일 0시 부터 6월 8일 0시까지 확진자 454명이 추가로 확인되었다고 밝혔다.


집단 감염이 확인된 이후 최근에는 한 자릿수와 두 자릿수 사이로 확진자 수가 변동되며 감소하고 있으며 해외 입국으로 검역에서 확진자가 발생하는가운데 3월 발부터 4월 초까지 80-100명 이상에서 4월 중순 이후 20-30명 전후, 4월 말부터는 10명 전후, 5월에도 두 자릿수인 10명 전후를 이어갔다. 그러나 5월 10일 용인 66번 확진자를 시작으로 서울 이태원 클럽 집단 감염이 지역사회 감염으로 확대, 6월 초 쿠팡 및 종교 시설 등 지역감염이 확산되었으며 최근에는 지역사회 감염 및 해외 유입이 증가하는 추세다. 8월 14일 롯데리아 및 교회 등지에서 다시 크게 증가해 세 자릿수 103명에서 8월 15일 광화문 광복절 집회와 교회, 커피 전문점 등 지역 사회 감염이 확산됐다. 이후 300-400명 대로 증가하다 8월 말 200명 대, 9월 초 200명 대에서 9월 말에는 다시 100명 대로 감소, 10월 초부터 이어지던 두 자릿수는 11월 세 자릿수로 증가하는 추세에서 13일 70일 만에 최대치로 세 자릿수인 191명, 이후 12월에는 500명을 넘어서기 시작했으며 12월 25일은 네 자릿수로 최다인 1241명을 기록했다. 


이러한 추세는 새해까지 이어져 3차 대 유행으로 네 자릿수와 세 자릿수를 오갔으며 2021년 1월 1일은 네 자릿수인 1029명, 1월 18일부터는 300명 대로 낮아졌고 1월 31일까지 400명 대에서 300명 대 사이를 기록했다. 2월에는 1월 말을 이어 300명에서 400명 대 사이를 오갔으며 3월 동안은 300명대를 시작으로 400명 대와 500명 대를 오갔다. 3월은 500명 대, 4월에는 500명 대로 시작해 700명 대로 500명에서 600명 사이로 증가와 감소를 반복했으며 5월은 5월 1일 600명 대를 시작으로 500명 대에서 700명 대 사이를 오갔으며 5월 29일에는 500명 대인 533명, 5월 30일에는 400명 대인 480명, 5월 31일에는 400명 대인 430명, 6월 1일에는 400명 대인 459명, 6월 2일에는 600명 대인 677명, 6월 3일에는 600명 대인 681명, 6월 4일에는 600명 대인 695명, 6월 5일에는 700명 대인 744명, 6월 6일에는 500명 대인 556명, 6월 7일에는 400명 대인 485명, 6월 8일에는 400명 대인 454명이 확인됐다.


이에 따라 국내 코로나 19 확진자는 2021년 6월 8일(화) 0시 기준 145,091명으로 6월 7일(월) 0시 기준 144,637명에서 454이 증가했으며 치료가 완료되어 검사 결과 음성으로 격리 해제된 자는 551명이 추가되며 총 135,412명, 사망은 6월 7일 대비 1명이 늘어나 1,975명, 나머지 7,704명은 격리 치료 중이다.


2021년 6월 8일(화) 0시 기준 국내 의심환자는 10,008,584명으로 6월 7일(월) 0시 기준 9,972,297명에서 36,287명이 증가했다. 139,260명이 검사 중이며 결과 음성은 9,724,233명이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2021년 6월 8일(화) 0시 기준 신규 454명으로 서울 139, 경기 130, 인천 13, 부산 15, 대구 33, 광주 1, 대전 22, 울산 3, 강원 5, 충북 6, 충남 4, 전북 4, 전남 8, 경북 7, 경남 48, 제주 8, 검역 19명이다. 이 중 해외유입은 19명(경기 5, 인천 2, 충남 1, 전북 1, 경북 1, 제주 1, 검역 8), 지역발생은 435명(서울 139, 경기 125, 인천 11, 부산 15, 대구 33, 광주 1, 대전 22, 울산 3, 강원 5, 충북 6, 충남 3, 전북 3, 전남 8, 경북 6, 경남 48, 제주 7)이 확인되며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19가 빠르게 확산되는 가운데 해외유입에 따른 검역에서 확진자는 줄었으며 최근에는 코로나19 예방접종이 진행되는 가운데 지역 사회 감염이 증가 추세다.


또한 세계 보건 기구(WHO)에서 감염병 세계적 유행을 뜻하는 팬데믹(Pandemic)을 선언한 가운데 중국 재확산, 브라질, 인도, 아프리카 등 전 세계는 다시 확진자가 증가하는 추세이며 확진자가 1억 7천 2백만 명, 사망자 372만 명을 넘어섰다. 2021년 6월 8일(화) 09시 기준 전세계 코로나19 확진환자는 172,485,391명에서 172,859,687명으로 374,296명이 증가했으며 사망은 3,716,732명에서 3,725,643명으로 8,911명이 증가했다.


나라별로 살펴보면 미국은 33,027,212명의 확진자와 591,696명의 사망자가 나와 중국의 확진자 및 사망자 수를 크게 넘어선지 오래이며 확진자 3302만 명, 사망자 수가 59만 명을 넘어섰으며 코로나19 백신 접종으로 확진자와 사망자가 조금씩 줄어드는 추세다. 중국은 지난 베이징 펑타이 신파디 농수산물 도매시장에서 재확산 이후 91,300명의 확진자와 사망 4,636명을 기록했다.


아사이 지역에서 홍콩은 11,865명의 확진자와 사망 210명, 대만은 11,491명 확진자와 사망 286명, 일본 크루즈 712명의 확진자와 13명 사망, 일본 본토 762,401명 확진자와 13,574명의 사망자, 싱가포르 62,196명 확진자와 사망 33명, 인도 28,909,975명 확진자와 사망 349,186명, 필리핀 1,269,478명 확진자와 사망 21,898명, 네팔 588,124명 확진자와 사망 7,898명, 파키스탄 932,140명 확진자와 사망 21,265명, 인도네시아 1,856,038명 확진자와 사망 51,612명, 몰디브 67,950명 확진자와 사망 185명, 방글라데시 810,990명 확진자와 사망 12,839명 등 일본, 싱가포르, 인도와 파키스탄, 인도네시아, 방글라데시 등에서 확산이 진행 중이다.


중동 지역에서는 이란 2,966,363명 확진자와 사망 81,063명, 이집트 267,972명 확진자와 사망 15,352명, 이라크 1,224,992명 확진자와 사망 16,538명, 요르단 739,847명 확진자와 사망 9,530명, 쿠웨이트 317,197명 확진자와 사망 1,795명, 모로코 521,426명 확진자와 사망 9,178명, 사우디아라비아 457,546명 확진자와 사망 7,456명, 이스라엘 839,577명 확진자와 사망 6,418명 등 이란과 이라크, 사우디아라비아 등지에서 크게 확산 중이다.


미주 지역에서는 미국을 이어 캐나다 1,391,174명 확진자와 사망 25,712명, 멕시코 2,432,280명 확진자와 사망 228,754명, 브라질 16,907,425명 확진자와 사망 472,531명, 페루 1,980,391명 확진자와 사망 186,073명, 칠레 1,427,956명 확진자와 사망 29,937명, 콜롬비아 3,547,017명 확진자와 사망 91,422명, 아르헨티나 3,939,024명 확진자와 사망 80,867명 등 캐나다와 멕시코, 브라질, 페루, 아르헨티나 등지에서 확산 중이다.


유럽 지역은 이탈리아 4,232,428명 확진자와 사망 126,523명, 독일 3,701,484명 확진자와 사망 89,244명, 프랑스 5,610,271명 확진자와 사망 109,121명, 영국 4,516,896명 확진자와 사망 127,840명, 스페인 3,693,012명 확진자와 사망 80,099명, 오스트리아 642,784명 확진자와 사망 10,376명, 스웨덴 1,078,062명 확진자와 사망 14,523명, 스위스 694,181명 확진자와 사망 10,215명, 벨기에 1,070,802명 확진자와 사망 25,033명, 루마니아 1,078,863명 확진자와 사망 30,815명, 네덜란드 1,663,050명 확진자와 사망 17,678명, 체코 1,663,607명 확진자와 사망 30,164명, 포르투갈 852,646명 확진자와 사망 17,034명, 폴란드 2,875,328명 확진자와 사망 74,160명, 우크라이나 2,215,052명 확진자와 사망 51,215명, 헝가리 806,089명 확진자와 사망 29,782명, 터키 5,287,980명 확진자와 사망 48,164명, 러시아 5,135,866명 확진자와 사망 124,117명이 확인됐다. 이탈리아와 스페인, 독일, 프랑스, 영국, 터키, 러시아 등에서는 발병자가 증가하는 추세로 다시 확산세를 보이고 있다.


오세아니아 지역에서는 호주 30,175명 확진자와 사망 910명, 뉴질랜드 2,326명 확진자와 사망 26명으로 호주는 증가 추세이나 뉴질랜드는 크게 증가하지 않았다. 


아프리카 지역에서는 나이지리아 166,767명 확진자와 사망 2,117명, 남아프리카공화국 1,696,564명 확진자와 사망 56,974명, 에티오피아 272,914명 확진자와 사망 4,209명, 케냐 172,491명 확진자와 사망 3,287명 등 남아프리카공화국과 에티오피아 등지에서 확산 중이다.


기타 지역은 기타지역 영토에서 654,970명 확진자와 사망 8,035명이 확인됐다.


한편 중앙방역대책본부는 2020년 3월 2일(월)부터 오전 10시(오전 9시 기준)과 오후 5시(오후 4시 기준)으로 하루 두차례 진행한 확진자 현황정보(일별 통계)를 매일 0시(자정) 기준으로 오전 10시에 발표한다.

 

ⓒ 블루프레임(https://www.blueframe.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0 Comments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