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임스 다이슨 어워드 2021, 2천개 이상 출품작 중 총 20개의 국제전 우승 후보작 발표

홈 > 최신뉴스 > 주요뉴스
주요뉴스

IT | 제임스 다이슨 어워드 2021, 2천개 이상 출품작 중 총 20개의 국제전 우승 후보작 발표

권경욱 기자 0   0

국제 학생 엔지니어링 및 디자인 공모전 ‘제임스 다이슨 어워드 2021 (The James Dyson Award 2021)’의 국제전 우승 후보작이 발표됐다.  


올해 제임스 다이슨 어워드에 응모된 2,000개 이상의 출품작 중 국제전 우승 후보작에 오른 작품은 총 20개로, 이 중 국제전 및 지속가능성 부문 최종 우승작이 선정될 예정이며 최종 우승팀에는 3만 파운드(한화 약 4,890만원)가 수여된다. 


지난 8월에는 전 세계 28개국의 국내전 우승작 및 입상작이 발표되어 젊은 인재들의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아이디어가 공개된 바 있다. 국내에서는 안전한 공유 모빌리티 살균 손잡이인 ‘무한한 원(Infinite Circle)’이 우승작으로 당선되었다. 



제임스 다이슨 어워드 2021 국제전 우승 후보작에 총 20개 작품 선정돼 


올해 국제전 우승 후보작 선정을 위해 15명의 다이슨 엔지니어와 과학자, 디자이너들은 총 83개의 국내전 우승작 및 입상작을 검토했다. 생각과 경험의 다양성으로부터 좋은 아이디어가 탄생한다는 다이슨의 기업적 신념 하에, 이번 심사위원으로 참가한 다이슨 엔지니어들의 배경은 미생물학부터 오토메이션, 헬스케어, 소프트웨어, 기술 디자인 등으로 다양하다. 이들은 각 분야에 대한 전문적 지식을 바탕으로 다이슨의 제품 및 기술 연구와 디자인, 개발 과정을 주도하고 있으며 다이슨 기술공과대학(Dyson Institute of Engineering Technology)에서 학생들을 대상으로 본인의 경험 및 아이디어를 공유하는 등 전문성을 알리는 일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이슨의 글로벌 디자인 엔지니어링 부문장이자 이번 제임스 다이슨 어워드 2021의 국제전 우승 후보작 심사를 맡은 존 맥갈바(John McGarva)는 제임스 다이슨 어워드에 대해 “젊은 엔지니어들이 본인의 아이디어를 집요하게 분석하고 디자인 과정까지 빠르게 진행하게 하는 좋은 계기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이 공모전은 발명품의 근간을 제공할 뿐 아니라, 팀과 개인이 성공하기 위해 필요한 여러 가지 지원 및 사회적 인정을 받을 수 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고 평가했다. 


심사위원단은 모든 국내전 우승작 및 입상작들에 대해 검토 및 분석하는 과정을 거쳐 최종 20개의 국제전 우승 후보작을 선정하였다.



발명에 대한 멈추지 않는 열정 


올해 제임스 다이슨 어워드에 참가한 전 세계의 학생들은 일상 속 어려운 문제들을 ‘발명’을 통해 해결할 수 있음을 증명해 내며, 발명에 대한 끊임없는 열정을 보여주었다. 올해 제임스 다이슨 어워드에는 2,000개 이상의 작품이 출품되어, 2005년 개최 이래 역대급으로 많은 수의 출품작이 응모되었다. 이 중 국제전 우승 후보작으로 선정된 20건의 출품작은 혁신적인 아이디어로 다양한 전 지구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고안된 작품들로, 플라스틱 종류를 분류하는 스캐너부터 새로운 남성 피임 도구 등 창의적인 결과물로 큰 주목을 받았다. 또한, 대부분의 아이디어들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확산 이후 개발된 것들로, 제한된 환경 속에서 팀원들 간의 긴밀한 협업으로 탄생한 작품이라는 점에서 더욱 의미가 크다. 


다이슨의 선임 기술 스카우트인 케이 영(Kay Yeong)은 “발명품은 실제로 현실에서 직면하는 문제들에 대해 철저히 조사한 후, 디자인까지 잘 설계된 작품이어야 한다. 제임스 다이슨 어워드 참가자들은 전문가들과 실 사용자들의 이야기와 조언을 들으며 해당 문제에 대해 정확히 이해하고, 아이디어를 개선하기 위해 최대한 많은 테스트를 거쳐야 한다”고 전했다. 


제임스 다이슨 어워드 2021 국제전 우승 후보작 20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와 같다. 오는 11월 17일 제임스 다이슨이 선정한 국제전 및 지속가능성 부문 최종 우승작이 공개될 예정이다. 


Algobio : 해초로 만든 생체고분자를 사용한, 무독성의 내연제이다. - 캐나다


ArchGuard - ArchGuard는 경피적 대동맥판막 삽입술(TAVR)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뇌졸중이나 무통성 허혈을 예방할 수 있는 발명품으로, 파편이 뇌로 향하지 않도록 형상 기억 프레임(shape-memory frame)과 다공성 기법(porous mesh)을 활용해 안전하고 직관적인 방법을 제공한다. - 미국


Citra : 감귤류 껍질 폐기물과 유기 바인더로 제작된 새로운 형태의 바이오 가죽이다. - 말레이시아


COSO : COSO는 초음파로 남성의 정자 생산을 막는 피임 도구로, 기구에 적당한 온도의 물을 적정량 채운 뒤 그 속에 고환을 담그고 몇 분 동안 앉아 있으면 피임 효과를 볼 수 있다. - 독일


Enayball : Enayball은 신체 일부가 마비되었거나 다발성 경화증(MS)을 앓고 있는 사람들이 그림을 그리는 등 예술 활동을 할 수 있도록 돕는 조정 가능한 죔쇠로, 직경이 4~40mm 범위에 있는 미술 도구를 잡을 수 있도록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 영국


Field of Vision : 시각 장애인들이 축구 경기를 직접 체험할 수 있도록 돕는 인공지능 기반의 휴대용 장치로, 실시간으로 마치 실제 경기장에서 축구를 하는 듯, 공의 위치 등을 체감할 수 있다. - 아일랜드


Guided Hands : 손의 움직임이 불편한 사람들을 위한 보조 장치로, 글을 쓰거나 그림을 그리거나 터치 스크린을 사용하는 등 손으로 하는 여러 작업들을 수행할 수 있도록 돕는 발명품이다. 궁극적으로 환자들의 자신감, 독립성, 자기 표현 및 인지 능력을 회복하는데 도움을 준다. - 캐나다


HIIVE : HIVE는 특정 꿀벌종의 행동 패턴을 기반으로 제조된 벌집으로, 양봉가들이 자연적인 방법으로 벌을 키울 수 있도록 돕는 발명품이다. 지속가능한 재료로 만들어졌고, 낮은 에너지 센서로 새로운 양봉 경험을 제공한다. - 독일


HOPES : 통증을 유발하지 않고 저렴하게 집에서 안압 테스트를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웨어러블 생체 의료 기기로, 녹내장을 앓고 있는 환자들이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 싱가포르


LOTA+ : 자원 순환성을 활용해 저렴한 비용으로 고안된 혁신적인 화장실로, 빈곤층의 열악한 화장실 위생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 싱가포르


LUNA : 사용자와 함께 성장하는 하지보조기로, 기존 하지보조기의 지지대는 매우 단단하여 사용자에게 멍이나 통증을 유발했던 문제를 해결하고자, 사용자에게 적합한 사이즈로 조정 가능한 형태로 만들어졌다. - 호주


ManiFlex :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의 고유한 특성을 사용하여, 기존 지지대에 새로운 기능성 및 통합 솔루션을 제공한다. - 벨기에


Morpho : Morpho는 늘어나면 색상이 변하는 붕대로, 색상은 붕대 압박의 정도를 보여주어 치료 과정에 도움을 준다. 이 발명품은 운동 선수의 퍼포먼스를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운동복에서부터 주변 상황과 더욱 원활한 소통이 가능하도록 돕는 로봇의 손 등에 적용된다. - 미국


Oto : 자폐증을 지닌 사람들을 위해 개발된 포옹 의자로, 흔히 감각 장애를 앓고 있는 자폐증 환자들에게 의자 안쪽의 벽에서 가슴 혹은 다리에 제공하는 강한 압력으로 자신의 몸의 경계를 느끼게 하고 감각 정보에 집중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 환자의 긴장감을 낮추고 주변 환경에 대해 편안함을 느낄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 프랑스


Pili Seal : 폐기물로 만들어진 항공기 밀폐제로, 현재 사용하고 있는 제품이 화학 재료 사용으로 자연은 물론 사용자의 건강에도 해로울 수 있다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고안, 친환경적 폐기물로 만들어져서 건강에 덜 해로우며 항공기 일체형 연료 탱크 제작 시 기본 성분으로도 사용 가능하다. - 필리핀


Plastic Scanner : Plastic Scanner는 물질을 스캔할 때 반사되는 빛을 이용해 전 세계 플라스틱의 75% 이상을 유형별로 식별할 수 있는 분류 장치로 저렴한 비용에 개발되었다. - 네덜란드


Pyrus : Pyrus는 석유 물질이 함유되어 있지 않은, 나무와 같은 원재료로 콤부차 생산 중 발생하는 박테리아 셀룰로오스 폐기물을 활용해, 지속가능한 공정으로 생산한 재료이다. - 미국


REACT : 빠르게 팽창 가능한 의료용 실리콘 풍선 탐폰을 상처에 삽입시켜주는 장치로, 자동으로 상처 부위의 지혈을 돕는다. - 영국


S’werve : 기존 휠체어와 다르게, S’werve는 팔과 손 움직임에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도 무게중심을 이동하거나 한 손을 이용해 휠체어를 제어할 수 있다. - 스위스


Zerogap : Zerogap은 하반신이 마비된 사람들이 휠체어와 화장실 변기 사이의 거리를 줄일 수 있도록 돕는 발명품으로, 보다 안전하고 편안하게 이동할 수 있어 사고 위험 부담을 줄여준다. - 대만

 

ⓒ 블루프레임(https://www.blueframe.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 , , , , , ,

0 Comments
많이 본 뉴스
인기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