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층 버튼 찾는 데 30초..항균필름 '한 장'이 누군가에겐 '큰 벽'

홈 > 커뮤니티 > 자유게시판
자유게시판

3층 버튼 찾는 데 30초..항균필름 '한 장'이 누군가에겐 '큰 벽'

김진영 0   0
시각장애인 조은산씨(23)가 서울 관악구의 한 주상복합 건물 승강기에서 버튼을 찾고 있다. 코로나19 예방을 위해 각 건물 승강기에 붙은 ‘항균필름’ 때문에 시각장애인들은 점자 읽기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조해람 기자


“어휴 심각하네….” 시각장애인 조은산씨(23)가 서울 관악구의 한 주상복합 건물 승강기 열림버튼에 손을 대자마자 웃으며 말했다. 버튼에 두껍게 붙어 있는 ‘항균필름’ 때문이었다. “필름이 두껍고 사이에 공간이 떠 있어서 점자를 읽기가 힘드네요. 무의식적으로 ‘올라가는 버튼이겠거니’ 하며 누르기는 했지만, 감각 자체로 판단하기는 어려웠어요.”

시각장애인들이 승강기 이용에 고충을 겪고 있다. 코로나19 예방을 위해 승강기 버튼에 붙이는 항균필름 때문이다. 점자로 정보를 파악해야 하는 시각장애인들에게 항균필름은 ‘촉지(손가락을 대 점자를 읽는 것)’를 막는 장애물이다. 경향신문은 지난 21일 시각장애인인 조씨, 김영민씨(39)와 함께 전철역 한 곳과 고층빌딩 한 곳의 승강기를 이용해봤다. 남정한 실로암장애인자립생활센터 소장과 활동보조인 두 사람이 동행하며 이동을 도왔다.

■3층 찾는 데 30초…필름 한 장에 막힌 점자 읽기

서울 관악구 봉천역 지하 1층과 지하 2층을 잇는 내부 승강기. ‘내려감’ 버튼 위를 헤진 항균필름이 덮고 있다. 조씨와 김씨에게 지하 2층으로 이동해보길 부탁했다. 조씨는 20초 정도 손으로 판넬을 쓸다가 버튼을 찾았다. 10년 이상 점자를 익혀서 웬만한 점자는 “만지자마자 아는” 수준이지만, 이번에는 ‘감’으로 눌렀다. “오래 이용한 역이니 버튼 위치를 기억해 겨우 찾았어요. 이게 정말 내려감 버튼인지 점자로 판단하기는 힘들어요.” 김씨는 실수로 역무원 호출 버튼을 누르는 등 애를 먹었다. 김씨는 “위아래로 쓰다듬으며 버튼을 찾다가 잘못 눌렀다. 점자 자체가 작은데 항균필름까지 붙어 있으니 더 어렵다”고 말했다.

시각장애인들은 항균필름 너머로 점자가 있다는 것은 느껴지지만, 글자를 구분하기가 어렵다고 입을 모았다. 점 하나 차이인 ‘지하 1층’과 ‘지하 2층’을 구분하기가 힘들다. 김씨는 “지하철 승강기는 그나마 버튼이 적고 구조가 단순하지만, 고층 빌딩 같은 곳에선 정말 난감하다”고 말했다.

시각장애인들은 고층 빌딩에서 훨씬 어려움을 겪었다. 같은 날 서울 관악구의 20층 높이 주상복합 빌딩 승강기를 찾았다. 지하와 열림·닫힘 포함 23개 버튼이 세 줄로 늘어서 있었다. 두꺼운 항균필름이 그 위를 덮었다. 기자가 만져봐도 서로 다른 점자를 구분하기 어려웠다.

시각장애인 김영민씨(39)가 서울 관악구 한 주상복합 건물 승강기를 이용하고 있다. 조해람 기자


조씨는 3층 버튼을 찾는 데 30초가 넘게 소요됐다. 전체 판넬을 쓰다듬다가 13층과 3층을 계속 고민했다. 승강기를 너무 오래 잡아둬서 ‘삐 삐’ 경고음이 울렸다. 조씨는 “간단히 설명하자면, 점자 ‘3’ 앞에 점 하나가 더 있으면 ‘13’이 된다. ‘3’은 점자 2개로 표현되는데 점이 2개인지 3개인지도 헷갈렸다”며 “모양이나 개수를 한번에 알 수 없으니 당황했다”고 말했다. 항균필름의 상태에 따라서도 촉지 감각이 크게 달라진다. 김씨는 “굉장히 많은 사람이 눌러서 헤져 있었다. 관리라도 잘 돼 있었다면 나았을 텐데, 버튼의 종류라든가 기능을 순간적으로 혼동하게 됐다”고 말했다.

■정책 도입 전 ‘모든 상황’에 대한 고려를

개선 노력도 해 봤다. 남 소장은 지난 8월 서울교통공사에 ‘센터 앞 봉천역 승강기 항균필름에 대한 대책을 마련해달라’는 민원을 넣었지만 거절당했다. ‘점자 스티커’ 등 대안을 재차 문의했지만 감감무소식이다. 남 소장은 “필름을 무작정 없애라기보다는 어떻게든 대안을 마련해달라는 요구”라며 “이 문제가 우리에게 차별적이라는 것을 인식시키고 정책변화를 만드는 게 우리 일이지만, 정책 도입 과정부터 인권에 대한 인식을 포함하는 게 먼저 필요하다”고 말했다. 서울교통공사는 “시각장애인들의 점자 촉지 어려움 문의가 초기부터 있었다. 공사도 고민을 하고 있지만 아직 대안을 찾지는 못했다”고 밝혔다.

시각장애인들 사이에서 유력하게 꼽히는 대안은 ‘점자 라벨 스티커’다. 경기 부천 해밀도서관은 최근 승강기 버튼에 붙일 수 있는 항균필름 점자 라벨 스티커를 만들었다. 이상희 해밀도서관 관장은 “시각장애인과 같은 소수인의 불편함도 함께 느끼고 공감하는 사회가 됐으면 하는 바람으로 사업을 시작했다”고 밝혔다. 남 소장도 이 스티커를 전철역 등 승강기에 붙여 볼 계획이다.

경기 부천 해밀도서관이 제작한 ‘항균 점자라벨 스티커’. 해밀도서관 제공


시각장애인들은 애초에 정책 도입 단계부터 소수자에 대한 고려가 있어야 한다고 요구한다. 김씨는 “이동은 생존과 교류 등 모든 생활의 기반이다. 그에 대해 불편을 제기하는 건 결코 작은 문제가 아니다”라며 “새로운 무언가를 고안할 때 ‘모두를 위한 것’임을 고려해야 오히려 이후에 (개선 등에) 들어가는 비용을 아낄 수 있다”고 지적했다. 조씨는 “우리는 도움받아야 하는 사람이 아니고, 도움받게 만드는 환경이 있을 뿐”이라며 “정책을 만들 때부터 인권을 고려해준다면 충분히 환경 개선이 가능할 것이다. 장애와 비장애를 떠나 모든 상황을 고려할 수 있는 접근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http://news.v.daum.net/v/20200922110855308


0 Comments
제목
게시물이 없습니다.
많이 본 뉴스
인기기사