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브릭스 데이터 인텔리전스 플랫폼 구축, LG전자 고객 데이터 관리 시스템 구축 및 관리 최적화

홈 > 최신뉴스 > 주요뉴스
주요뉴스

IT | 데이터브릭스 데이터 인텔리전스 플랫폼 구축, LG전자 고객 데이터 관리 시스템 구축 및 관리 최적화

권경욱 기자 0   0

LG전자는 데이터 및 AI 기업 데이터브릭스(Databricks)의 데이터 인텔리전스 플랫폼을 통해 고객 중심의 데이터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고 데이터 관리의 효율성을 향상시켰다고 밝혔다. 


글로벌 생활가전 시장의 선두 주자인 LG전자는 소비자의 생활에 더 나은 가치를 제공하기 위하여 다양한 기술적 도전을 앞장서서 실현해 왔다. 


기존의 사내 데이터 저장소는 별개적으로 분리되어 있어 데이터 활용도가 낮아, 이를 보완하고자 고객 중심 데이터 시스템을 자체 설립하였지만, 새로운 데이터 환경을 구축하는 과정에서 대용량 데이터 관리, 정보 보안의 안전성, 및 시스템의 확장성 등에 관한 여러 어려움을 직면하였다. 


이를 해결하고자 데이터브릭스 데이터 인텔리전스 플랫폼을 도입하였고, 통합 솔루션을 활용해 고객 연결 로직 작업 시간과 비용을 크게 단축하며 고객 데이터 관리 시스템을 성공적으로 구축할 수 있게 되었다. 


데이터 인텔리전스 플랫폼으로 시스템 확장성 및 데이터 보안 확보: LG전자는 고객 데이터 시스템의 대용량 데이터, 정보 보안 및 시스템 확장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데이터 인텔리전스 플랫폼을 도입하였다. 


데이터브릭스의 강력한 컴퓨팅 자원과 Job 클러스터 기능을 활용하여 대용량 고객 데이터 아이디 피닝 작업을 빠르게 처리할 수 있게 되었다. 더불어, 데이터 인텔리전스 플랫폼으로 데이터 보안 문제도 해결되었다. 데이터브릭스는 SaaS 형 서비스이지만 외부에서 컨트롤 플레인 공간까지 접근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기에 데이터의 안전성을 높였다.


LG전자와 데이터브릭스 간에는 프라이빗 링크를 통해 연결하고, Admin에 한해서만 화이트 리스트 특정 사용자를 지정하여 권한이 있는 사용자만 컨트롤 플레인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로 인해, 고객 데이터를 LG전자 내부에 안전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되었다. 


강력한 컴퓨터 자원으로 고객 데이터 연결 작업 시간 및 비용 단축: LG전자는 데이터 인텔리전스 플랫폼을 도입하여 광대한 고객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CDP 시스템 구축에 성공하였다. 


기존에는 모든 데이터를 개인 단위로 아이디 피닝하여 개인의 속성 데이터와 행동 데이터로 가공하는 작업에 약 10시간 정도 소모되었는데, 데이터브릭스 활용으로 효율성을 3배 이상 향상시켜 3시간으로 단축할 수 있었다. 


또한, 데이터브릭스로 유연한 자원 운영이 가능해져 데이터 시스템 관리 비용을 최적화할 수 있게 되었다. 기존 SaaS형 서비스에서 24시간 사용 비용 대비 데이터브릭스 활용으로 야간 비용을 축소하고 피크타임에 탄력적 운영으로 전체 데이터 시스템 관리 비용의 최대 1/2까지 절감할 수 있게 되었다.

 

ⓒ 블루프레임(https://www.blueframe.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 , , , , ,

0 Comments
많이 본 뉴스
인기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