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시청률 높은 인벤토리와 시청 태도는 미흡, 프릭아웃 코리아 유튜브 멀티태스킹 이용 행태 조사 발표

홈 > 최신뉴스 > 주요뉴스
주요뉴스

IT | 광고 시청률 높은 인벤토리와 시청 태도는 미흡, 프릭아웃 코리아 유튜브 멀티태스킹 이용 행태 조사 발표

권경욱 기자 0   0

AI 기반 유튜브 동영상 타기팅 솔루션 ‘GP’를 제공하는 프릭아웃 코리아(대표이사 히로시 오카다)가 유튜브 사용자들의 멀티태스킹 이용 행태에 대한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방송통신위원회의 2023 방송매체 이용행태조사에 따르면 대한민국 국민의 유튜브 이용률은 71%로, OTT 서비스 중 2위인 넷플릭스(35.7%)를 더블 스코어로 앞서고 있으며, 10대~40대에서의 이용률은 80%를 넘어선다.



thumb-1d8998c9e999d749b6160ac7081b51b9_G4VSdnFO_a2eb978934fc3123f4884e59916d1ae89026301e_600x338.jpg


그러나 프릭아웃은 다양한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40~60%에 달하는 높은 광고 시청 완료율이 정말로 유효한 수치인지에 대해 의문을 제기했다. 이에 따라 유튜브 광고가 실제로 어떻게 소비되고 있는지, 소비자들은 과연 어떠한 환경에서 유튜브 광고를 접하게 되는지 조사하게 됐다.



thumb-1d8998c9e999d749b6160ac7081b51b9_dgrHcuAs_ce51084daa5a82b41df771085421b3fd04f8b0cd_600x338.jpg


결과 개요


1. 유튜브는 주로 다른 일을 하면서 시청하는 경우가 많아 광고에 대한 집중도가 낮다.


- 88%의 사용자가 유튜브를 다른 일을 하면서 시청하고 있으며, 그중 광고를 주의 깊게 보는 비율은 단 6.8%에 불과하다.


2. 관리 화면의 ‘시청률’과 실제 시청 상황에는 괴리가 있다.


- 다른 일을 하면서 시청하는 경우 광고가 그대로 재생되는 일이 많아 실제보다 관리 화면의 시청률이 높게 나타날 수 있다.


3. 콘텍스트 광고의 경우 광고에 대한 인상이 더욱 긍정적으로 형성된다.


- 콘텐츠와 광고의 연관성이 높을수록 사용자의 광고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크게 감소한다.



thumb-1d8998c9e999d749b6160ac7081b51b9_cwMfudhA_ca5a17e783aad18409f846512a88e24d5cfde2d0_600x338.jpg


결과 상세


1.유튜브는 멀티태스킹 미디어로 사용되는 경향이 강하며, 화면을 제대로 주시하는 사용자의 비율은 매우 낮다.


- 유튜브 멀티태스킹 이용의 비율은 88%

- 가사(40%), 업무(18%), 운동(13%), 대중교통 이용(13%)의 환경에서 주로 멀티태스킹


2.멀티태스킹 상황에서 사용자들은 대부분 광고를 무시한다.


- 멀티태스킹 상황에서 광고를 시청하는 비율은 6.8%

- 관심 있는 광고가 나오는 경우에도 41%의 사용자는 광고를 확인조차 하지 않고 무반응


3. 음악은 청취용 콘텐츠로서의 성격이 강하며, 화면을 주시하지 않는 사용자 환경에서의 소비 경향이 크다.


- 화면을 주시하는 상황에서 음악 콘텐츠 이용률은 16%인 반면, 화면을 보지 않고 듣기만 하는 경우에는 59%


4. 광고에 대한 부정적 인식에도 불구하고 광고와 동영상 콘텐츠와의 관련성이 높은 경우 광고에 대한 인상이 개선된다.



thumb-1d8998c9e999d749b6160ac7081b51b9_3uVdjYcm_a065bef6da88ac4d068b626de22dd5cec4f431ab_600x337.jpg


이번 조사를 통해 다음과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


- 유저의 80% 이상이 다른 일을 하면서 유튜브를 시청하고 있으며, 광고에 대한 주목도는 낮다.

- 프로모션의 KPI로 설정되기 쉬운 관리 화면상의 ‘시청률’과 실제 시청 상황 간에는 괴리가 존재한다.

- 동영상 콘텐츠와 연관성이 높은 광고일수록 부정적인 인식이 크게 감소한다.



thumb-1d8998c9e999d749b6160ac7081b51b9_dG6rqsV5_75dc54c51bac78e3a1d65c446632b4039c090716_600x338.jpg


GP는 이번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단기적인 지표에만 의존하지 않고 마케터가 원하는 본질적인 광고 효과를 실현할 수 있도록 제품 개발에 힘쓰고 있다. 


더 자세한 조사자료는 https://kr.freakout.net/download/gp_survey에서 다운로드할 수 있다.


조사 개요


발주: 프릭아웃 코리아

기획/분석: 발크

조사기관: 마이크로밀 엠브레인

조사기간: 2024년 11월 

총 응답자: 400명

성별/연령대: 남녀 각 50%, 20대~60대 이상 각 20%

 

ⓒ 블루프레임(https://www.blueframe.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 , , , , , , , , , ,

0 Comments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