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가우스2 공개, 삼성전자 삼성 개발자 콘퍼런스 코리아 2024 온라인 개최

홈 > 최신뉴스 > 주요뉴스
주요뉴스

IT | 삼성 가우스2 공개, 삼성전자 삼성 개발자 콘퍼런스 코리아 2024 온라인 개최

권경욱 기자 0   0

삼성전자가 11월 21일(목) 삼성 개발자 콘퍼런스 코리아 2024(Samsung Developer Conference Korea 2024, SDC24 Korea)를 온라인으로 개최했다.


삼성전자는 소프트웨어 개발자들과 소통하고 협력하기 위해 2014년부터 매년 개발자 행사를 개최해 왔으며, 올해로 11주년을 맞이했다. 


이날 콘퍼런스에서는 ▲생성형 AI ▲소프트웨어(S/W) 플랫폼 ▲IoT ▲헬스케어 ▲통신 ▲데이터 등 제품에 탑재된 다양한 소프트웨어의 연구 분야는 물론 오픈소스 개발 문화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세션이 마련됐다.



thumb-e39e30b922ee718f4d5423e182d5b5ca_DlUZMwkR_4e0628ddcf359b5084d319b378b57e337d02886f_600x400.jpg

삼성 개발자 콘퍼런스 코리아 2024에서 삼성전자 DX부문 최고기술책임자(CTO) 겸 삼성리서치장 전경훈 사장 환영사


삼성전자는 키노트 발표에서 지난해 처음 공개한 생성형 AI 모델 삼성 가우스1(Samsung Gauss1)의 후속 모델인 삼성 가우스2(Samsung Gauss2)를 공개했다.


삼성 가우스2는 언어·코드·이미지 통합 멀티모달(Multimodal, 텍스트, 이미지, 오디오, 비디오 등 다양한 유형의 데이터(모달리티)를 함께 고려하여 서로의 관계성을 학습 및 처리하는 인공지능. 인간이 오감을 모두 활용해 정보를 이해하고 처리하는 방식과 유사) 모델로 기존 삼성 가우스1과 달리 여러가지 데이터 유형을 동시 처리할 수 있는 2세대 버전이다. 서비스 용도에 따라 ▲콤팩트(Compact) ▲밸런스드(Balanced) ▲슈프림(Supreme) 세 가지 모델로 구성되어 있다.


콤팩트는 제한된 컴퓨팅 환경에서도 효율적으로 작동하도록 설계된 소형 모델이다. 온디바이스(On-Device) 환경에서 기기의 특성을 최대한 활용해 기기에 최적화된 성능을 제공한다. 밸런스드는 클라우드(Cloud) 기반으로 성능, 속도 면에서 안정성과 효율성의 균형을 맞춘 모델이다. 다양한 작업에서도 균형 잡힌 성능을 제공한다. 슈프림은 최고 성능을 목표로 하는 고성능 모델이다. 밸런스드 모델을 기반으로 전문가 혼합(MoE, Mixture of Experts, 특정 작업 처리 시 가장 알맞은 일부 전문가 모델들만 선택, 활성화해 처리하는 방식으로, 필요한 연산 자원을 절약해 효율적으로 성능을 높일 수 있다.) 기술을 이용해 학습과 추론 과정에서 계산량을 대폭 줄여 성능과 효율성 모두를 높일 수 있었다.



thumb-e39e30b922ee718f4d5423e182d5b5ca_3iPdrV0Y_d3593029498d35c923c68cc3393b50fd9188f528_600x338.jpg

삼성 가우스2(Samsung Gauss2)


또 삼성 가우스2는 모델에 따라 9~14개국의 언어와 다양한 프로그래밍 언어를 지원한다. 삼성전자는 자체적으로 거대언어모델(LLM) 학습 안정화 기법을 개발해 적용하고 자체 토크나이저(Tokenizer, 글자, 이미지, 음성 등의 입력을 생성형 모델이 처리 할 수 있는 토큰으로 변환 및 분할하는 알고리즘으로, 데이터를 벡터 형태의 숫자 형식인 토큰으로 표현하는 방법)를 설계해 지원하는 언어에 대한 효율성을 극대화했다.


밸런스드와 슈프림 모델은 현재 공개되어 있는 대표적인 오픈소스 생성형 AI 모델들 대비 영어, 한국어 등 다양한 언어 답변 생성, 코딩 등 주요 지표에서 동등 이상의 성능을 제공한다. 시간당 처리 속도는 1.5~3배 이상으로 그만큼 AI의 답변 생성이 빨라 사용자의 대기시간이 줄어들고 효율적인 일처리가 가능하다.


자체 생성형 AI 모델의 장점은 필요한 목적과 응용분야에 맞춰 최고의 성능을 내도록 맞춤형 개발에 용이하다는 것이다. 실제로 삼성 가우스는 이런 맞춤형 개발의 장점을 살려 직원들의 다양한 업무에서 활용되고 있다.


코드아이(code.i)는 사내 S/W 개발자를 지원하는 삼성 가우스 모델의 코딩 어시스턴트 서비스이다. 최근에는 삼성 가우스2 모델로 업그레이드되어 DX부문의 사업부 및 일부 해외 연구소에서 활용되고 있다. 코드아이는 작년 12월 서비스 시작 시점 대비 현재 월별 사용량은 약 4배 이상 증가했고 삼성전자 DX부문 전체 S/W 개발자의 약 60%가 사용하고 있다.


삼성 가우스 포탈(Samsung Gauss Portal)은 삼성 가우스의 대화형 AI 서비스로 ▲문서 요약 ▲번역 ▲메일 작성 등 DX부문 직원들의 다양한 사무 업무를 빠르고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지난 4월에는 해외 법인으로 서비스가 확대되었다.


또 삼성전자는 올해 8월부터 삼성 가우스를 콜센터에 적용해 상담 내용을 자동 분류하고 요약하는 등 상담원의 업무를 보조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향후 삼성 가우스2를 통해 코드아이(code.i)서비스의 지속적인 성능 개선, 삼성 가우스 포탈(Samsung Gauss Portal)의 자연어 질의응답 성능 향상, 표와 차트의 이해, 이미지 생성 등 멀티모달 기능을 지원해 사내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계획이다.


또한 삼성전자는 모두를 위한 AI(AI for All) 라는 AI 비전 아래, 사용자들이 더욱 편리하고 즐거운 일상을 누릴 수 있도록 전 제품 군에 AI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향후 지식 그래프(Knowledge Graph, 사람이 지식을 기억 및 회상하는 방식과 유사하게 데이터를 저장, 처리하는 방식의 기술) 기술과도 결합해 한층 강화된 개인화 서비스를 선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thumb-e39e30b922ee718f4d5423e182d5b5ca_19teH8oj_17a6e1eeb6c4dc91955120236022c36f785ceb1c_600x417.jpg

삼성 개발자 콘퍼런스 코리아 2024에서 삼성전자 삼성리서치 이주형 부사장 삼성 가우스2 소개

 

삼성 가우스2 발표에 이어, 삼성의 플랫폼에 대한 고객경험을 주제로 ▲스마트싱스(SmartThings) 플랫폼 고객 경험 ▲소프트웨어 플랫폼 고객경험 향상에 대한 키노트가 이어졌다.


이후 ▲헬스케어의 미래와 삼성 헬스 에코시스템 전략 ▲생성형 AI를 통한 스마트싱스(SmartThings) 고객 VOC 경험 개선기 ▲code.i: 삼성의 AI 코딩 어시스턴트를 이해하다 ▲당신의 일상에 활력을 더하는 TV 기반 라이프스타일 콘텐츠 허브 소개 ▲AI 비전(Vision) 기술과 데이터 활용을 통한 삼성 가전 AI 솔루션 등 총 29개의 다양한 기술 세션이 이어졌다.


한편 SDC24 Korea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공식 홈페이지(https://www.sdc-korea.com)에서 확인할 수 있다.

 

ⓒ 블루프레임(https://www.blueframe.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 , , , , , , , ,

0 Comments
많이 본 뉴스
인기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