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0% 이상 실패하는 AI 프로젝트에 대한 새로운 관점, PMI AI 프로젝트 전용 관리 방법론 'CPMAI' 국내 첫 공개

홈 > 최신뉴스 > 주요뉴스
주요뉴스

IT | 80% 이상 실패하는 AI 프로젝트에 대한 새로운 관점, PMI AI 프로젝트 전용 관리 방법론 'CPMAI' 국내 첫 공개

권경욱 기자 0   0

글로벌 프로젝트 관리 기관 PMI(Project Management Institute)가 지난 2일 성수동에서 AI 프로젝트 관리 전문 방법론인 CPMAI(Cognitive Project Management for AI)를 소개하는 'AI 오픈 커뮤니티 이벤트'를 성공적으로 개최했다고 발표했다. 


'성공적인 AI 프로젝트 운영과 실패를 피하는 방법'을 주제로 열린 이번 행사는 전 세계 AI 프로젝트의 80% 이상이 실패하고 있는 현실 속에서 AI에 관심 있는 국내 전문가들이 AI 시대에 필요한 새로운 프로젝트 관리 역량을 습득할 수 있도록 기획된 오픈 교육 프로그램이다. PMI의 AI 커뮤니티 총괄 디렉터(Director of AI Engagement & Community)인 캐슬린 왈치(Kathleen Walch)가 방한하여 IT, 제조, 금융 등 다양한 산업에서 근무하는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강연했다.


캐슬린 왈치 디렉터는 강연에서 AI 프로젝트가 애플리케이션 개발이 아닌 데이터에 기반한다는 점을 강조하며, ROI 정당화 부족, 데이터 품질 문제, 개념증명(PoC) 함정, 지속적 관리 부재 등을 AI 프로젝트의 실패 원인으로 꼽았다. 특히 “AI 프로젝트는 한 번 구축하고 끝나는 것이 아니라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업데이트가 필요하다"며 "AI 프로젝트의 성공은 기술 자체보다는 사람과의 프로세스를 통해 달성된다"고 말했다. 이어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체계적인 방법론으로 CPMAI를 소개했다. 


CPMAI는 AI 및 머신러닝 프로젝트의 성공적인 관리를 위해 PMI가 개발한 인증 프로그램으로, 비즈니스 이해부터 모델 운영화까지 6단계로 구성된 순환형 AI 전용 방법론이다. 캐슬린 왈치 디렉터는 "크게 생각하고, 작게 시작하고, 자주 반복하라"는 핵심 철학을 소개하면서, 기존 애자일이나 CRISP-DM과 달리 데이터를 중심으로 각 단계를 연결해 AI 프로젝트를 처음부터 끝까지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덧붙여 그는 "AI 프로젝트의 80%가 데이터 엔지니어링 작업"이라며 데이터 확보, 정제, 라벨링 등의 사전 작업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PoC 단계에 머무르지 않고 실제 운영 환경에서 파일럿을 통해 검증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날 참석자들은 "AI 프로젝트의 특성을 반영한 체계적인 접근 방식이 매우 유익했다"며 AI 프로젝트 관리의 새로운 패러다임에 대해 높은 관심을 보였다. 강연 종료 후에는 CPMAI 방법론의 실무 적용 방안을 둘러싸고 활발한 토론이 이어졌다. 


김정수 PMI 한국챕터 회장은 "AI 시대에 맞는 프로젝트 관리 역량 향상은 업계 전반의 주요 관심사"라며 "이번 오픈 이벤트를 통해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검증된 방법론을 접할 수 있어 매우 의미 있는 시간이었다"고 평가했다. 


강소현 PMI 아시아 태평양 지사장은 "이번 이벤트는 PMI가 한국에서 AI 프로젝트 관리 역량을 더욱 체계적으로 지원하는 중요한 계기"라며 "지속적인 교육과 커뮤니티 활동을 통해 한국이 글로벌 AI 프로젝트 관리를 선도하는 국가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 블루프레임(https://www.blueframe.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 , , , , , , , , , , , , ,

0 Comments
많이 본 뉴스
인기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