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XLINK, 사용자 수 1000만명 돌파… 블록체인 및 소셜파이 분야 역대급 이정표 달성

홈 > 최신뉴스 > 업계동향
업계동향

IT | UXLINK, 사용자 수 1000만명 돌파… 블록체인 및 소셜파이 분야 역대급 이정표 달성

권경욱 기자 0   0

UXLINK는 등록 사용자 수가 1000만 명을 돌파하며 블록체인과 소셜파이(SocialFi) 분야에서 선도적 입지를 공고히 했다고 밝혔다. 


이 기록은 UXLINK 웹사이트와 트위터를 통해 발표됐다. UXLINK는 동종 업계 최초로 사용자 수 1000만명을 달성했다. 이에 밥 응(Bob Ng) 최고기술책임자(CTO)는 UXLINK의 사용자 지표와 측정 기준에 대한 분석을 공유했다.


진정한 소셜 상호작용 촉진 위해 고유 지갑 주소보다 진정한 사용자 참여 강조


대부분의 블록체인 프로젝트가 고유 지갑 주소로 성공을 측정하는 것과 달리 UXLINK는 진정한 소셜 상호작용을 촉진하기 위해 ‘등록 사용자’를 우선시한다. 이러한 접근 방식을 통해 유효하지 않은 지갑 주소나 다중계정을 사용하는 시빌(sybil·다중계정) 지갑 주소의 만연과 진정한 사용자 연결 필요성이라는 두 가지 주요 문제에 대처할 수 있다. UXLINK의 등록은 초대 기반 등록, 인간 상호 작용 검증, 제품 사용이라는 3단계로 이뤄져 있다.


이렇게 등록된 사용자 수는 고유 지갑 주소 수보다 적다. 현재 UXLINK는 1500만 개의 지갑 주소에 연결된 1000만 명 이상의 등록 사용자를 보유하고 있다. 각 사용자는 여러 개의 지갑을 보유할 수 있으며, UXLINK는 웹2에서 웹3로 전환하는 사용자를 위해 MPC 지갑을 제공한다.


UXLINK는 시빌 계정과 유효하지 않은 지갑 주소를 거부함으로써 데이터 무결성을 유지하는 동시에 사용자 프라이버시를 존중한다. 사용자는 소셜 미디어 계정 없이도 지갑을 보유할 수 있으며, UXLINK는 이들이 최상의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보장한다. 소셜 상호작용을 통해 대중 보급을 촉진하는 것이 UXLINK의 사명이다.


UXLINK 생태계에서 UXUY 보유자와 미래 역학 이해하기


UXLINK는 커뮤니티 성장과 상호 작용을 촉진하는 고유한 작업 증명(POW) 점수 메커니즘에 역점을 둔 UXUY 보유자를 제시한다. UXUY는 양도가 불가능한 온체인(on-chain) POW 점수로 예치금이나 프리 민팅(pre-minting) 없이 투명한 커뮤니티 주도 채굴을 통해 생성된다.


UXUY 보유자가 되기 위해 사용자는 다음의 내용을 충족해야 한다.


1. UXLINK에 등록된 지갑 보유

2. 커뮤니티가 정의한 POW 활동에 기여

3. 온체인에서 UXUY 청구


현재 UXLINK에는 500만 명의 UXUY 보유자가 있으며, 이들은 모두 커뮤니티 기여자이자 잠재적 거버넌스 토큰 보유자다. UXLINK는 이 숫자가 계속 증가해 3000만 명을 돌파할 것으로 전망하며, 이 시점이 되면 UXUY 채굴이 중단돼 긍정적인 네트워크 효과를 촉진할 것으로 기대한다. 그러나 보유자가 UXUY를 대체 불가능한 토큰(NFT)이나 거버넌스 토큰 등의 다른 자산으로 교환할 경우 그 수는 감소할 수 있다.


이러한 이니셔티브는 투명하고 인센티브가 제공되는 상호작용을 통해 역동적이고 참여가 활성화된 커뮤니티를 형성하고 블록체인과 소셜파이 환경을 혁신하겠다는 UXLINK의 의지를 반영한 것이다.


UXLINK 보유자와 그 기준 이해하기


UXLINK는 커뮤니티 기여도, 온체인 상호작용, 지갑에 보유한 자산에 초점을 맞춰 토큰 보유자 기준을 정의했다.


· 토큰 공개 이벤트(TGE) 전 : TGE 전 UXUY 보유자들은 에어드랍 바우처 역할을 하는 NFT와 UXUY를 교환했다. 보유자는 NFT의 레벨과 수량에 따라 $UXLINK를 수령했다. 또한 ‘시빌 버닝(Sybil Buring)’ 프로세스를 통해 진위성을 확인해 NFT 보유자를 토큰 보유자와 동등화했다.

· TGE 이후 : TGE 이후에는 토큰을 구매하거나 커뮤니티에 기여한 이들을 포함해 모든 합법적 참여자를 보유자로 포함시켰다.

· 현재 보유자 통계 : UXLINK의 적격 보유자는 약 160만명이며, 이 숫자는 유동성 방출과 커뮤니티 기여에 따라 변동될 수 있다.


진정성 있는 질적 커뮤니티를 보장하기 위한 시빌 방지 조치 시행


UXLINK는 진정성 있는 커뮤니티를 유지하기 위해 3단계 전략을 사용한다.


1. 허위 지갑 주소를 식별하고 제외한다.

2. 비활성 계정에서 보상을 회수하고 재분배한다.

3. 회수된 리워드를 재투자하기 위해 TGE 전에 시빌 조치를 시행한다.


이러한 조치는 진정한 참여자를 식별해 보상을 제공하기 위한 투명하고 강력한 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하는 UXLINK의 의지를 보여주는 것이다.


텔레그램을 기반으로 한 소셜파이인 UXLINK와 텔레그램 게임파이 비교


소셜 플랫폼인 UXLINK와 텔레그램 게임파이(Telegram gamefi)는 공히 대중화를 목표로 하지만 사용자 참여와 온체인 지표에서 차이가 있다. 텔레그램 게임파이가 더 많은 사용자를 보유하고 있는 반면 UXLINK는 온체인 활동과 사용자 유지 면에서 압도적이다.


주요 차이점


1. 상호 작용의 깊이 : UXLINK의 활동은 텔레그램 게임파이의 단순한 탭투언(Tab-to-Earn) 모델에 비해 보다 깊이 있는 참여를 촉진한다.

2. 사용자 고착도(User Stickiness) : UXLINK는 실제 소셜 연결과 그룹 활동을 통해 사용자 유지율을 강화하고 있다.

3. 사용자 기반의 품질 : UXLINK의 엄격한 대형 투자자 방지(anti-whale) 조치는 양질의 사용자 기반을 보장한다.


UXLINK는 일일 및 월간 활성 사용자 수와 사용자 대비 보유자 비율에서 월등히 앞선다. 두 플랫폼 모두 웹2.0에서 웹3.0으로의 효과적 전환 사례로 꼽히고 있으며, UXLINK는 미래 협업 가능성을 열어놓고 있다.


밥 응 CTO는 “본질적으로 UXLINK의 목표는 친숙한 소셜 연결을 통해 신뢰를 구축하는 동시에 사용자를 위한 소셜 플랫폼이자 서비스 개발자를 위한 인프라 역할을 하는 것이다. 앞으로 생태계 파트너들과 협력해 자산 생성, 흐름, 배분을 위한 소셜화된 계층을 구축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사용자들은 복잡한 크로스체인 상호 작용 없이도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신뢰하고 이들을 안전하고 간편하게 활용할 수 있게 될 것이며, 이로써 자신의 소셜 자산을 통해 이익을 얻을 수 있게 될 것이다. 또한 개발자들이 프로토콜과 소셜 관계, 데이터를 최대한 활용하도록 뒷받침함으로써 이들이 모듈화된 제품과 인터페이스를 통해 개발 효율성과 성장 품질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고 UXLINK 플랫폼의 비전을 밝혔다. 

 

ⓒ 블루프레임(https://www.blueframe.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 , , , , , , , , ,

0 Comments
많이 본 뉴스
인기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