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젝트 관리의 새로운 패러다임 AI, PMI ‘2024 글로벌 프로젝트 관리 직무 동향 보고서’ 발표

홈 > 최신뉴스 > 주요뉴스
주요뉴스

IT | 프로젝트 관리의 새로운 패러다임 AI, PMI ‘2024 글로벌 프로젝트 관리 직무 동향 보고서’ 발표

권경욱 기자 0   0

글로벌 프로젝트 관리 기관 PMI(Project Management Institute)가 전 세계 프로젝트 관리 직무의 최신 트렌드와 인사이트를 담은 ‘2024 글로벌 프로젝트 관리 직무 동향 보고서(Global Project Management Job Trends 2024)’를 발표했다고 20일 밝혔다. 이 보고서는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 AI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기업들이 AI 주도형 혁신을 추구하고 AI에 적극적으로 투자하고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PMI가 2022년부터 매년 발간하는 글로벌 프로젝트 관리 직무 동향 보고서는 경제 및 고용 전망과 산업과 지역을 대표하는 다양한 프로젝트 전문가와의 인터뷰를 기반으로 전 세계 프로젝트 관리 직업군의 동향을 밝히고, 산업 변화에 따라 직업군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탐색한다. 이번 보고서는 글로벌 및 여러 지역의 150개 이상의 경제 및 고용 전망, 프로젝트 활동 전망, 뉴스 기사를 바탕으로 작성되었다. 또한, 전 세계 15개국에서 활동하는 25명의 프로젝트 관리 전문가와의 인터뷰를 반영하여 자료의 신뢰도를 더했다.



thumb-1d8998c9e999d749b6160ac7081b51b9_dOIVMfPx_53a8fdd208ca82fff19a4a0fd15179527a5758d1_600x309.jpg

(사진자료1 : PMI(Project Management Institute)) 


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적으로 경기 회복이 더디지만, 공공 및 민간 기관들이 건설부터 에너지 등 여러 분야에서 다양한 긴급 프로젝트를 추진함에 따라 프로젝트 관리자의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해 4분기에 프로젝트 전문가 682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PMI의 경제 스냅샷 조사(PMI Economic Snapshot Survey)에 따르면, 응답자의 24%가 지난 6개월간 조직 내 정규 프로젝트 관리 인력이 늘었다고 답했다. 또한, 향후 6개월 동안 정규 인력 증가를 예상한다는 응답자 비율은 36%에 달해, 프로젝트 관리자들에게 다양한 기회가 주어질 것을 시사했다. 


한편, AI의 급속한 발전이 기업의 프로젝트 수행 방법을 새롭게 정의하고 있다고 보고서는 진단했다. PMI의 최신 글로벌 서베이에 따르면 프로젝트 매니저의 21%가 프로젝트 관리 업무에 AI를 항상 또는 종종 사용하고 있다고 응답했다.  또한, 시니어 리더의 82%는 AI가 향후 5년간 기업의 프로젝트 운영 방법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답했다. 


이번 보고서는 AI 스킬에 대한 수요가 늘고 있다며, 프로젝트 관리자들이 AI를 비롯한 최신 기술을 습득해 미래의 직업 기회에 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보고서가 인용한 2023 워크모니터 펄스 서베이(Workmonitor Pulse Survey)에 따르면, AI 스킬을 언급한 2023년 9월 구인 포스팅 수는 3월 대비 2000% 급상승했다. AI 스킬은 프로젝트 관리 작업의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키며, 새로운 업무 요구사항에 빠르게 적응할 수 있게 도와준다. 새로운 기술을 빠르게 수용함으로써 개인의 성공적 경력을 위한 강력한 기반을 구축하는 동시에 조직 전반의 AI 수용을 촉진할 수 있다고 보고서는 제시했다. 


한편,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 근무하는 직장인들이 AI와 인간의 협업이 가져올 경력상의 이점을 높이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에 인용된 아시아 태평양 업무 인력의 희망과 두려움(Asia Pacific Workforce Hopes and Fears Survey)이라는 조사에 따르면, 이들은 향후 5년간 AI 기술이 업무 생산성 및 효율성을 높이고, 새로운 기술의 습득 및 직업 기회를 창출할 것이라는 데 타 지역들보다 더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thumb-1d8998c9e999d749b6160ac7081b51b9_p61bBUzn_7208d58687e494839d7ea7403f63148600e31b1c_600x338.jpg

(사진자료2 : 아시아 태평양 지역 AI 영향력 조사) 


한국과 관련해서는 생산성 향상, 디지털화 가속, 산업 자동화 강화에 기여할 수 있는 프로젝트 매니저의 수요가 증가할 것이라 전망했다. 수요 증대가 예상되는 업계로는 전기차를 비롯한 제조업 분야를 꼽았다. 또한, PMI의 시장 평가에 따르면 프로젝트 관리 자격증의 수요가 높은 산업은 정보통신기술(ICT), SI(System Integration) 및 건설 업계이다. 


한편, 아시아 태평양 지역 내 프로젝트 전문가들의 연간 중위 연봉 조사 결과를 보면 한국은 약 6만 5363달러(약 8860만원)로 호주, 싱가포르에 이어 세 번째로 높았다. 이는 한국에서 프로젝트 관리 전문성이 매우 높게 평가받고 있음을 의미하며, 국제적으로도 인정받는 수준임을 보여준다.



thumb-1d8998c9e999d749b6160ac7081b51b9_3M5AIklC_63acc2ade89e9ccfcf70f7facae6deca7f825378_600x338.jpg

(사진자료3 : 아시아 태평양 지역 프로젝트 전문가 연간 중위 연봉 조사)


강소현 PMI 아시아 태평양 지사장은 “이번 보고서는 한국을 포함한 전 세계 프로젝트 관리 전문가들이 시장의 중요한 트렌드를 파악하고, 새로운 직업 기회를 모색할 있도록 이정표를 제시하고 있다”며 “PMI는 프로젝트 전문가와 기업들이 시장에서 경쟁력을 더 높여가고 성장을 이어갈 수 있도록 다양한 기회를 늘려가겠다”고 밝혔다.



‘2024 글로벌 프로젝트 관리 직무 동향 보고서’는 PMI의 공식 웹사이트를 통해 열람할 수 있다.

 

ⓒ 블루프레임(https://www.blueframe.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 , , , , ,

0 Comments
많이 본 뉴스
인기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