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비디아 AI 소프트웨어, 미국 선도기업들과 전 세계 산업 혁신

홈 > 최신뉴스 > 주요뉴스
주요뉴스

IT | 엔비디아 AI 소프트웨어, 미국 선도기업들과 전 세계 산업 혁신

권경욱 기자 0   0

미국의 기술 리더들이 전 세계 산업을 혁신하기 위해 엔비디아 AI 소프트웨어를 활용하고 있다. 

 

엔비디아(www.nvidia.co.kr, CEO 젠슨 황)가 미국 기술 선도 기업들과 협력한다고 발표했다. 이를 통해 엔비디아(NVIDIA)는 조직들이 최신 엔비디아 NIM™ 에이전트 블루프린트(NIM Agent Blueprints), 엔비디아 네모(NeMo™), 엔비디아 NIM 마이크로서비스를 사용해 맞춤형 AI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 전 세계 산업을 혁신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AT&T, 로우즈(Lowe's)와 플로리다 대학교(University of Florida)와 같은 조직은 산업 전반에 걸쳐 마이크로서비스를 사용해 자체 데이터 기반 AI 플라이휠(flywheel)을 생성하고 맞춤 생성형 AI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고 있다. 


미국의 기술 컨설팅 선두주자인 액센츄어(Accenture), 딜로이트(Deloitte), 퀀티파이(Quantiphi), 소프트서브(Softserve)와 같은 기업들은 엔비디아 NIM 에이전트 블루프린트와 엔비디아 네모, NIM 마이크로서비스를 채택하고 있다. 이를 통해 이들은 의료, 제조, 통신, 금융 서비스와 소매 분야의 고객들이 맞춤 생성형 AI 에이전트와 코파일럿을 개발하도록 지원한다. 


데이터와 AI 플랫폼 선도 기업인 케이던스(Cadence), 클라우데라(Cloudera), 데이터스택스(DataStax), 구글 클라우드(Google Cloud), 넷앱(NetApp), SAP, 서비스나우(ServiceNow), 테라데이타(Teradata)는 엔비디아 NIM을 통해 데이터와 AI 플랫폼을 발전시키고 있다. 


엔비디아의 창립자 겸 CEO인 젠슨 황(Jensen Huang)은 “AI는 혁신을 주도하고 글로벌 산업의 미래를 형성하고 있다. 엔비디아는 미국 기업, 대학, 정부 기관과 협력해 생산성을 높이고 경제 성장을 촉진하기 위해 AI 도입을 발전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정밀 맞춤 생성형 AI를 위한 엔비디아 네모 마이크로서비스


엔비디아 네모 마이크로서비스는 엔드투엔드 모델 맞춤화 워크플로우와 AI 에이전트 개발을 지원한다. 이로써 기업이 맞춤 생성형 AI 애플리케이션을 더 빠르게 출시하고 개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돕는다. 


새로운 네모 마이크로서비스인 네모 커스터마이저(NeMo Customizer), 네모 이밸류에이터(NeMo Evaluator), 네모 가드레일(NeMo Guardrails)을 NIM 마이크로서비스와 함께 사용하면 개발자가 대규모로 데이터를 쉽게 선별할 수 있다. 또한, 모델을 사용자 정의하고 평가하며, 비즈니스 목표에 맞게 응답을 관리할 수 있다. 그런 다음 개발자는 모든 GPU 가속 클라우드, 데이터센터 또는 워크스테이션에 맞춤형 NIM 마이크로서비스를 원활하게 배포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보안을 위한 새로운 엔비디아 NIM 에이전트 블루프린트 출시


엔비디아는 개발자에게 빠른 시작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NIM 에이전트 블루프린트를 지원한다. 이는 엔비디아 네모와 NIM 마이크로서비스로 구축된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가이드를 제공하는 참조 워크플로우이다. 


NIM 에이전트 블루프린트는 신약 개발, 고객 서비스, 데이터 추출 등 주요 엔터프라이즈 사용 사례를 위한 AI 배포를 가속화하는 데 도움이 된다. 지난 8일 소프트웨어 컨테이너 보안을 위한 새로운 블루프린트가 출시됐다. 


개발자는 네모, NIM 마이크로서비스, 엔비디아 NIM 에이전트 블루프린트를 무료로 체험해 볼 수 있다. 기업은 엔비디아 AI 엔터프라이즈(AI Enterprise)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통해 엔터프라이즈급 보안, 지원과 안정성을 갖춘 애플리케이션을 프로덕션에 배포할 수 있다. 


산업을 위한 맞춤형 AI 에이전트를 구축하는 엔비디아 마이크로서비스


업계 리더들은 통신과 교육, 보안을 개선하기 위해 엔비디아 AI를 사용하고 있다. 


Ÿ   AT&T는 퀀티파이와 협력해 소프트웨어 개발, 네트워크 엔지니어링, 금융 서비스 업무를 담당하는 직원들을 지원하는 대화형 플랫폼을 구축하기 위해 엔비디아 NIM을 사용하고 있다.


Ÿ   플로리다 대학교는 검색 증강 생성(Retrieval-Augmented Generation, RAG)을 기반으로 하는 학습 관리 시스템을 발전시키기 위해 엔비디아 NIM과 네모를 채택해 어시스턴트가 학생들의 학업 성공과 유지를 개선하는 데 도움을 주고 있다.


Ÿ   포춘(FORTUNE)이 선정한 50대 주택 개량 기업 중 하나인 로우즈는 직원과 고객의 경험을 개선하고 매장 직원의 생산성을 향상하기 위해 엔비디아 NIM과 네모 마이크로서비스를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일례로 로우즈는 엔비디아 네모 가드레일을 활용해 자사의 생성형 AI 솔루션 플랫폼의 안전과 보안을 강화하고 있다. 


엔비디아 네모로 AI 도입을 가속화하는 글로벌 컨설팅 기업들


엔비디아의 글로벌 서비스 제공업체와 서비스 전달 파트너사들은 다양한 산업 분야의 기업들이 엔비디아 네모, NIM 마이크로서비스와 NIM 에이전트 블루프린트를 사용해 비즈니스 데이터를 활용하는 맞춤형 AI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Ÿ   액센츄어는 AI 리파이너리™(AI Refinery™)와 액센츄어 엔비디아 비즈니스 그룹(Accenture NVIDIA Business Group)을 통해 고객이 엔비디아 네모와 NIM 마이크로서비스를 사용해 도메인별 AI 에이전트를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Ÿ   딜로이트는 최신 엔비디아 NIM 에이전트 블루프린트를 사이버 보안 솔루션에 통합해 기업이 소프트웨어 취약성 분석과 완화를 대규모로 가속화할 수 한다.


Ÿ   소프트서브의 생성형 AI 인더스트리얼 어시스턴트(Industrial Assistant)는 네모와 NIM 마이크로서비스를 사용한다. 이를 통해 장비 매뉴얼의 접근성을 높이고 공장 작업자에게 문제 해결과 유지 관리에 대한 실시간 지침을 제공함으로써 산업 제조의 안전과 효율성을 개선한다. 


엔비디아 네모와 NIM 마이크로서비스로 인사이트를 강화하하는 데이터와 AI 플랫폼


엔비디아 AI 에코시스템 파트너인 케이던스, 클라우데라, 데이터스택스, 구글 클라우드, 넷앱, SAP, 서비스나우와 테라데이타는 최적화된 추론 기능을 갖춘 맞춤 생성형 AI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하기 위해 네모와 NIM 마이크로서비스를 사용하고 있다. 


Ÿ   클라우데라는 오늘 개발자가 최대 36배 빠른 추론 성능으로 엔터프라이즈급 거대 언어 모델(large language model, LLM)을 구축, 사용자 정의하고 배포할 수 있는 NIM이 내장된 AI 추론 서비스를 공개했다.


Ÿ   구글 클라우드는 기업 고객에게 구글 클라우드 마켓플레이스(Google Cloud Marketplace)에서 직접 최적화된 모델을 배포할 수 있는 간소화된 경로를 제공하기 위해 구글 쿠버네티스 엔진(Google Kubernetes Engine)에 NIM을 통합하고 있다.


Ÿ   SAP는 NIM 마이크로서비스를 사용해 고객을 위한 맞춤 생성형 AI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할 예정이다.


Ÿ   서비스나우는 네모와 NIM 마이크로서비스를 최초로 채택한 기업 중 하나이다. 최근 여러 미국 정부 기관의 생성형 AI 사용 사례를 지원하기 위해 엔비디아 NIM 에이전트 블루프린트도 채택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또한 서비스나우의 기술을 통해 조직은 기업 전반의 업무를 혁신할 수 있는 맞춤 생성형 AI 에이전트를 만들 수 있다.


Ÿ   테라데이타는 신뢰할 수 있는 생성형 AI 애플리케이션의 보다 효율적인 개발과 배포를 위해 엔비디아 AI 엔터프라이즈를 자사 밴티지(Vantage) 플랫폼에 통합하고 있다. 


개발자들은 엔비디아 API 카탈로그를 통해 NIM 마이크로서비스를 포함한 엔비디아 AI 소프트웨어에 액세스할 수 있으며, 엔비디아 개발자 라이선스를 사용해 무료로 마이크로서비스를 체험해볼 수 있다.

 

ⓒ 블루프레임(https://www.blueframe.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 , , , ,

0 Comments
많이 본 뉴스
인기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