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산업 AI 도입 가속화, 엔비디아 AI 서밋 재팬 글로벌 컨설팅 리더들과 일본에 혁신 센터 설립

홈 > 최신뉴스 > 주요뉴스
주요뉴스

IT | 일본 산업 AI 도입 가속화, 엔비디아 AI 서밋 재팬 글로벌 컨설팅 리더들과 일본에 혁신 센터 설립

권경욱 기자 0   0

엔비디아(www.nvidia.co.kr)가 엔비디아 AI 서밋 재팬(NVIDIA AI Summit Japan)에서 세계적인 컨설팅 기업들과 협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엔비디아는 글로벌 컨설팅 리더들과 일본에 혁신 센터를 설립하고, 일본 산업 환경 전반에 걸쳐 엔터프라이즈 AI와 피지컬 AI 도입을 가속화하려는 목표를 실현하고 있다. 


여기에는 액센츄어(Accenture), 딜로이트(Deloitte), EY(EY Strategy and Consulting Co., Ltd., 이하 EY 재팬), FPT, 킨드릴(Kyndryl), 타타 컨설턴시 서비스 재팬(Tata Consultancy Services Japan, 이하 TCS 재팬) 등이 있다. 


센터는 엔비디아 AI 엔터프라이즈(AI Enterprise) 소프트웨어, 로컬 언어 모델, 엔비디아 NIM 마이크로 서비스를 사용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일본 내 고객들이 각 산업별 요구사항에 맞는 AI 에이전트 개발과 배포를 가속화하고, 디지털 인력을 활용해 생산성을 높일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일본 기업들은 엔비디아 옴니버스(Omniverse) 플랫폼을 활용해 디지털 트윈을 개발하고 복잡한 피지컬 AI(physical AI) 시스템을 시뮬레이션해 제조, 로보틱스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을 주도할 수 있다. 


일본은 많은 국가들과 마찬가지로 복잡한 사회적, 인구학적 문제를 겪고 있으며, 특히 고령층의 은퇴로 인한 노동력 부족이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일본은 제조업과 로보틱스에서의 리더십을 바탕으로 AI를 활용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기회를 찾고 있다. 


지난 4월, 일본 정부는 “세계에서 가장 AI 친화적인 국가”가 되겠다는 목표를 담은 보고서를 발표했으며, IDC는 올해 일본 AI 시스템 시장이 전년 대비 31.2% 성장해 약 59억 달러에 달했다고 보고했다. 이는 일본 내 AI 도입이 강력하고 빠르게 진행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컨설팅 대기업의 이니셔티브와 활동은 다음과 같다. 


l  액센츄어는 액센츄어 엔비디아 비즈니스 그룹(Business Group)을 설립하고, 일본어 거대 언어 모델(large language model, LLM)을 통합한 솔루션과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이는 일본 전용으로 엔비디아 NIM과 엔비디아 네모(NeMo)를 사용한다. 아울러 액센츄어는 액센츄어 AI 리파이너리(AI Refinery) 기반의 에이전틱 AI 솔루션을 일본 전 산업에 배포해 고객을 위한 종합적인 기업 혁신을 가속화할 것이다. 액센츄어는 향후 액센츄어 이노베이션 허브 도쿄(Innovation Hub Tokyo)에서 엔비디아 AI 엔터프라이즈와 옴니버스를 활용한 새로운 서비스를 구축할 계획이다.


l  딜로이트는 도쿄에 AI 익스피리언스 센터(AI Experience Center)를 설립한다. 이 센터는 엔비디아 기술을 기반으로 한 생성형 AI 솔루션을 소개하는 임원 브리핑 센터로 활용된다. 센터는 지난 6월에 발표된 딜로이트 재팬 엔비디아 프랙티스(Deloitte Japan NVIDIA Practice)를 기반으로 하며, 고객들이 AI가 어떻게 기업 운영을 혁신할 수 있는지 직접 체험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센터는 일본 기업들이 에이전틱 AI를 효과적으로 도입할 수 있도록 엔비디아 AI와 옴니버스 블루프린트(Blueprint)를 제공할 예정이다.


l  EY 재팬은 일본에서 금융, 소매, 미디어, 제조 등 여러 산업에 걸쳐 다양한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X) 솔루션을 개발하고 있다. 새로운 EY 재팬 DX 솔루션은 엔비디아 AI 엔터프라이즈를 기반으로 구축될 예정이다. 이를 통해 디지털 트윈, 3D 애플리케이션, 멀티모달 AI, 생성형 AI에 대한 일본의 증가하는 수요를 충족할 계획이다.


l  FPT는 엔비디아 호퍼(Hopper) GPU와 엔비디아 AI 엔터프라이즈 소프트웨어와 함께 FPT AI 팩토리(AI Factory)를 일본에 출시한다. 이를 통해 안전한 소버린 환경에서 비즈니스 데이터를 사용해 일본의 AI 혁신을 지원한다. FPT는 사올라(Saola)라는 이름의 다국어 LLM을 포함한 생성형 AI 모델 구축, 사전 훈련, 미세 조정을 위해 엔비디아 네모 프레임워크와 FPT AI 스튜디오(AI Studio)를 통합하고 있다. FPT는 2026년까지 일본 내에서 1,000명 이상, 전 세계적으로는 7,000명 이상의 소프트웨어 엔지니어와 컨설턴트를 훈련할 계획이다.


l  IT 인프라 서비스 제공업체 킨드릴은 일본에서 전용 AI 프라이빗 클라우드를 출시했다. 엔비디아와 델 테크놀로지스(Dell Technologies)의 협업으로 구축된 새로운 AI 프라이빗 클라우드는 고객이 AI를 개발, 테스트, 구현할 수 있는 안전하고 통제된 소버린 환경을 제공한다. 이는 엔비디아 가속 컴퓨팅과 네트워킹, 엔비디아 AI 엔터프라이즈 소프트웨어를 포함한 엔드투엔드 엔비디아 AI 플랫폼을 통해 가능하다.


l  TCS 재팬은 자동차와 제조 산업을 대상으로 전체 엔비디아 AI 스택을 기반으로 한 TCS 글로벌 AI 솔루션을 제공할 예정이다. 이러한 솔루션은 도쿄에 위치한 TCS 재팬의 아자부다이(Azabudai) 사무소 쇼케이스 센터에서 호스팅된다. 


도쿄와 간사이 대도시 지역에 위치한 이 새로운 컨설팅 센터들은 엔비디아의 최신 기술과 전문가의 가이드를 직접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AI 혁신을 가속화하고 복잡한 사회 문제를 해결하며, 일본의 경제 성장을 지원할 것이다. 


여기에서 엔비디아 창립자 겸 CEO인 젠슨 황(Jensen Huang)과 함께한 엔비디아 AI 서밋 재팬 좌담회를 확인할 수 있다.

 

ⓒ 블루프레임(https://www.blueframe.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 , , , , , , ,

0 Comments
많이 본 뉴스
인기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