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세대 QD-OLED 4K 게이밍 모니터, ASUS ROG SWIFT OLED PG32UCDM

홈 > 기획·특집 > 리뷰
리뷰

디스플레이 | 3세대 QD-OLED 4K 게이밍 모니터, ASUS ROG SWIFT OLED PG32UCDM

권경욱 기자 0   0

최신 게이밍 모니터는 평면과 곡률(커브드), 패널도 백라이트가 필요한 LCD에서 자체 발광하는 OLED, 퀀텀닷 물질과 OLED의 하이브리드 구조의 퀀텀닷 OLED(QD-OLED)의 성장으로 게이밍 시장은 이전보다 다양한 패널과 성능, 해상도, 최신 기술이 적용되면서 게이머들은 선택의 폭이 확장됐다. 


이와 함께 120Hz 이상의 고주사율은 물론 화면의 찢어짐과 고스팅 현상 등의 개선을 위한 엔비디아(NVIDA) 지싱크(G-Sync), AMD 프리싱크(FreeSync), 베사(VESA) 어댑티브 싱크(Adaptive Sync)와 같은 다양한 동기화(Sync) 기술, 인공지능(AI) 기반 게이밍 기술, TN은 물론 IPS/ VA와 같은 광시야각 패널 등 다양한 패널의 등장으로 색상 정확도는 물론 색 재현률이 향상되어 일반 및 게이머, 준전문가도 사용이 가능해졌다.


해상도 측면에서 게이밍 모니터는 풀HD(1920x1080)에서 QHD(2560x144) 해상도로의 전환이 이어지고 있으며 QHD 게이밍 모니터의 수요 증가와 최신 기술이 더해지면서 메인스트림 시장의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4K UHD(3840x2160) 해상도 게이밍 모니터는 그래픽카드 성능 한계 등으로 아직은 이르지만 갈수록 고성능화되는 그래피카드의 등장이 이어지고 게이밍 시장의 성장에 힘입어 지속적인 성장 중에 있다.



thumb-1d8998c9e999d749b6160ac7081b51b9_D04M8AjT_12cc5591eeb1dfc9fcaacbc65590d6dbfd5fa3fe_600x450.jpg

3세대 QD-OLED 4K 게이밍 모니터, ASUS ROG Swift OLED PG32UCDM


thumb-1d8998c9e999d749b6160ac7081b51b9_Axpk9mb4_ec99822b3e3a51b0a3cfef91fc147e339ffb7ff0_600x416.jpg


e스포츠 시장 역시 게이밍 모니터 성장을 이끌고 있으며 모니터의 다양한 변화와 시장의 확장, 게이밍에서 필수인 고주사율 경쟁에 이어 인공지능(AI) 시대에 맞춰 AI를 기반으로 하는 최신 기술의 시도를 통해 보다 경쟁력 높은 게이밍 모니터가 시장에 등장하고 있다.


에이수스(ASUS) ROG Swift OLED PG32UCDM은 3세대 퀀텀닷 OLED(QD-OLED), 240Hz의 높은 주사율과 0.03ms(GTG)의 빠른 응답속도, 4K UHD(2160p)해상도, AI 기반 게이밍 기술, 부드럽고 끊김없는 게임 환경을 위한 다양한 동기화(Sync) 기술 등을 더한 만큼 이 제품을 통해 에이수스가 지향하는 게이밍 모니터의 방향성을 살펴보도록 하자.



thumb-1d8998c9e999d749b6160ac7081b51b9_IEcpeLRH_4420488d864c0736817b90028d0fe761ab74a85a_600x492.jpg


ASUS ROG Swift OLED PG32UCDM은 ROG Swift 라인업으로 게이머를 위한 특유의 ROG 로고와 디자인으로 게이밍 모니터임을 알리고 있다. 게이밍 모니터를 표방하는 만큼 일부 에이수스 모니터가 컬러를 없애는 대신 친환경을 고려한 것과 다르게 컬러를 더한 게이밍 모니터 컨셉의 박스 디자인을 적용했다. 물론 박스와 내부 완충재는 친환경을 고려한 종이 재질이다. 모니터 박스 양쪽 측면은 240Hz 주사율과 주요 스펙과 모델명, 제품 사이즈, 3년 품질 보증 지원 등의 내용을 확인 가능하다. 박스 크기는 (W x H x D) 86.8 x 51.4 x 23.8cm다.



1d8998c9e999d749b6160ac7081b51b9_vO4VUiPM_16293836e0c82c84ec12017c11d4c42dfc174746.gif


모니터 크기는 32인치(32형)이며 퀀텀닷 OLED(QD-OLED) 패널 상단과 좌우 베젤을 슬림하게 구성한 제로 베젤 구조로 모니터나 TV의 전체 크기를 더 작게 만들어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사용된 QD-LED 패널은 안티 글래어와 눈부심 방지를 제공하지 않으나 글래어 패널보다는 적으나 사물이 반사되어 보인다.


디스플레이 보기 영역(HxV)은 699.48 x 394.73mm, 스탠드 포함 전체 크기는 가로 x 세로 x 깊이(718 x 579 x 274)mm이며 무게는 8.8kg(스탠드 제외 6.0kg)이며 총 중량은 15.2kg이다. 소비전력은 42W, 대기전력(모니터를 일정 시간 사용하지 않을 때 슬립모드로 전환되어 화면이 꺼진 상태에서 소모되는 전력)은 0.5W, 전원 끄기 모드 0.3W 이하다.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된 모니터 스탠드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엘리베이션(Elevation, 높낮이), 각도를 상하로 조절할 수 있는 틸트(Tilt, 상하), 좌우로 회전할 수 있는 스위블(Swivel, 좌우)을 지원한다. 기울기는(+20° ~ -5°), 회전(+5° ~ -15°), 높이 조정(0~80mm), 스탠드 포함 크기(W x H x D)는 71.8 x 57.9 x 27.4cm이며 스탠드 제외 크기(W x H x D)는 71.8 x 43.0 x 7.4cm다.



thumb-1d8998c9e999d749b6160ac7081b51b9_qWtsnuKD_24ef7fc16e224d12e7bb511bdb0deaa0c4147e07_600x342.jpg


1d8998c9e999d749b6160ac7081b51b9_GkOqCe3X_f62032dfbeeaf425467dc699f353fb6d83441564.gif

ASUS DisplayWidget Center, 설치 후 게이밍 관련 옵션 활성화


thumb-1d8998c9e999d749b6160ac7081b51b9_I5gRdQGk_4a4f56dcf4bcbf3ee33b1a9bf3ef776c3025b115_600x343.jpg


ASUS ROG Swift OLED PG32UCDM은 직관적인 디스플레이위젯 센터(DisplayWidget Center) 앱을 설치해 모니터 OSD 메뉴 대신 마우스로 모니터 설정을 쉽게 조정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디스플레이 위젯 센터는 모니터의 물리 버튼이 없이도 윈도우 운영체제(OS)에서 설정 가능해 편리하다. OSD 메뉴는 게이밍을 위한 AI 기반 게임 플러스(GamePlus)와 게임 비주얼(Game Visual), 쉐도우 부스트(Shadow Boost) 등 주요 기능 외에도 출력 포트나 다양한 설정이 포함된다.



thumb-1d8998c9e999d749b6160ac7081b51b9_NX2kgp8T_bfbc9edde40d47d1a97fe86cfc9c8f856e5161d2_600x450.jpg


thumb-1d8998c9e999d749b6160ac7081b51b9_vh52PaOI_215aa12f301cb63700fdf6b9f812e44ec2cd1f55_600x338.jpg


모니터 후면 중간에는 설정을 위한 내비(NAVI)와 전원 온오프, 기능 설정 버튼이 배치되었으며 뒤에서 우측 상단 ROG 로고는 모니터를 켰을 때 RGB LED가 동작하며 Aura Sync를 지원해 동기화한다. 출력 포트 중간에는 켄싱턴 락(K)을 위한 홈이 배치됐다.



thumb-1d8998c9e999d749b6160ac7081b51b9_bJDAj8Tr_cae7954cd1b94b668e9964fb6b03975fbf9dc1bb_600x322.jpg


thumb-1d8998c9e999d749b6160ac7081b51b9_TomkWhzd_bdfa44d64dd471f151e51a9c6e6534b1799e6dc1_600x450.jpg


모니터 후면은 모니터 스탠드 연결 홈이 있다. 여기에는 모니터 스탠드를 결착할 수 있지만 4개의 베사(VESA) 호환 마운트 홀을 제공하는 별도의 어댑터도 이용 가능하다. 모니터 스탠드 또는 거치대, 벽걸이, 모니터 암 등을 설치 가능하며 베사 홀은 100 x 100mm다.



thumb-1d8998c9e999d749b6160ac7081b51b9_mDalgsJc_8f0ebfb6e39766619d92dd9494e9c2931d27f6f8_600x400.jpg 


모니터 스탠드 하단 중앙의 비어 있는 부분은 케이블 정리에 사용 가능하다.  DP(DiplayPort)와 HDMI, USB-C, 전원 케이블 등 여러 가지 케이블을 설치할 때 정리를 용이하게 해준다.



thumb-1d8998c9e999d749b6160ac7081b51b9_q3wZcO9Y_620944cffa3df690dd89061bdb18687a536b3c3d_600x450.jpg 


모니터 패널 뒷면은 PC와 노트북 및 게임 콘솔과 연결할 수 있는 HDMI 2.1(HDCP 2.1) 2개 및 DisplayPort 1.4(DP 1.4), USB Type-C(USB-C), USB 허브 USB 3.2 Gen 1 타입-A 3포트, 이어폰잭, SPDIF 출력(광학 디지털 오디오 출력)등을 제공한다. USB-C 포트는 DP Alt 모드 및 USB 3.2와 최대 90W PD(Power Delivery) 충전을 지원해 노트북이나 스마트폰 및 태블릿 등을 이용 가능하다. 전원 연결 커넥터는 출력포트 좌측에 위치하며 KVM 스위치 내장으로 다양한 기기의 출력과 확장에 유리하다.



thumb-1d8998c9e999d749b6160ac7081b51b9_CTPNWGkx_5d4ecbec9f7f940ff133408fa0adeabaf4efe75e_600x450.jpg


에이수스는 PG32UCDM 전원 공급을 위해 100-240V/ 50-60Hz 프리볼트 지원 280W(20.0V/ 14.0A) 용량의 AC/DC 어댑터를 제공한다. 32인치 크기와 4K 해상도 지원 등 최신 기술을 탑재한 만큼 소비전력의 증가에 대응한다.



thumb-1d8998c9e999d749b6160ac7081b51b9_zts4buwq_6f06d2fc3962430e24a9f82a9eb82b1f7a32dc15_600x450.jpg


thumb-1d8998c9e999d749b6160ac7081b51b9_5KoQSmjO_5a3b401ba8ae21fab2d0a2dfe28d85de7668f922_600x400.jpg


부속물은 모니터 스탠드와 바닥 거치대, 빠른 시작 가이드, 보증 카드, ROG(Republic Of Gamers) 스티커, 파우치로 구성된다. 파우치에는 디스플레이포트(DP) 및 HDMI 케이블, 전원 코드는 유럽 및 한국형이 동봉되며 국내 출시 제품은 국내에 맞는 전원 코드가 제공된다.



4K 해상도와 240Hz 및 3세대 퀀텀닷 OLED 등 게이밍을 위한 최신 기술 탑재



thumb-1d8998c9e999d749b6160ac7081b51b9_wTQjsvMV_3a91f5ef521c6499ad58956bc6f3970f470b820d_600x450.jpg


thumb-1d8998c9e999d749b6160ac7081b51b9_XdCjnkSZ_c33ff056cb4c8d54c454eb830326f6c3ee991384_600x450.jpg


ASUS ROG Swift OLED PG32UCDM은 32인치 퀀텀닷 OLED(QD-OLED) 패널, 4K UHD(3840x2160) 해상도, 240Hz 주사율, 0.03ms(GTG, Gray-to-Gray)의 빠른 응답속도로 화면의 액션에 즉각적으로 반응하며 응답 시간 지연과 모션 블러를 줄여 부드럽고 반응성이 뛰어난 게임 플레이에 적합하다. 1인칭 슈팅 게임과 레이싱 게임, 실시간 전략 게임과 같이 빠르게 진행되는 타이틀에서 게임의 몰입감을 높일 수 있다. 또한 OSD를 통해 컬러 캘리브레이션 레포트를 확인 가능하며 각 조정된 값들을 확인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높낮이와 상하 및 좌우 등 조절이 가능해 웹 서핑을 하거나 영상 감상, 모니터 확장을 이용한 주식이나 게이밍, 영상 편집 및 렌더링 등 컨텐츠 제작 등 분야에서 활용 가능하다.



thumb-1d8998c9e999d749b6160ac7081b51b9_7MvfLwps_07e749f42c6070c3170aa39846baf814ca240dae_600x344.jpg 


thumb-1d8998c9e999d749b6160ac7081b51b9_1tB5sXFO_f2efa89420ef0e0407c2c85ee2c93f5b73a45949_600x335.jpg 

로우 블루라이트 : 꺼짐(상단)과 레벨 4 단계(하단)


모니터에서 내보내는 빛은 눈의 피로감을 느끼게 만들며 이를 줄이기 위해 로우 블루라이트(Low Blue Light) 기술을 도입하고 있다. 모니터는 화면의 지속적인 깜빡임(플리커 현상)과 청색광(블루라이트) 등으로 눈의 피로감과 더 나아가 눈의 이상과 병을 일으킬 수 있어 장시간 모니터를 바라보는 직업은 이를 주의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화면 깜빡임과 눈을 피로하게 만드는 청색광을 줄이는 기술이 로우 블루라이트다. 에이수스는 OSD를 통해 로우 블루라이트(Low Blue Light)를 지원한다. 하드웨어 솔루션(Hardware Solution)으로 꺼짐부터 레벨 1 - 레벨 4의 단계 설정, 단계가 높아질수록 깜박임과 청색 파장을 줄일 수 있으며 플리커 프리도 지원한다.



thumb-1d8998c9e999d749b6160ac7081b51b9_3gqZRwn9_92f54b2d4d720545c071392d00dda15905383172_600x359.jpg


ASUS OLED 케어(ASUS OLED CARE) 기능으로 그래핀 필름(GRAPHENE FILM)을 적용했다. 그래핀은 세상에서 가장 얇고 강한 나노물질로 열전도율이 높아 열을 효과적으로 발산하는데 효과적이며 QD-OLED 패널 뒤의 그래핀 필름은 작동 온도를 낮추는데 도움이 된다.



thumb-1d8998c9e999d749b6160ac7081b51b9_rAb5P847_ede0e9392c6117cdcfe8c801e1d4c0a4f73a4ff3_600x310.jpg 

3세대 QD-OLED 기술, ASUS ROG SWIFT OLED PG32UDCM


ASUS ROG SWIFT OLED PG32UDCM는 3세대 QD-OLED 기술을 적용했다고 밝혔다. 최신 QD-OLED 패널은 더 명확하고 상세한 시각적 요소와 또렷한 텍스트를 제공하며 고유한 하위 픽셀 레이아웃을 활용해 시청 경험을 업그레이드 한다. 또 HDR10 및 돌비 비전(Dolby Vision)을 포함한 HDR 형식을 지원해 향상된 밝기와 색상 및 대비를 제공한다. OSD 메뉴에서 켜거나 끌 수 있으며 돌비 비전 펌웨는 곧 출시 예정이다. 돌비 비전 HDR(Dolby Vision HDR) 지원은 2024년 상반기 준비 예정으로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소개됐다.



thumb-1d8998c9e999d749b6160ac7081b51b9_JWknXw0C_32e8dd4e42fefdcc409efaf3cb4f4553d9af31fe_600x400.jpg

IPS LCD(좌)/ ASUS ROG SWIFT OLED PG32UDCM QD-OLED(우)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는 액정 디스플레이의 약자로 평면 패널 디스플레이 기술을 말한다. TV와 컴퓨터 모니터는 물론 노트북과 태블릿 및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 등에 사용된다. 과거 부피가 큰 CRT(Cathode Ray Tube)가 주류였다면 LCD에서 스스로 발광하는 유기 발광체 다이오드의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고급형 TV와 휴대폰은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퀀텀닷(QD, Quantum Dot) 기술이 최신 TV 및 고성능 디스플레이에 탑재되는 추세다. OLED는 스스로 발광해 LCD에 존재하는 백라이트와 액정층, 컬러 필터가 존재하지 않으며 액정층이 없어 넓은 시야각과 빠른 반응 속도가 특징이다. 


퀀텀닷은 인듐 및 카드뮴 등 무기물로 자체적으로 빛을 내는 나노미터 이하의 입자다. 재료를 교체하지 않고 입자 크기를 조절하는 것으로 원하는 색을 얻을 수 있으며 양자구속 효과에 따라 입자 크기가 작을 수록 즉 파장이 짧을수록 청색 빛, 입자가 클수록 즉 파장이 길수록 적색 빛을 낸다. 퀀텀닷은 QLED (Quantum dot Light Emitting Diodes)가 등장하고 QD-OLED(Quantum Dot OLED)가 이어서 등장했다.


QLED는 LED가 아닌 LCD에 가까운 구조로 LCD 컬러 필터에 퀀텀닷(QD)을 사용한 진화한 LCD다. QD-LED는 퀀텀닷 소자로 이루어진 RGB 서브픽셀 자체가 고유의 빛을 내는 것으로 자체 발광한다는 점에서 OLED와 유사하며 디스플레이 구조도 OLED와 흡사하나 발광물질이 유기물에서 무기물로 교체한 것이 차이다. OLED의 유기재료는 공기와 수분에 취약한 반면 무기재료 퀀텀닷은 공기와 수분에 강하고 제조과정 및 수명에서 유리하다.


QD-OLED(Quantum Dot OLED)는 퀀텀닷과 OLED 기술을 결합한 하이브리드 방식이다. LCD에 존재하는 백라이트(BackLight)가 사라지고 OLED에서 광원으로 활용되는 RGB(적, 녹, 청) 세 개의 OLED 소자 자리에 청색 소자만 존재, 그 위에 RG(적, 녹) 퀀텀닷 컬러 필터를 배치해 세가지 색을 구현한다. 청색광이 적색과 녹색 퀀텀닷(QD) 입자 수십억 개와 섞여 순백색의 빛도 구현 가능하다. 컬러 필터를 여전히 사용해 LCD와 흡사하나 액정이 없고 백라이트 대신 OLED 블루 컬러를 사용한다는 점에서 OLED와도 비슷하다.



thumb-1d8998c9e999d749b6160ac7081b51b9_0I47j8DS_034ed0686545a2e799bb6034444d3ebf158a6ab0_600x344.jpg


thumb-1d8998c9e999d749b6160ac7081b51b9_bMBSLw3o_42b11bf26655b2b57b1d66edcd17aead5a9ccbfd_600x338.jpg 


thumb-1d8998c9e999d749b6160ac7081b51b9_By0mixsa_9ba312c1719715493eb3cba03f472e18d3681866_600x338.jpg

ROG Swift OLED PG32UCDM 모니터 테스트, 모니터 불량화소 테스트 사이트(monitor.co.kr) 이용


에이수스는 엄격한 품질 관리 테스트를 거쳐 색상 정확도와 성능을 보장하며 컬러 캘리브레이션 레포트에 이를 반영한다. 영화 표준 색 공간(DCI-P3) 99% 및 향상된 색재현율로 더욱 다양하고 생생한 색상과 공장 검사를 거쳐 몰입감 높고 시각적 경험을 제공한다. 32인치(Inch)와 16:9 종횡비, 픽셀 피치 0.182mm, 디스플레이 색상은 1073.7M(10bit), 디스플레이 패널 표면은 글래어 패널 또는 논 글래어 패널을 적용하는데 글레어 패널은 빛이 반사가 안되어 눈이 편안하고 자극이 덜하다. 대신 글레어에 비해 덜 선명하고 색감이 좀 떨어진다. PG32UCDM은 안티 글래어와 눈부심을 방지하며 사물이 일부 비치며 일반 밝기는 450cd/㎡, 밝기(100% APL): 250cd/㎡, 명암비(일반): 1.500,000:1이다.


퀀텀닷 OLED(QD-OLED) 패널은 시야각(Viewing Angle, CR≧10) 상하와 좌우 178°/ 178°를 지원한다. 정면이나 하단, 아래에서 위로 올려다보고 웹 서핑과 문서 작업 외에도 영화 시청 등 큰 불편함 없는 화면을 제공한다. 중앙과 상하, 좌우 화면의 가독성은 양호하고 생생한 색상을 제공하며 빛샘은 양호하다. 응답속도는 0.03ms(GTG)의 빠른 속도로 잔상없이 보다 자연스러운 화면을 표현한다.



1d8998c9e999d749b6160ac7081b51b9_X8M2UDNo_6ff2db1dd71933e1a1e5aab5244af393ed1e6d45.gif


PG32UCDM은 VESA 인증 DisplayHDR 400 True Black과 넓은 DCI-P3 영역으로 향상된 HDR 이미지와 색상 성능을 제공한다. HDR 10 지원과 밝기는 최대 (HDR) 400cd/㎡다. HDR(High Dynamic Range, 높은 동적 범위)은 가장 밝은 곳과 가장 어두운 곳까지 눈으로 보는 것과 최대한 가깝게 밝기의 범위를 확장하는 기술이다. 윈도우 자체에서 제공 HDR 데모 화면에서 확인 가능하며 게임에서도 HDR을 설정하고 이용할 수 있다.



thumb-1d8998c9e999d749b6160ac7081b51b9_PyLJAn8Z_e37d27319d46ae4783ade85e4ca5c9e3719bec63_600x408.jpg

ROG Swift OLED PG32UCDM, 지싱크와 프리싱크 프리미엄 프로 호환 및 VRR과 ELMB 지원


PG32UCDM은 게임특화 기술로 게임모드와 블랙 이퀄라이저, 프리싱크(FreeSync)/ 프리싱크 프리미엄(FreeSync Premium)/ 프리싱크 프리미엄 프로(FreeSync Premium Pro)/ 지싱크 호환(G-Sync compatible)/ 어댑티브 싱크(Adaptive Sync), 가변재생빈도(VRR, Variable Refresh Rate) 등 거의 대부분의 동기화(Sync) 기술을 지원한다.


최신 게이밍 모니터는 화면을 부드럽고 끊김없이 재생하기 위해 동기화(Sync) 기술을 지원한다. 수직 동기화(Vertical Synchronization : V-sync, VSync)는 게임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프레임 속도를 모니터 재생률과 동기화해 안정성을 높이며 동기화되지 않으면 화면 전체의 이미지가 가로로 끊기거나 중복되는 화면 찢김 현상이 발생한다. 화면 잘림 현상이나 고스트 현상을 줄이는 기술이 엔비디아(NVIDIA) 지싱크(G-Sync)와 AMD 프리싱크(Free Sync), 인텔이 도입한 베사(VESA)의 적응형 싱크(Adaptive Sync, 어댑티브 싱크) 등이다. 가변재생빈도(VRR, Variable Refresh Rate) 역시 빠른 움직임으로 화면의 찢어짐 현상 등의 발생을 줄여주는 기술로 게임 프레임 속도(FPS)를 모니터 새로 고침 속도(Hz)와 동기화하는 기술이다. VRR은 브이싱크(VSync)와 유사하나 브이싱크가 프레임 속도 출력을 PC가 더 높은 FPS를 지원할 수 있더라도 모니터의 프레임 속도로 제한하는 반면 VRR은 네이티브 주사율보다 낮거나 동일할 때 모니터 새로 고침 빈도를 프레임 속도와 동적으로 동기화한다.



thumb-1d8998c9e999d749b6160ac7081b51b9_8eGj6YoU_bf25aa2dea76a25f8df2ab4a3c1c68d7c1aa9121_600x319.jpg

ROG Swift OLED PG32UCDM, ELMB(Extreme Low Motion Blur) 지원


PG32UCDM은 지싱크 및 프리싱크 호환, VRR(가변 새로 고침 빈도)을 활성화해 부드럽고 동기화된 시각적 효과를 제공한다. 여기에 동적 및 고정 재생률을 지원하는 ELMB(Extreme Low Motion Blur)를 지원한다. ELMB는 시선 추적 모션 블러를 완화할 수 있도록 개발되었으며 백라이트 스트로빙 기술의 한 형태로 리프레시 사이에 모니터의 백라이트를 꺼 디스플레이의 블러를 제거하고 85Hz와 100Hz, 120Hz 등 고정 주사율에서만 사용 가능하다. ASUS 독점의 ELMB/ ELMB-Sync는 게임의 선명한 영상과 높은 프레임 속도를 위해 잔상과 잘림 현상을 제거해준다. LED 백라이트 패널의 빠른 스트로브를 통해 적용한 동기화 효과인 만큼 모션 블러 문제는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지만 화면 전체 밝기는 크게 감소해 상황에 따라 적용 유무를 판단해 사용해야 한다.



thumb-1d8998c9e999d749b6160ac7081b51b9_32bEgvnG_7e7f7f6a15bf9df66116f949f76935e4945d849d_600x288.jpg


1d8998c9e999d749b6160ac7081b51b9_VeYdZuSB_a5504a4f18a2781b07bd65236c306076829319a8.gif


PG32UCDM은 다양한 동기화(Sync) 기술을 지원해 부드럽고 동기화된 시각적 효과를 제공하고 잔상과 잘림 현상 등을 개선해 보다 향상된 게이밍 환경을 만들어준다. 프리싱크 활성화로 프로펠러의 움직임은 부드럽고 잔상이 줄어 보다 안정적이다.


각 포트별 지원 주사율은 USB-C와 DisplayPort 1.4 포트는 510KHz ~ 501KHz(H) / 48Hz ~ 240Hz(V)이며 HDMI 2.0 포트는 30KHz ~ 255KHz(H) / 24Hz ~ 240Hz(V)이며 MS 윈도우 11(Windows 11) 디스플레이 정보에서 적용 가능한 주사율은 HDMI 2.1/ DP 1.4가 25/ 29.97/ 30/ 50/ 59.94/ 60/ 100/ 119.88/ 120/ 240Hz를 선택 가능하다. 다만 주사율 증가에 따라 화면 움직임은 향상되나 전력 소모는 증가할 수 있다.



thumb-1d8998c9e999d749b6160ac7081b51b9_JuXgGNC5_7f08b44a0ed7125ae3f6e1a2ed732d70b25615bf_600x346.jpg


thumb-1d8998c9e999d749b6160ac7081b51b9_Qg4YnD1s_8c44f7e8aaee67c33cec26d5e95693737757b062_600x345.jpg

16:9 종횡비 제어 : 24.5인치(e스포츠 모드)(상)와 27인치(하) 중 선택


PG32UCDM은 퀀텀닷 OLED(QD-OLED), 240Hz의 주사율과 0.03ms의 빠른 응답속도로 게임의 몰입감을 높여주며 게이밍 AI(Gaming AI) 기술로 향상된 시각 효과를 제공하며 16:9 화면은 종횡비 제어로 24.5인치(e스포츠 모드)와 27인치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thumb-1d8998c9e999d749b6160ac7081b51b9_vCyYeD45_c4a1104954543bca1310661d383fde5f0d30d0fa_600x338.jpg 


thumb-1d8998c9e999d749b6160ac7081b51b9_rI2a9jv7_1b22eb871745e2c4f71af9ea4309d8af321073a2_600x338.jpg 

ASUS PG32UCDM PIP(Picture In Picture)(상)/ PBP(Picture By Picture)(하)


PG32UCDM은 영상에 다른 입력 단자를 통해 입력된 영상을 출력하는 PIP(Picture In Picture), 하나의 모니터에 2개의 영상입력 단자에서 수신한 영상을 동시에 보여주는 PBP(Picture By Picture)를 이용해 활용 가능하다. PBP는 2개의 영상을 한 화면에 보여주는 것은 PIP와 유사하지만 동일한 비율로 나눠서 보여주는 차이가 있다.



thumb-1d8998c9e999d749b6160ac7081b51b9_Zyka6H7Q_ec2de3decddc866020b7d0568a3b5da09b0fdf2c_600x338.jpg

ASUS PG32UCDM FPS 카운터/ 타이머/ 맞춤 안내선 표시/ 스나이퍼


장면을 실시간을 분석하는 AI 기반 게임플러스(GamePlus) 기술은 프레임 변화 및 십자선, 스나이퍼, 블랙 이퀄라이저를 지원해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십자선은 동적 또는 점과 같은 고정 등도 가능해 필요에 따라 이용 가능하며 스나이퍼 모드는 조준선 주위를 확장해 FPS 게임 등에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맞춤 안내선 표시, 게임 화면의 프레임을 표시하는 FPS는 숫자, 숫자와 막대그래프 혼합, 타이머와 스톱워치도 제공해 게임에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1d8998c9e999d749b6160ac7081b51b9_ZtLfKTNi_36dc6ac46e7648ed4a4aeed5dc6c6f675216243a.gif


게이밍 모니터는 높은 모니터 주사율과 응답속도가 특징인데 에이수스(ASUS)는 여기에 AI 기반 게임플러스(GamePlus)와 다이내믹 쉐도우 부스터(Dynamic Shadow Boost) 기술, 그리고 게임 비주얼(Game Visual) 기능도 제공한다. 게임 비주얼은 풍경, 레이싱, 영화, RTS/ RPG, FPS, sRGB, MOBA, 나이트 비전, 사용자 모드 등 다양한 모드를 제공해 게임 환경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해 게임의 몰입도를 높일 수 있다.



1d8998c9e999d749b6160ac7081b51b9_WpaM3LKF_69afe8237a7b4098e17911e2ccd5250eea298a3b.gif 

다이내믹 쉐도우 부스터(Dynamic Shadow Boost) 기능은 밝은 영역을 과도하게 노출하지 않고 어두운 영역을 밝게 해주는 것으로 저조도 장면에서 유용하다. 꺼진 상태부터 자동으로 조정하는 동적 조정, 레벨 3, 레벨 2, 레벨 1 등을 선택할 수 있다. 레벨에 따른 차이가 있으며 동적 조정은 다른 레벨과 보다 뚜렷한 차이를 보여주며 HDR을 적용하는 것처럼 게임 화면의 밝은 부분과 어두운 부분을 적절하게 조화 가능해 보다 향상된 게이밍 환경을 구축할 수 있다. 



thumb-1d8998c9e999d749b6160ac7081b51b9_vpA21mZ0_201a85839cacfd647f2b1a627fc44235f93b19f8_600x450.jpg


thumb-1d8998c9e999d749b6160ac7081b51b9_PuwtLTgx_288041554a48b8fc008df51cdf0c506d51c2ce7b_600x341.jpg

ASUS PG32UCDM 모니터 발열(상)/ 280W 어댑터 발열(하)


PG32UCDM은 30분 이상 게임을 테스트 후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해 발열을 측정한 결과 모니터 중간이 가장 높은 40도, 280W 어댑터는 가장 높은 온도가 41.4도로 측정되었다. 퀀텀닷 OLED(QD-OLED) 패널은 퀀텀닷과 OLED 기술이 합쳐진 하이브리드 방식으로 LCD에 탑재하는 백라이트 대신 OLED 블루 컬러를 사용해 OLED와 유사한 특성을 제공하며 이를 통해 크게 높지 않은 안정적인 동작 온도를 제공한다.



3세대 퀀텀닷 OLED와 4K 해상도 등 최신 기술로 원활한 게이밍 시스템 구축


에이수스(ASUS) ROG Swift OLED PG32UCDM은 32인치 크기와 4K UHD 해상도를 지원하는 고해상도 게이밍 모니터로 최대 240Hz 및 0.03ms(GTG)의 빠른 응답속도, 3세대 퀀텀닷 OLED(QD-OLED) 패널로 향상된 비주얼과 게이밍 경험을 제공한다. 


게이밍 모니터에 탑재하는 AMD 프리싱크와 엔비디아 지싱크, 베사 어댑티브 싱크 등과 같은 각종 동기화(Sync) 기술은 물론 에이수스 독점 기술로 부드럽고 끊김없는 게임 환경을 위한 ELMB(Extreme Low Motion Blur), 게이밍 트렌드에 맞게 조준선과 화면 비율 조정, 프레임(FPS) 표시, 향상된 최적의 시각적 효과 등 지원, 인공지능(AI) 시대에 맞춰 AI 기술 도입으로 게이밍 모니터의 발전을 앞당기고 있다. 


여기에 PIP와 PBP로 다양한 모니터 화면 활용, 넓은 DCI-P3 영역과 HDR과 DisplayHDR 400 True Black 인증으로 향상된 이미지와 색상 성능을 보장해 게이밍 뿐만 아니라 컨텐츠 제작 등에도 활용 가능하다. 색상 영역을 보다 정교하고 세밀하게 적용하는 전문가용 모니터와는 차이가 있지만 제조사 보증의 컬러 캘리브레이션으로 일반 작업부터 게이밍, 보다 전문적인 영역에서 활용 가능하다.



thumb-1d8998c9e999d749b6160ac7081b51b9_Prf6wKvb_1db16ff748d1625b6ce05b4202bbe48dba0e0924_600x450.jpg

3세대 QD-LED와 각종 동가화 기술로 향상된 게이밍 시스템 구축


모니터의 크기가 점점 커지는 상황에서 PG32 UCDM은 전면 상단과 좌우 제로 베젤 도입으로 더 넓은 화면을 활용할 수 있으며 인체공학적 모니터 스탠드 디자인으로 설치 공간 활용성 향상, KVM 스위치로 보다 다양한 디스플레이 출력과 선택, HDMI 2.1과 DP 1.4 지원으로 240Hz 고주사율 활용, USB Typc-C(DP Alt 모드 및 PD 충전 지원) 포트로 최대 90W를 공급 가능해 노트북이나 모바일 기기 충전도 가능하다.


이처럼 ROG Swift OLED PG32UCDM은 QHD를 넘어 4K UHD 게이밍을 위한 준비는 물론 최신 인공지능(AI) 게이밍 기술 도입과 다양한 동기화(Sync) 기술, 많은 기기와 장치가 지원하는 범용 출력 포트는 다양한 활용을 지원한다.


또한 ELMB와 같이 에이수스만의 독점적인 게이밍 기술 등 최신 기술을 반영하고 에이수스만의 게이밍 기술이 더해지면서 ROG 브랜드가 가지는 가치를 극대화했다. 이를 통해 ROG 브랜드로 PC를 꾸미려는 게이머들에게는 새로운 선택지를 제시한다.

 

ⓒ 블루프레임(https://www.blueframe.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 , , , , , , , , , , , , ,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 Naver Tumblr Pinterest 신고
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